• 제목/요약/키워드: HPLC pattern analysi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9초

시중 일반우유와 포름알데히드로 보호 처리된 어유 첨가 사료를 먹인 DHA 강화우유의 안전성 연구 (Safety Assessments between Commercial Milk and DHA Fortified Milk of Dairy Cows Fed Feeds Containing Protected Fish Oil Treated with Formaldehyde)

  • 전수현;남미현;홍충의;양성용;유진아;서동원;정일중;이광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9-354
    • /
    • 2011
  • 시중에서 판매된 일반우유와 포름알데히드를 처리한 참치어유 배합사료를 먹여 DHA를 강화한 DHA 강화우유내의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포름알데히드를 처리한 사료를 먹여 DHA를 강화한 우유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중에서 판매된 일반우유와 DHA 강화우유를 CM, DHA-K, DHA-B로 구분하였다. 이화학 검사를 통해 세 제품이 모두 기준치 이내의 정상 수준을 나타내는 신선한 제품임을 확인하였고, 전반적인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DHA-K를 다른 두 시료와 비교하면 지방함량은 두 시료의 지방함량의 절반 정도인 1.85%이었으며, 단백질은 약 1% 높게 나타났다. DHA 강화우유에 함유된 DHA의 함량을 분석해본 결과 DHA-B가 DHA-K보다 약 2배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연령별 섭취량 기준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HPLC를 이용하여 우유 내 포름알데히드를 분석한 결과, 일반우유와 포름알데히드를 처리한 참치어유배합사료를 먹인 DHA 강화우유 모두 WHO에서 정한 신선유 중 포름알데히드 함량 기준치인 0.013~0.057 ppm사이에 존재했으며, 또한 세 시료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DHA를 강화하기 위해 포름알데히드를 첨가한 참치어유 배합사료를 소에게 먹이더라도 포름알데히드가 우유로 전이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며, 포름알데히드를 처리한 사료를 먹인 DHA 강화우유의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안전성은 일반우유 수준이라고 판단된다.

엇갈이배추 재배기간 중 살균제 Amisulbrom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PHRL) of the Fungicide Amisulbrom during Cultivation of Winter-Grown Cabbage)

  • 안경근;김경하;김기쁨;김민지;홍승범;황영선;권찬혁;손영욱;이영득;정명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0-1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엇갈이배추 재배기간 중 살균제 amisulbrom을 살포하고, 농약 살포 후 0(2시간 이내), 1, 3, 5, 7 및 10일에 엇갈이배추 시료를 채취하여 amisulbrom을 분석하고 amisulbrom의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PHRL; Pre-Harvest Residue Limit)을 설정하였다. 엇갈이배추에 잔류한 amisulbrom은 acetonitrile과 dichloromethane으로 각각 추출 및 분배를 진행하여 HPLC-UVD로 분석하였다. Amisulbrom의 분석정량한계는 0.04 mg/kg이었으며, 평균 회수율은 0.4 및 2.0 mg/kg의 두 수준에서 각각 $93.7{\pm}2.3%$$100.0{\pm}1.3%$이었다. Amisulbrom을 기준량으로 1회 살포 시 엇갈이배추 중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포장 1 및 2에서 각각 3.7일과 4.1일로 계산되었으며, 증체량에 따른 희석효과가 amisulbrom의 잔류량 감소에 주된 인자로 작용하지는 않았다. 잔류감소 회귀식을 이용한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은 수확 10일전 8.86~9.47 mg/kg, 또는 5일전에 4.21~4.35 mg/kg으로 제안하였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Polysaccharide Producing Bacillus polymyxa A49 KCTC 4648P

