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PA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9초

PVA/SSA/HPA 복합막의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의 응용연구 (PVA/SSA/HPA Composite Membranes on the Application to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오세중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9-15
    • /
    • 2006
  • Polyvinylalcohol (PVA)을 전해질 막으로 이용하여 위하여 가교제로서 sulfosuccinic acid (SSA)와 무기물 첨가제로 phosphotungstic acid (PWA), silicotungstic acid (SiWA) 등의 HPA (heteropolyacid)를 사용하여 PVA/SSA/HPA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PVA/SSA/HPA 복합막은 HP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은 감소하였으나 IEC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VA/SSA/HPA 복합막의 XRD 분석 결과 HP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PA가 복합막 속으로 잘 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PA로서 PWA보다 SiWA의 분산성이 우수하였다. TGA 분석결과 PVA/SSA 복합막은 가교 결합으로 인하여 PVA 보다 열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복합막의 HP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열안정성이 더욱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VA/SSA/HPA 복합막의 메탄올 투과저항은 Nafion보다 현저히 우수하였으며 HP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메탄올의 투과도는 감소하였다.

HpaXm from Xanthomonas citri subsp. malvacearum is a Novel Harpin with Two Heptads for Hypersensitive Response

  • Miao, Wei-Guo;Song, Cong-Feng;Wang, Yu;Wang, Jin-Sh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호
    • /
    • pp.54-62
    • /
    • 2010
  • A novel harpin-like protein, HpaXm, was described from cotton leaf blight bacteria, Xanthomonas citri subsp. malvacearum. The hpaXm was found to be localized between hrp2 and hrcC.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complete amino acid sequence or solely the 13 highly conserved residues $H_2N$-SEKQLDQLLTQLI-COOH in the N-terminal $\alpha$-helix indicates that HpaXm is evolutionarily closer to HpaGXag and HpaXac than to Hpa1Xoo and Hpa1Xoc. A synthesized peptide containing two heptads, 39-LDQLLTQLIMALLQ-52, from the N-terminal a-helical region of HpaXm displayed comparable activity in inducing a hypersensitive response, but two other synthesized derivatives, $HpaXm{\Delta}T44C$ and $HpaXm{\Delta}M48Q$, showed reduced HR-triggering activity. The data from a GST trap test revealed that HpaXm was released into the extracellular medium, hpaXm mutant deficient for the leader peptide (1-MNSLNTQIGANSSFL-15) was unable to be secreted outside cells but still induced HR in tobacco leaves.

디지털 전치 왜곡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고전력 증폭기의 모델링 기법 (Modeling of High Power Amplifier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igital Pre-Distorter(DPD))

  • 김현준;윤인우;손예슬;김준태;김중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6-68
    • /
    • 2016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거리 신호송출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고전력 증폭기(HPA, High Power Amplifier)는 증폭기의 비선형성 때문에 송출신호에 왜곡을 야기시키며 이 때문에 선형구간만을 사용하게 되어 그 전력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 비선형 특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사전 왜곡기(DPD, Digital Pre-distorter)를 HPA 의 앞단에 채용하여 송출신호를 선형화 시키고 효율도 높이게 된다. 이 DPD는 대부분 HPA를 특정 모델이라고 가정하고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설계되는데 HPA의 모델에 대한 가정이 맞지 않을 경우 설계된 DPD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HPA의 모델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DPD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상용되는 HPA에 대해 이미 알려진 다양한 HPA의 모델 중에서 가장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고 또한 그 모델의 계수를 얻어내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렇게 얻어진 HPA의 모델정보는 최적의 DPD 설계에 사용될 수 있다. 각 HPA 모델에 대한 파라메터를 구함에 있어서 알려진 최적화 방법 이외에 직접 적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기존 방식을 수정하고 그 방식을 사용하였다. 실제 HPA 의 입출력 신호를 실시간 수집하고 컴퓨터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동일한 HPA 입력 신호에 대해 실제 HPA의 출력과 찾아낸 최적 모델의 출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제 찾아낸 모델이 가장 정확하게 상용 HPA를 모델링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16-QAM 시스템에서 HPA 비선형성을 보상하기 위한 사전왜곡기의 설계 및 성능 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redistorter to Compensate HPA Nonlinearity in 16-QAM System)

