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PLC Chromatography

검색결과 2,217건 처리시간 0.033초

갈화의 Prolyl Endopeptidase 저해 활성 Isoflavonoid 및 이들의 $^{13}C-NMR$ Assignment (Prolyl Endopeptidase-inhibiting Isoflavonoids from Puerariae Flos and Some Revision of their $^{13}C-NMR$ Assignment)

  • 김경범;김상인;김종식;송경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51-355
    • /
    • 1999
  • 갈화로부터 항치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prolyl endopeptidase(PEP) 저해제를 분리하기 위하여 갈화의 methanol 추출물을 chloroform 및 ethyl acetate로 분배추출 후 chloroform 가용성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및 RP-HPLC를 행한 결과, $FeCl_3$,에 양성 반음을 나타내는 4종의 화합물을 얻었다. 이들을 $^1H-$, $^{13}C-$, $^2D-NMR$ 및 MS 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각각 tectorigenin, genistein, 5,7-dihydroxy-4',6-dimethoxyisoflavone, 5-hydroxy-6,7,4'-trimethoxyisoflavone으로 동정하었으며 HMBC, HMQC를 통하여 $^{13}C-NMR$ signal들을 assign함으로써 기 보고된 data들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PEP에 대한 이 화합물들의 $IC_{50}$값은 각각 5.30 ppm$(17.7\;{\mu}M)$, 10.39 ppm$(38.5\;{\mu}M)$, 13.92 ppm$(44.3\;{\mu}M)$, 20.61 ppm$(62.8\;{\mu}M)$이었다.

  • PDF

된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p. BCNU 9171에 의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산 저해 (Inhibition of Biogenic Amine Production by Bacillus sp. BCNU 9171 Isolated from Doenjang)

  • 박여진;주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99-304
    • /
    • 2017
  • Histamine, tyramine, cadaverine 및 putrescine과 같은 바이오제닉 아민은 소비자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식품에서 독성 물질로 관리되어야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바이오제닉 아민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의 적용은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의 감소를 위한 새로운 방법이 되고 있다. 먼저 Bacillus sp. BCNU 9171 균주를 한국 전통발효 된장으로부터 분리하였다. 4개의 아민 생성 식중독 세균들에 의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산에 대한 Bacillus sp. BCNU 9171의 배양 상등액(CFS)의 저해율을 HPLC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10% (1 ml + 9 ml HDB), 25%(2.5 ml CFS + 7.5 ml HDB), 50% (5 ml CFS + 5 ml HDB) 및 75% (7.5 ml CFS + 2.5 ml HDB)의 네 가지 CFS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4가지 아민 생성균에 대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산을 87%까지 감소시켰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아민 생성균에 의한 발효 식품에 의한 다량의 바이오제닉 아민이 축적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발효식품 및 식품 안전용으로 Bacillus sp. BCNU 9171를 starter 균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동백나무 잎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the Leaf of Camellia japonica L.)

  • 김진희;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67-274
    • /
    • 2010
  • 동백나무 잎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 또한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1,000{\mu}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각각 92.15%와 95.61%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와 결장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부탄올 및 물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생육억제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릭 화합물은 부탄올 및 물 분획물에서 각각 216.26 및 220.68 mg/g으로 나타났으며, HPLC로 물 분획물의 페놀릭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quercetin과 epicatechin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동백나무 잎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은 quercetin과 epicatechin과 같은 폴리페놀 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4-Tert-Octylphenol의 랫드에서의 조직분포 및 독성동태에 관한 연구 (Tissue Distribution and Toxicokinetics of 4-Tert-Octylphenol in Rats)