  • Ahn, Sung-Gu;Suh, Hyun-Hyo;Lee, Chang-Ho;Moon, Seong-Hoon;Kim, Hee-Sik;Ahn, Keug-Hyun;Kwon, Gi-Seok;Oh, Hee-Mock;Yoon, Byung-D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71-177
    • /
    • 1998
  • The strain A49, which produces a new type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From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the strain A49 was identified as a Bacillus polymyxa and named Bacillus polymyxa A49. Bacillus polymyxa A49 was found to produce a highly viscou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when grown aerobically in a medium containing glucose as the sole source of carbon. The polysaccharide (A49 POL) showed a homogeneous pattern on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to be about 1.6 mega dalton (mDa). The FT-IR spectrum of A49-POL reveal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polysaccharide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s with HPLC and carbozole assay, A49-POL was found to consist of L-fucose, D-galactose, D-glucose, D-mannose, and D-glucuronic acid, with the molar ratio of these sugars being approximately 1:2:7:50:12. Rheological analysis of A49 POL revealed that it is pseudoplastic and has a higher apparent viscosity at dilute concentrations than does xanthan gum. The consistancy factor of A49 POL was found to be higher, and the flow index of A49 POL lower, than xanthan gum. Its apparent viscosity was comparatively unstable at various temperatures. the A49 POL showed the highest apparent viscosity at pH 3. When salts were added to A49 POL solution, the solution was compatible with up to 10% KCl, 35% NaCl, 55% $CaCl_2$, 55% $MgCl_2$, 55% $K_2HPO_4$, and 110% $Ca({NO_3})_2$, respectively.

  • PDF

Enterobacter intermedium 60- 2G의 유기산 생성과 불용성인의 가용화 (Organic acid production and phosphate solubilization by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

  • 김길용;황보훈;김용웅;김효정;박근형;김영철;성기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9-67
    • /
    • 2002
  • 강한 인산 가용력을 가진 인산 용해 세균인 균주 60-2G를 잔디의 근권에서 분리하였다. GC-FAME구조와 탄소이용형태 및 16S rRNA의 부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균주 60-2G는 Enterobacter intermedium으로 동정되었다. Hydroxyapatite를 첨가한 배지와 생장 시킨 균주 60-2G는 gluconic acid 와 2-ketogluconic acid 및 소량의 lactic acid를 생성하였다. 균주 60-2G의 생장 기간동안 배지의 pH는 3.8 까지 낮아지는 반면에 배지의 유효 인산 농도는 증가하였다. 배지의 낮은 pH와 유효인산농도의 증가는 역 상관관계이며, 이는 균주 60-2G가 생성하는 유기산에 의한 영향이다. E. intermedium 60-2G 균주는 유기산 생성에 관여하는 glucose dehydrogenase의 co-factor인 PQQ를 생성하였으며, pqq의 부분 염기서열 분석 결과 기존에 보고된 서열과 8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지고 있었다.

고려인삼(高麗人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 비교연구(比較硏究) (Studies on the Anti-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I) Comparative Study of Red and White Ginsengs on Anti-aging Action)

  • 최진호;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3-335
    • /
    • 1983
  • 홍삼(紅蔘)과 백삼(白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 의한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80% ethanol extract 및 수포화(水飽和)부탄올로 이행(移行)한 saponin을 시료(試料)로 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실험(實驗)을 통하여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비교(比較)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電子供與能)(EDA), TBA value 및 peroxide value에 의한 과산화지질생성억제작용(過酸化脂質生成抑制作用), superoxide dismutase 및 peroxidase의 활성측정(活性測定)등으로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홍삼(紅蔘)은 장기간(長期間)에 걸친 연속투여(連續投與)에서 백삼(白蔘)보다 과산화지질생성억제작용(過酸化脂質生成抑制作用). superoxide dismutase 및 peroxidase의 활성(活性)을 유의성(有意性)있게 증가(增加)하였다. 생체내실험(生體內實驗)에서 홍삼(紅蔘)이 백삼(白蔘)보다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이 현저한 것은 증삼(蒸參) 및 가공처리중(加工處理中) saponin pattern의 변화(變化)에 기인(起因)하며 백삼(白蔘)의 PT/PD ratio가 0.401인데 반(反)해 홍삼(紅蔘)의 PT/PD ratio가 0.561로서 triol saponin이 증가(增加)되었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