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7초

새로운 Copper 전구체를 이용한 구리점 증착 (Deposition of copper dots with new copper precursors)

  • 강상우;성대진;신용현;이시우;윤주영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85-492
    • /
    • 2006
  • 새로운 1가 구리 전구체인 $[Cu^I(hfac)]_2(DVTMSO)$ and $[Cu^I(hfac)]_2(HD)$ (hfac=hexa- fluoroacetylacetonate, DVTMSO=1,2-divinyltetramethyldisiloxane, HD=1,5-hexadiene)를 합성하였으며, 또한 유기금속 화학증착법을 사용하여 증착특성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전구체는 기존 구리 1가 전구체와는 다르게 두 개의 Cu(hfac)가 하나의 중성리간드에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새롭게 합성된 두 종류의 전구체는 기존에 알려진 1가 구리 고체 전구체에 비해 높은 안정성 및 높은 증기압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전구체와는 달리 새로운 전구체로 화학증착하면 막 (films)을 형성하지 않고 구리점 (dots)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새로운 구조로부터 기인된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구리점의 모양은 증착온도에 따라 급격하게 변하는 것도 관찰되었다.

휴대 단말기용 하이브리드 MIMO 안테나 (Hybrid MIMO Antenna for the Mobile Handset)

  • 손태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78-86
    • /
    • 2013
  • 모노폴과 IFA(Inverted F Antenna)가 함께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안테나를 이용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안테나를 설계한다. 안테나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Vlade(Vertical lade)기법을 적용하며, 데이터통신을 위해 베어보드 상하단에 대각선으로 급전하는 MIMO 안테나를 설계한다. 설계를 위한 각 부분 길이를 변수로 하여 반사손실 특성의 변화를 나타낸다. LTE700, CDMA, GSM, DCS, PCS 및 WCDMA의 6중 주파수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한다. 구현된 안테나에 대한 반사손실 측정결과, VSWR 3:1 기준으로 설계대역 전체를 만족하였다. 또한 안테나에 대한 방사특성은 LTE700/CDMA/GSM 주파수대역에서 평균이득 -3.76 ~ -2.53dBi 및 42.06 ~ 55.84%의 효율, DCS/PCS/ WCDMA 주파수대역에서는 평균이득 -3.27 ~ -1.21dBi 및 47.08 ~ 75.6%의 효율을 보였다. MIMO특성 중 중요한 요소인 2안테나 간의 분리도는 전 밴드에서 -8.14 ~ -25.77dB로써 양호한 특성을 보였다.

PCBs의 광화학적 연구: NaOH 및 휴믹산 (humic acid, HA)에 의한 분해특성 (Effects of NaOH and Humic Acid on the UV Photolysis of PCBs)

  • 신혜승;김재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7-156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 apparent photolysis with or without sensitizers [NaOH and humic acid (HA)] was prompted photodegrad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 (PCB) in aqueous solution. Methods: PCBs photodegradation occurred using fluorescence black lamps at ${\lambda}_{max}=300nm$. PCB congeners were exposed in 10 ppm HA or 0.05N NaOH solutions, to investigate the decreasing profile of PCB concentration with time. The PCBs were then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Reductive degradation profile of PCB congeners in the presence of both sensitizers under oxygen-saturated protic conditions was described using the wind-rose diagrams. Results: Use of HA or NaOH decreased PCB concentration with time in the dark and on irradiation, indicating that photolysis underwent through reductive dechlorination through energy transfer and possibly with reactive oxygens. The dechlorination was marked by a chromatographic shift, observed in the GC-MS plots. Therefore it is logical to assume that increasing the dose of sensitizers would increase the photodegradation rates of PCBs. The half-lives of pentachloro-PCB (penta-3) in 0.05N NaOH and 10 ppm HA were estimated at about 47 hours and 39 hours, respectively,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of photolysi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photolysis of pentachloro-PCB in aqueous solution followed apparent first-order kinetics compared to other congeners. Conclusion: Photochemical degradation (using 328 nm UV light) of penta- and hexa-PCBs in HA or alkaline solution is a viable method for pretreatment method. The results are helpful for the further comprehension of the reaction mechanism for photolytic dechlorination of PCBs in aquatic system.

세자리 Schiff Base 리간드의 몰리브덴 착물에 관하여 (제1보) (Studies on the Molybdenum Complexes with Tridentate Schiff Base Ligand (I))

  • 조기형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9-173
    • /
    • 1973
  • 세자리 schiff base리간드로서 salicylidene amino-o-hydroxy benzene 은 salicylaldehyde와 o-amino phenol로서 합성하였으며 이 세자리 schiff base 리간드와 Mo(VI), Mo(V), Mo(IV) 및 Mo(III) 의 과산화상태의 몰리브덴 착물들의 반응으로 새로운 착물[Mo O$_2(H_2O)\;(C_{13}H_9O_2N)]$, [MoO Cl(H$_2O)(C_13H_9O_2N)]$, $[Mo(SCN)_2(H_2O)(C_{13}H_9O2_N)]$$[Mo(H_2O)_2 (C_{13}H_9O_2N)]_2O$들을 얻었다. 이들 착물에서 Mo(VI), Mo(V) 및 Mo(IV)착물들은 리간드와 몰리브덴의 mole비가 1:1인 착물로서 몰리브덴 이온은 6배위 팔면체로서 주어지나 Mo(III) 착물은 Mo-O-Mo의 산소 bridge bond를 갖는 poly nuclear 착물로서 mole비 1:1인 착물로 주어짐을 원소분석치와 자외선흡광도 및 적외선 spectra의 고찰로서 알아보았다.