  • 강미경;안미령;정혜주;최선옥;최홍석;양지선;이용복;유태무;손수정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95-203
    • /
    • 2004
  • 4-Tert-Octylphenol (OP) is a surfactant additive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variety of detergents and plastic products. OP can disrupt endocrine function in humans and anim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oxicokinetic parameters of OP in male Sprague-Dawley (SD) rats. Male rats were administered with OP by single oral application of 200 mg/kg body weight. Blood, urine and tissues samples were taken at several time intervals after administration. Analysis of samples for OP was performed by column-switch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In addition, we exam-ined tissue distribution and accumulation of OP after single oral application of 50, 100, and 200 mg/kg, single intravenous injection of 1, 5 and 10 mg/kg or daily application of 50 mg/kg for 14 consecutive days.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200 mg/kg, Cmax of 213 $\pm$ 123 ng/ml was reached within the first 1.3 hr (Tmax) in the plasma. AUC was calculated for 1,333$\pm$484 ngㆍhr/ml. The final elimination half-life of plasma was longer than that of urine, but urinary clearance was lower than oral. A very small fraction of OP (Fe < 0.0017%) was excreted in urine within 24 h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 excretion route of OP was not urine. The mean maximal tissue distribution of OP was obserbed at 6 hr after treatment and slowly decreased time-dependently. High OP concentrations were detected in fat at 24 hr. The OP in fat was slowly released with longer elimination half-life and lower clearance than that of other tissues. OP was not accumulated in the liver following single oral application but 14-day oral treatments resulted in two-fold accumulation. It was probably due to the saturation of detoxification pathways. On the other hand, the mRNA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 isoforms except CYP2C11 was not affected by OP at any dose. The expression of CYP2C11 mRNA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is result suggests that OP changes expression of the male-specific cytochrome P450 isoforms in rat liver, and these chan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toxic and estrogenic effect of OP.

청갓과 적갓에 함유된 Glucosinolates의 항암 활성 및 정량 분석 (Anticancer Activity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Glucosinolates from Green and Red Leaf Mustard)

  • 김활;김준열;김효진;김도경;조혜진;한병수;김헌웅;김정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2-366
    • /
    • 2011
  • 청갓과 적갓에서 추출한 GSLs에 의한 4종류의 암세포주를 이용하여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갓 추출물에 함유된 GSLs를 HPLC와 LC-ESI/MS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갓에서 추출한 GSLs의 항암 활성을 분석한 결과, SNU-354 (간암)>SNU-C4결정암)>SNU-251(난소암)>MCF-7(유방암)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GSLs 추출물의 처리 시간(24, 48시간)에 따르면 적갓 추출물의 항암 효과가 청갓 추출물의 항암 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갓의 주요한 GSLs 성분은 sinigrin이었으며, 청갓이 적갓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청갓에서만 glucoiberin이 미량으로 검출되었다. 3. 항암 활성 평가에서 적갓 GSLs 추출물이 청갓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낸 것은 GSLs 물질 이외에 다른 물질들이 관여 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Ni(II)-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 유도체 킬레이트의 용리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ution Mechanism of Ni(II)-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 Chelates by 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인환;최강렬;이만호;강창희;이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97-708
    • /
    • 1992
  •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Ni(IEAA-NH)(IEAA-NR)(R = H, $CH_3,\;C_2H_5,\;n-C_3H-7,\;n-C_4H9-,\;CH_5-CH_$) 킬레이트의 동시 분리 및 분석을 위한 최적조건을 Micropak MCH-5 분리관을 사용하여 조사하고, 이들의 용리거동에 대한 인자들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용리액에서 methanol/water의 이성분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금속 킬레이트의 용매 세기 인자는 $0{\le}logk'{\le}1$의 범위임을 확인하였고, 각 금속 킬레이트의 logk'값과 이성분용매계 중의 물의 부피분율을 도시한 결과 직선 관계가 성립하였다. 또한 뱃치법으로 측정한 분포비(Dc)값과 k'값을 도시하여 본 결과 직선 관계가 성립됨으로써 금속 킬레이트의 용리 메카니즘이 주로 소용매성 효과 즉 소수성효과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금속 킬레이트의 머무름에 미치는 용량 인자와 온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좋은 직선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엔탈피(${\delta}H$)와 엔탈피(${\delta}S$)를 구하고, 엔탈피와 용량 인자와의 값을 도시한 결과도 직선관계가 성립하였다.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구한 보정 온도(${\beta}$)는 $773.47^{\circ}K$이었다. 이 결과 역상 HPLC에서 Ni(II)-Isonitrosoethylacetoacetate imine 킬레이트의 용리 메카니즘의 주로 소수성 효과에 기인함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강황 (Curcuma longa L.) 색소의 정량 및 안정성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d Stability of Curcuminoid Pigments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Root)

