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T

검색결과 7,135건 처리시간 0.034초

Bacillus circulans $\alpha$-amylase 유전자의 Basillus subtilis와 Bacillus megaterium에서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an $\alpha$-Amylase Gene from Bacillus circulans in B. subtilis and B. megaterium)

  • 이동석;김지연;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3-208
    • /
    • 2000
  • 재조합 플라스미드 pAL850에 함유된 Bacillus circulans KCTC3004 $\alpha$-amylase 유 전자를 pUB110을 이용하여 shuttle 플라스미드 pALS111을 만들어 Bacillus 세포에 이동. 발현시켰다. Bacillus subtilis(고초균)와 Bacillus megaterium(거대균)으로 형질전환된 pALS111로부터 $\alpha$-amylase는 세포증식과 비례하여 생산되었다. 형질전화주가 생산하는 $\alpha$ -amylase의 최대활성을 유전자 공여 균주인 B. circulans와 비교했을 때 고초균은 약 95배, 거대균은 약 34배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장균 형질전환주는 분비율이 10% 정도인데 반하여 고초균 형질전화주는 생산된 효소전부를 , 거대균 형질전환주는 약 98%를 세포외로 분비함을 보임으로써 고초균과 거대균은 실용적인 면에서 대장균보다 우월 함을 나타내었다, pALS111의 각 숙주 내에서의 안정성을 살펴본 결과 거대균에서는 92%, 고초균에서는 76%, 대장균에서는 38% 로 나타났다. SDS-PAGE와 zymogram을 통해 추정 된 대장균과 고초균, 거대균에서 발현된 효소의 분자량은 약 55,000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형질전환주가 생산하는 $\alpha$-amylase는 starch 에 작용하여 주된산물로서 maltotriose 이상의 다양한 maltooligosaccharide들을 생산함이 확인 되었다.

  • PDF

역학과 유전학적 데이터를 이용한 한국에서 2014년 발생한 H5N8 조류독감 전염경로의 유추 (Inferring transmission routes of avian influenza during the H5N8 outbreak of South Korea in 2014 using epidemiological and genetic data)

  • 최상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54-265
    • /
    • 2018
  • 최근 양계업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조류독감은 한국에서 수천억원의 거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였다. 병원균의 전염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면 막대한 손해를 끼치는 생물학적 피해의 확산을 막고 일부 지역으로 제한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병원균 DNA 서열의 계통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감염된 숙주들을 방향성이 있는 연결선으로 연관짓는 전염 계통수를 얻을 수 있다. 지난 10여년간 유전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역학 데이터를 이용한 전염 계통수 추론의 방법론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염 계통수 추론 방법을 이용하여 지난 2014년 한국에 발병한 고병원성 조류독감 H5N8에서 유래한 DNA 서열을 재분석하였다. 당시, H5N8 바이러스는 전라북도에서 시작하여 지역적으로 접해있는 4개의 지역으로 확산되어 나갔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염 계통수를 추론하는 베이지언 통계 방법인 Markov chain Monte Carlo를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이를 종합하여 철새 외래종과 국내종 조류 숙주들의 전염 계통수를 추정하였다. 비록 연결선의 불확실성은 높았으나 추정된 전염 계통수를 통하여 당시 H5N8 바이러스는 전라북도에서 시작하고 충청남도를 거쳐 경기도로 퍼져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육하는 오리와 같은 국내종 조류는 전염 계통수의 말단 노드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야생 철새종이 2014년 한국의 H5N8 조류독감의 감염 매개자로 주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마우스 소장의 미소융모막 효소 활성도 (Activities of brush border membrane bound enzymes of the small intestine in iwetagonimus yokogatvai infection in mice)