  • 장경수;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948-953
    • /
    • 2017
  • 초고속 통신을 위해 HPA(High Power Amplifier)를 사용할 때, HPA의 비선형 특성은 전력 효율 및 BER(Bit Error Rate) 성능 및 스펙트럼 효율 등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초고속 통신을 위한 충분한 송신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HPA의 사용이 불가피하므로 사전왜곡기를 사용하여 HPA의 비선형성을 보상시켜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HPA의 비선형성을 보상해주기 위한 용도의 사전왜곡기를 HPA의 앞단에 사용하여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여, 이를 성좌도, 스펙트럼, BER 성능 등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사전왜곡기를 사용하여 HPA의 비선형성을 보상해줌으로써 이상적인 선형 증폭기와 비슷한 수준의 BER 성능을 얻을 수 있었으며 스펙트럼 마스크도 충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상파 DTV 용 HPA 개발 (Development of HEA for Terrestrial Digital TV)

  • 송명선;이재욱;김혁제;강상기;최재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9년도 KOBA 방송기술 워크샵
    • /
    • pp.9-13
    • /
    • 1999
  • 이 논문은 디지털 TV 송신기의 구성 시스템 중 하나인 HPA 서브시스템(이하 HPA 시스템이라고 함)을 구현하는 구현 기술에 대하여 기술한다. HPA 시스템은 레벨 제어부, HPA 모듈, 고출력 결합기, 여파기, HPA 감시, 경보 및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전력레벨을 설계하고, 각 레벨에 맞는 4Wpeak, 30Wpeak, 125Wpeak 단위 증폭기를 설계, 제작 시험하였으며, 이들 단위 증폭기를 전력 분배기/결합기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600Wpeak급 HPA 모듈을 제작하였다. 자체 제작한 HPA 모듈과 상용 부품을 이용하여 HPA 서브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현장시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개발한 HPA 시스템은 동작주파수 470MHz-510MHz, 최대출력 1.6kWpeak, 이득 60dB 이상, 채널내 이득 평탄도 0.6dB 이하, 입력 반사손실 -l8dB이하이며, IMD는 3dB back-off시 -35dB이하이다

  • PDF

Cloning and Expression of hpaA Gene of Korean Strain Helicobacter pylori K51 in Oral Vaccine Delivery Vehicle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MG1363

  • Kim Su-Jung;Jun Do-Youn;Yang Chae-Ha;Kim You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318-324
    • /
    • 2006
  • In order to develop an oral vaccine to prevent H. pylori infection, we have expressed the hpaA gene of H. pylori K51 isolated from Korean patients, encoding 29-kDa HpaA that is known to be localized on the cell surface and flagella sheath, in a live delivery vector system, Lactococcus lactis. The hpaA gene, amplified by PCR using the genomic DNA of H. pylori K51, was cloned in the pGEX-2T vector, and the DNA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hpaA gene of H. pylori K51 had 99.7% and 94.8% identity with individual hpaA genes of the H. pylori 26695 strain (U.K) and the J99 strain (U.S.A). A polyclonal anti-HpaA antibody was raised in rats using GST-HpaA fusion protein as the antigen. The hpaA gene was inserted in an E. coli-L. lactis-shuttle vector (pMG36e) to express in L. lactis.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HpaA in the L. lactis transformant remained constant from the exponential phase to the stationary phase, without extracelluar secre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paA of H. pylori K51 was successfully expressed in L. lactis, and suggest that the recombinant L. lactis expressing HpaA may be applicable as an oral vaccine to induce a protective immune response against H. pylori.

Pichia pastoris에서 생산된 인체 췌장 α-아밀레이스 동질효소의 촉매활성에 대한 염소이온의 영향 (Effect of chloride ions on the catalytic properties of human pancreatic α-amylase isozyme produced in Pichia pastoris)