  • 김관수;정명근;박시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11-215
    • /
    • 2005
  • 강황 (Curcuma longa L.) 색소의 curcuminoid 성분인 curcumin (CUR), demethoxycurcumin (DEM), bisdemethoxy-curcumin (BIS)의 정량분석을 위해 유의성있는 검량선$(r^2=0.9999**)$을 작성하였다. 사용된 HPLC는 역상칼럼을 장착하고 420nm의 UV 검출조건, 그리고 이동상으로 acetonitrile: $0.1\%$ acetic acid /water의 50 : 50 혼합용액을 이용하는 조건으로 분석조건이 확립되었다. 국내 6개 지역에서 재배된 강황들의 색소성분 함량분석 결과, CUR가 91.6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DEM은 56.9 mg/g이고 BIS는 23.0 mg/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총량은 평균 171.5 mg/g이었다. 강황 색소추출물의 저장시기별 색소성분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circ}C$ 냉동저장은 거의 손실이 없었으나 상온저장은 60일 이후 급격한 감소율을 보였다. 저장 90일째의 색소성분은 암조건에서 약 $50\%$, 명조건에서 약 $30\%$만이 남아 있어 curcuminoid색소성분은 빛과 온도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국 꽃 추출물 유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성분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Hydrangea macrophylla Flowers)

  • 조연정;이용범;현지선;김창윤;이남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356-136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수국 꽃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 활성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염 활성은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크로마토크래피를 실시하여 3개의 유효 성분을 분리하였고 NMR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Hydrangenol (1), prunin (2), astragalin (3). 분리된 화합물 1-3에 대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한 결과 hydrangenol이 수국 꽃 추출물의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1-3의 항염 활성을 확인한 결과 세포 독성 없이 NO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국 꽃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및 항염 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시호탕에서 baicalin과 glycyrrhizin 동시 분석 및 항염 활성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aicalin and glycyrrhizin in Sosiho-tang by HPL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 김정훈;하혜경;서창섭;이진아;신현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46
    • /
    • 2011
  • Objectives : To quantitate the main compounds and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Sosiho-tang (Xiao-Chai-Hu-Tang, SST),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aicalin and glycyrrhizi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were estimated. Methods : A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Reference compounds were separated on a reversed-phase column using gradient elution with water and acetonitrile each containing acetic acid at a flow rate of 1 mL/min. And the productions of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PE)E_2$ were examined by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 264.7 cells in the presence of the SS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ST was investigated by carrageenin-induced paw edema in rats. The paw volume was measured at 2 and 4 hr following carrageenin-induced paw edema in rats. Results :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compounds showed good linearity ($r^2$ > 0.9992) over the linear range. The precisions of intra- and inter-day were less than 7.0% of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for baicalin and less than 3.5% of RDS valuse for glycyrrhizin. Recovery rates were within the range of 95.41-101.5%. The contents of baicalin and glycyrrhizin in SST were average 70.52, 6.18 mg/g, respectively. And SST exhibited inhibitory effect on NO production in LPS-treated RAW 264.7 cells but not on $PGE_2$ production. Oral administration of SST (1 g/kg) showed a reduction in carrageenin-induced paw edema on rats. Conclusions : The analytical method was applied successfully to measure the contents of baicalin and glycyrrhizin in SST which exhibite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경엽 및 관주처리에 따른 배추 중 Trifloxystrobin의 안전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Trifloxystrobin in Chinese Cabbage by Foliar Application and Drenching)

  • 안설화;이상복;안문호;김재덕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1
    • /
    • 2007
  • HPLC에 의한 배추 중 trifloxystrobin의 회수율은 $84.6{\sim}95.3%$이었고 대사산물인 CGA321113의 회수율은 $86.4{\sim}87.3%$이었으며, 검출한계는 모두 0.04 mg $kg^{-1}$이었다. 경엽처리시 배추 중 trifloxystrobin 잔류량은 수확 5일과 6일전 2회 처리, 수확 3일과 7일전 3회 처리에서 모두 농약잔류허용기준(temporary MRL, 0.5 mg $kg^{-1}$)을 초과하였다. 관주처리 배추에서의 trifloxystrobin 잔류량은 기준량(1500배 희석액 주당 150 mL) 및 배량(1500배 희석액 주당 300 mL)처리에서 각각 0.16, 0.31 mg $kg^{-1}$으로 MRL 미만이었다. 따라서 살균제 trifloxystrobin(22% 액상수화제)를 사용하여 배추 재배시 농약잔류허용기준에 의하여 토양처리가 안전할 것으로 사료되며 경엽처리시 안전사용기준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