  • 홍성태;유재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9-20
    • /
    • 1991
  • 요꼬가와흡충은 국내에서 가장 감염이 혼한 장흡충으로 은어나 기타 담수어에 의해 매개되며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이 흡충에 감염되면 심한 설사를 하며 이때 소장의 점막이 퇴행성 변화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소장 상 피세포의 미소융모막에 분포하는 몇 가지 소화효소의 활성도가 요꼬가와홉충의 감염과 치료에 의하여 받는 영향 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이 흡충에 감염되면 충체가 빠르게 배출되어 감염 2주 이후에는 투여량의 10% 이내의 충체만이 감염되어 있고, 상부 공장에서 감염 2∼4주에만 퇴행성 변화와 염증반응이 관찰되었다. Alkaline phosphatase, leucine aminopeptidase, disaccharidases (sucrase, maltase, trehalase, lactase)의 환성도가 십이지장과 상부 공장에서 감염 2주까지는 감소하였으며 하부 공장에서는 증가하였다. 감염 3주 이후에는 감염군에서의 활성도가 정상 대조군의 것과 차이가 없었다. 감염 1주에 치료한 군의 활성도는 치료 후 2주에 감염대조 군의 활성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하였고, 감염 3주에 치료한 군은 치료를 안한 감염군과 같은 환성도를 보였다.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마우스의 소장에서 초기에 미소융모막 효소의 활성도가 크게 감소하며, 이러한 변화는 형태학적인 병변의 생성 및 회복과 또한 감염된 충체의 수의 시기적 변화와 일치하였다. 요꼬가와흡충 감염 초기에 소장의 소화효소 활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미소융모막에서 일어나는 소화 및 홍수를 저해하고 이에 따라서 설사가 초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백서에서의 혈청내 IgE 항체가의 변동 (Serum IgE levels in rats infected with Parugonimus westermani)

  • 신명헌;류재숙;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97-402
    • /
    • 1991
  • 폐츱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시 탈낭유충은 숙주내 여러조직을 거친 후 폐에 기생하게 되는데 이때 조직반응과 더불어 혈액내 호산구와 IgE 항체가의 변등이 일어난다. 이 실험에서는 백서에 폐흡충을 감염시키고 혈청내 총 IgE와 특이 IgG 항체값을 시간 경과별로 측정하여 감염후 혈청내 항체가의 변증을 관찰하였다. 폐흡충 퍼낭유충 20개를 백서에 경구 감염시키고 시기별(0,1,2,3,4,0,8주)로 IgE의 변동을 avidin-biotin을 이용하여 효소표식 면역검사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측정하였으며 IgG는 통상적인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군의 혈청내 총 IgE치는 감염 3주와 3주 후에 흡광도가 각각 0.18±0.042, 0.18±0.081이었으나, 4주에 0.28±0.151로 급격히 중가하었으며 8주까지 지속적인 상승(0,43±0,055)을 보였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전 실험기간을 통해 0.07∼0.12로 낮은 항체가가 유지되었다. 또한 실험군의 혈청내 IgG 항체는 감염 3주 후에 흡광토 0.20±0,032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8주에 0.31±0.067을 보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비호적숙주인 백서에서 폐흡충의 감염이 IgE 및 IgG 항체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장흡충과 제2중간숙주에 대하여 (Intestinal flukes of genus Metagonimus and their second intermediate hosts in Kangwon-do)

  • 안영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31-340
    • /
    • 1993
  • 강원도의 강 하천유역에 있어서 주민의 Metqgonimus속 흡충의 감염률, 어류의 피낭 유충 자연감염 및 동물감염 실험에서 얻은 성충의 형태 등을 관찰하였다 주민의 감염률은 평균 7.8%(1,067명 중 83명 양성)였다 성별로는 남자 11.4%. 여자 3.2%였다. 강별로는 영서지역에서 섬강유역 7.3%, 주천강유역 6.3%, 평창강유역 12.8% 동강유역 3.8% 홍천강유역 9.8%와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유역이 8.0% 등이었다. 조사한 어류의 Metoqonimus속 피낭유충 감염률은 평균 81.0%(318마리 중 256마리)였고 감염어종은 영서지역에서 피라미(Zacco platypus), 갈겨니 (Zacco temmincki) . 끄리 (Opsarrichthvs binens) . 몰개(Squalidis sp. ). 붕어 (Carossius corossius) 등이었다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에서는 은어(Pruoglossus altivelis), 황어(Ribolodnn hokonensis)였다. 퍼라미와 끄리에서 분리한 피낭유충을 흰쥐와 개에 실험감염시켜 얻은 성충체는 대부분이 MetogonimMlyata형이고 부분적으로 M. tukqhoshii가 혼재하여 있었다.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 은어에서는 M. Vokogawni만이 검출되었고 황어에서는 M. Vokogawci와 MetoEonim Miyata형이 혼재하여 있었다. 이상으로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흡충은 영서내륙지역에 서는 주로 피라미와 끄리를 감염원으로 하는 Metagonimus miyata형 흡충과 M. takahashii흡충이 분포하였다. 영동지역(삼척 오십천)에서는 주로 은어. 황어를 감염원으로 하는 M. yokogawai흡충 이 분포하며 일부 황어에서는 Metagonimus Miyata형도 혼재할을 알 수 있었다.