  • 김민규;김영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41-346
    • /
    • 2016
  • HPA는 식품으로 섭취되는 녹말을 분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효소이기 때문에 HPA 효소 활성의 억제는 당뇨와 비만과 같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HPA는 당뇨병 치료와 비만 예방을 위한 새로운 식 의약품 소재 개발을 위한 주요 타깃 효소 중 하나이며, 새로운 소재의 개발을 위해서는 HPA의 반응 메커니즘을 비롯하여 천연 기질 분해 특성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HPA의 동질효소 중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HPA II에 대한 효소 특성화를 진행하고자 P. pastoris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조합 HPA II를 생산하였으며, 녹말 분해와 관련된 효소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HPA II는 10 mM NaCl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최적 활성을 위한 pH는 0 mM NaCl 조건에서 pH 6.5이었으나 10 mM NaCl조건에서 pH 7.5로 이동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HPA I을 포함하는 염소이온 의존형 아밀레이스가 나타내는 전형적인 특징이다. 염소이온 존재 시 최적 pH가 염기성 pH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염소 이온과 효소의 결합에 의해 HPA II의 산/염기 촉매 잔기의 $pK_a$값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염소이온을 첨가하였을 때 녹말에 대한 가수분해 활성의 증대 정도가 산성 pH 영역보다 염기성 pH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였다. 반응속도론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염소이온 존재 시 효소활성의 증대는 대부분 전환수(turnover number)의 증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용성 녹말 보다 곡류 녹말에 대한 전환수의 증대가 크게 나타났다. 염소이온은 활성의 증대뿐만 아니라 고농도의 기질 조건에서 기질에 의한 효소 활성 억제 양상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HPA II의 특징은 HPA I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염소이온 첨가여부에 따른 HPA II의 가수분해활성 결과를 바탕으로 향 후 HPA에 대한 곡류 녹말 가수분해 활성 억제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3차원 콘빔CT 영상에서 형성한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의 정확도 증진을 위한 두부자세재현기의 효과 (Use of Head Posture Aligner to improve accuracy of frontal cephalograms generated from cone-beam CT scans)

  • 선민규;엄기수;조진형;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89-299
    • /
    • 2009
  • 본 연구는 3차원 콘빔CT 영상을 이용하여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 형성 시 두부자세재현기(Head Posture Aligner, HPA)를 이용한 경우와 이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HPA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먼저 일반적인 방법으로 콘빔CT 영상을 채득한 후 HPA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부자세를 재현한 상태에서 또 하나의 콘빔CT 영상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3차원 영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PA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와 HPA를 이용한 경우 각각에서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을 형성한 다음 각각의 투사도를 작성하고 실제로 HPA를 이용하여 촬영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투사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거리 및 각도를 나타내는 여러 계측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HPA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수의 계측항목에서 실제 정모두부방사선사진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HPA를 이용한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실제 정모두부방사선사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HPA를 이용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모든 항목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3차원 콘빔CT 영상을 이용하여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 형성 시 정확한 영상 획득을 위해서는 콘빔CT 촬영 시 HPA의 사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HPA/DCO 영역의 데이터 수집 기법 연구 (A Study on Data Acquisition Technique for HPA/DCO)

  • 박민수;손남흔;이상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50-853
    • /
    • 2011
  • HPA(Host Protected Area) 영역과 DCO(Device Configuration Overlay) 영역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며 이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은닉할 수 있다. HPA/DCO 영역은 저장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만들어진 규약인 ATA-4와 ATA-6에서 제시되었다. 디지털 포렌식 조사시 HPA/DCO 영역을 고려하지 않은 디스크 이미징 및 데이터 추출 방법은 해당 영역에 숨겨진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HPA/DCO 영역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영역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인식하여 획득하는 절차를 통해 디스크 이미징 또는 데이터 추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HPA/DCO 영역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활용하여 포렌식 조사에서 해당 영역을 확인하고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HPA/DCO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획득하여 디지털 포렌식 조사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PVC-g-PSSA가지형 공중합체와 헤테로폴리산을 이용한 수소이온 전도성 복합 전해질막 (Proton Conducting Composite Membranes Consisting of PVC-g-PSSA Graft Copolymer and Heteropolyacid)

  • 김종학;고종관;최진규;연승현;안익성;박진원
    • 멤브레인
    • /
    • 제19권2호
    • /
    • pp.96-10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 chloride) (PVC)가지형 공중합체 전해질과 헤테로폴리산(HPA)을 이용하여 유무기 합성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poly(vinyl chloride)-g-poly(styrene sulfonic acid) (PVC-g-PSSA)는 PVC의 이차 염소의 직접적인 개시를 이용한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로 합성하였다. 이때, HPA 나노입자는 수소 결합을 통해 PVC-g-PSSA 가지형 공중합체와 결합하는 것을 FT-IR spectroscopy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전해질막의 수소이온 전도도는 HPA의 질량 분율이 0.3이 될 때까지 상온에서 0.049에서 0.068 S/cm로 증가하였다. 이것은 HPA 나노입자 고유의 전도도와 가지형 공중합체가 가지고 있는 술폰산의 강화된 산도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합습률은 HPA의 질량 분율이 0.45까지 증가할수록 130에서 84%로 감소하였다. 이것은 HPA나노입자와 고분자 메트릭스 사이의 수소 결합의 상호작용 때문에 물을 흡수하는 site의 수가 감소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열중량 분석결과 HP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해질막의 열적 안정성이 강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