  • PDF

톡소포자충 RH tachyzoites에 대한 감마선 조사가 충체의 숙주세포내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intracellular proliferation of Toxoplasma gondii RH tachyzoites)

  • 국진아;오성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73-178
    • /
    • 1995
  • 톡소포자충(RH strain) tachyzoltes를 감마선에 조사하여 인체 백혈병 세포인 HL-60 세포와 정상 마우스의 복강 대식세포에 감염시킨 다음 충체 증식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오는지 $^3H-uracil$ 흡수시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감마선 조사량은 30, 70, 100및 300 Gy로 하였고 tachyzoite감염은 시켰으나 감마선을 조사하지 않은 비조사군(NI군)과 tachyzoites를 넣지 않고 숙주세포만을 배양한 비감염군을 각각 두었다. 3H-uracil 흡수시험 결과 12-24시간 후 대식세포의 NI 군은 2,190-4,787(countperminute. 이하 같음), HL-60세포의 NI 군은 2,967-8,254의 높은 흡수량을 보였으나. 감마선 조사군은 대식세포 감염시 381-703(100 Gy조사군) 및 218-408(300 Gy조사군), HL-60 세포 감염시 1,911-2,618(30 Gy), 1,253-1,384(70 Gy), 1,013-1,090(100 Gy) 및 483-588(300 Gy)의 흡수량을 각각 보였다. 충체 증식에 대한 억제율은 300 Gy 조사시 12-24시간에 대식세포의 경우 90-92%. HL-60 세포의 경우 80-94%이었다. 이상과 같이 톡소포자충 RH tachyzoites가 감마선 조사 후 세포내 분열증식 능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uracil 흡수 시험법으로 확인하였다.

  • PDF

문절망둑(Acauhogobius flavimanus)에서 획득한 Stictodora fuscatum의 피낭유충 (Stictodora fuscatum (Heterophyidae) metacercariae encysted in gobies, Aconthogobius flavimanus)

  • 손운목;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43-148
    • /
    • 1994
  • 1990년 9월과 11월에 전남 해남군에서 구입한 문절망둑에서 Stktodnro속 흡충의 퍼낭유충을 검출하였으며 이들을 고양이에 실험감염시킨 후 성충을 회수하였던 바, Stietodoraj교calm으로 동정되었다. 피낭유충은 30마리의 문절망둑에서 총 1,437개가 근육(51.1%), 두부(27.7%) 및 내장(21.2%) 등에서 검출되었고 $0.194~0.301(평균 0.264){\;}{\times}{\;}0.168~0.270{\;}(평균{\;}0.226){\;}mm$ 크기이었으며 타원형이었다 5마리의 고양이에 각각 200개씩의 피낭유충을 감염시키고 7일과 9일 후에 충체를 회수하였던 바 감염 7일된 2마리의 고양이에서 총 21마리의 성충이 회수되었다. 성충은 체장이 0.514~0.918(평균 0.714) mm이었고 체폭은 0.235~0.377(평균 0.313)mm이었으며 나무잎 모양이었다. Stiotodo속 흡충의 종 동정에 있어서 중요한 열쇠가 되는 ventrogenltalsac은 타원형이었고 gonotyl과 geutal sinus가 겹쳐 있었으며 gonotyl에는 13~18개의 소극이 부채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자궁내 충란은 긴 난원형으로 $0.032~0.038(평균 {\;}0.035){\;}{\times}{\;}0.019~0.023(평균{\;}0.020){\;}mm$ 크기이었다. 이 연구로 문절망둑이 S. fuscatum의 제 2 중간숙주 및 인체 감염원임을 확인하였다.

  • PDF

Ticks Collected from Selected Mammalian Hosts Surveyed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2008-2009

  • Kim, Heung-Chul;Han, Sang-Hoon;Chong, Sung-Tae;Klein, Terry A.;Choi, Chang-Yong;Nam, Hyun-Young;Chae, Hee-Young;Lee, Hang;Ko, Sung-Jin;Kang, Jun-Gu;Chae, Joon-Se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331-335
    • /
    • 2011
  • A tick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ticks associated with selected mammal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during 2008-2009. A total of 918 ticks were collected from 76 mammals (6 families, 9 species) captured at 6 provinces and 3 Metropolitan Cities in ROK. Haemaphysalis longicornis (54.4%)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tick, followed by Haemaphysalis flava (28.5%), Ixodes nipponensis (7.6%), Ixodes pomerantzevi (4.8%), Ixodes persulcatus (4.6%), and Haemaphysalis japonica (0.1%). Adults (57.0%) and nymphs (28.7%) of Ixodes and Haemaphysalis spp. were collected most frequently from medium or large mammals in this survey, while few larvae (14.3%) were collected. Hydropotes inermis was the most frequently captured mammal (52.6%), with a 16.4 tick index and 5 of 6 species of ticks collected during this survey. H. longicornis (69.7%) was the predominant tick collected from H. inermis, followed by H. flava (22.2%), I. persulcatus (6.1%), I. nipponensis (1.8%), and H. japonica (0.2%).

Plagiorchis muris infection in Apodemus agrarius from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near the demilitarized zone

  • Chai, Jong-Yil;Park, Jae-Hwan;Guk, Sang-Mee;Kim, Jae-Lip;Kim, Hyo-Jin;Kim, Won-Hee;Shin, Eun-Hee;Klein, Terry A.;Kim, Heung-Chul;Chong, Sung-Tae;Song, Jin-Won;Baek, Luck-Ju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153-156
    • /
    • 2007
  • The small intestines of 6 species of rodents and 1 species of insectivore were examined seasonally for Plagiorchis muris infection in 3 different localities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near the demilitarized zone (DMZ). A total of 1,496 animals, including 1,366 Apodemus agrarius, 54 Crocidura iasiura (insectivore), 32 Mus musculus, 28 Micronytus fortis, 9 Eothenomys regulus, 6 Micronys minutus, and 3 Cricetulus triton, were live-trapped at Yeoncheon-gun (n = 351), Paju-shi (804) and Pocheon-gun (343) at 3-mo intervals from December 2004 to September 2005. A total of 1,647 P. muris were collected from 72 (5.3%) A. agrarius. The infection rate was the high-est in Pocheon-gun (8.2%), followed by Yeoncheon-gun (5.0%) and Paju-shi (4.2%). A higher infection rate was observed in A. agrarius captured during September (19.4%) than those captured during December (3.0%), June (2.6%), or April (0%). However, the worm burden was the highest in June (av. 32.1/animal), followed by September (24.7), December (4.0), and April (0). None of the other animal species were found infected with P. muris. The results reveal that A. agrarius is a natural definitive host for P. muris, and infection rates and worm burdens vary seasonally and geographically.

Pathogenicity of Five Strains of Toxoplasma gondii from Different Animals to Chickens

  • Wang, Shuai;Zhao, Guang-Wei;Wang, Wang;Zhang, Zhen-Chao;Shen, Bo;Hassan, I.A.;Xie, Qing;Yan, Ruo-Feng;Song, Xiao-Kai;Xu, Li-Xin;Li, Xiang-Ru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155-162
    • /
    • 2015
  • Toxoplasma gondii is a protozoan parasite with a broad range of intermediate hosts. Chickens as important food-producing animals can also serve as intermediate hosts. To date,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athogenicity of T. gondii in broiler chickens were rarely reporte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pathogenicity of 5 different T. gondii strains (RH, CN, JS, CAT2, and CAT3) from various host species origin in 10-day-old chickens. Each group of chickens was infected intraperitoneally with $5{\times}10^8$, $1{\times}10^8$, $1{\times}10^7$, and $1{\times}10^6$ tachyzoites of the 5 strains, respectively. The negative control group was mockly inoculated with PBS alone. After infection, clinical symptoms and rectal temperatures of all the chickens were checked daily. Dead chickens during acute phage of the infection were checked for T. gondii tachyzoites by microscope, while living cases were checked for T. gondii infection at day 53 post-inoculation (PI) by PCR method. Histopathological sections were used to observe the pathological changes in the dead chickens and the living animals at day 53 PI.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urvival periods,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clinical symptoms among the chickens infected with the RH, CN, CAT2, and CAT3 strains.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clinical symptoms of the JS (chicken origin) group were similar to the others. However, average survival times of infected chickens of the JS group inoculated with $5{\times}10^8$ and $1{\times}10^8$ tachyzoites were 30.0 and 188.4 hr, respectively,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of the other 4 mammalian isolates. Chickens exposed to $10^8$ of T. gondii tachyzoites and higher showed acute signs of toxoplasmosis, and the lesions were relatively more severe than those exposed to lower do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thogenicity of JS strain was comparatively stronger to the chicken, and the pathogenicity was dose-depen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