  • PDF

반도체 및 Optic Industries 클린룸 배기가스의 오염제어 및 청정화기술

  • 황유성
    • 공기청정기술
    • /
    • 제17권4호통권67호
    • /
    • pp.39-57
    • /
    • 2004
  • 첨단산업으로 불리는 반도체, LCD, PDP, 유기EL(OLED) 등의 생산 공정은 고도의 청정상태를 요구하며, 때문에 이들의 생산공정 중 대부분이 클린룸 내에서 이루어진다. 클린룸 내에서의 주요공정은 크게 박막형성(Layering), 노광(Photo Lithography), 식각(Etching) 등 3가지 공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반도체 제조공정의 경우 특별히 도핑(Doping) 공정이 추가된다.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클린룸 배기는 일반적으로 산, 알칼리, Toxic(PFCs, Flammable), VOC 등으로 분류하며, 각각의 배기는 각 배기특성에 맞는 오염제어 장치를 통해, 정화된 후, 대기로 방출된다. 산, 알칼리 배기는 일반적으로 최종 단계에서 중앙집중식 습식스크러버에 의해 흡수, 중화 처리되며, VOC의 경우 농축기(Concentrator) & 축열식 열 산화장치(RTO) 설비에 의해 연소 처리된다. 하지만 CVD공정으로부터의 배기가 주를 이루는 Toxic배기의 경우, 다량의 PFCs(과불소화합물) 가스를 함유하고 있는 이유로, 대부분 클린룸 내부에 P.O.U(Point of use) 처리장치가 설치되며, P.O.U에 의해 1차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중앙집중식 습식스크러버를 거쳐 대기로 방출된다. 알칼리배기의 주성분으로는 암모니아($NH_3$), HMDS (Hexa Methyl DiSilazane), TMAH (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 LGL, CD 등이며 흡수액에 황산(Sulfuric Acid)용액을 공급, 중화처리하고 있다. 탄소성분을 먹이로 하는 미생물의 번식에 의한 막힘 문제를 제외하고는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Toxic배기 및 산배기의 경우 처리효율이, 가스흡수 이론에 의한 계산결과와 비교할 때, 매우 저조하게 나타나는 효율부족 현상을 겪고 있으며, 이는 잔여 PFCs 가스성분 및 반응에어로졸, 응축에어로졸 등의 영향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 Toxic 배기의 경우, P.O.U 설비를 Burn & Wet type으로 변경하여, 배기 중 PFCs 및 반응에 에어로졸($SiO_2$)의 농도를 원천적으로 감소시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산배기의 경우, 산결로 현상에 의한, 응축에어로졸이 문제가 되고 있으나 내식열교환기(Anti-Corrosive Heat Exchanger), 하전액적스크러버 시스템(Charged Droplets Scrubber System), Wet ESP(Wet Electrostatic Procipitator) 등의 도입을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 PDF

Beehive (Hexagrid), New Innovated Structural System for Tall Buildings

  • Nejad, Peyman Askari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251-262
    • /
    • 2016
  • Tall Buildings have been one of the most prominent symbols of economic growth for nearly a century. Yet, in the aftermath of the tragedies of September 11, "signature" Tall buildings have become the focus of much debate. The structural systems today are undergoing a major evolution to address the ability of providing flexibility in the design and use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sustainability (Green) and cost-effective system. This paper describes a new invented structural system, evolutionary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of Tall buildings, which involves the entire analysis process, including conceptual and design stages and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Tall building. This study presents an new innovative structural system, Beehive (Hexagrid), for Tall buildings. The final results are achieved by modeling an 80 story Tall building with the optimized angle and topology of hexagon members by using a computer analysis, ETABS finite element analysis. The objective function of this system is to use one structural system in order to both maximize Eigen frequency for resisting dynamic responses and minimize mean compliance for static responses. Finite element analysis is carried out by using standardized materials. Optimal Hexagrid topologies with the highest stiffness are finally determined to resist both static and dynamic behaviors. Holistic design integration approaches between structures and facades to save energy for environmental control are studied. Innovative design ideas to control structural motion as well as to utilize that motion to harness energy are discussed. Considering abundant emergence of tall buildings all over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the studies presented in this paper cannot be overemphasized for constructing more sustainable built environments.

카올린으로부터 촉매담체용 감마알루미나 분말의 합성 (Synthesis of Gamma Aluina Powder for Catalytic Support from Kaolin)

  • 강효경;박희찬;최임숙;이현;손명모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9호
    • /
    • pp.943-949
    • /
    • 1996
  • 카올린에서 추출된 황산알루미늄 용액으로부터 촉매담체용 r-AI2O3분말 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황산알루미늄 용액을 교반중의 에탄올(ethanol)에 적하하여 단일상(single phase)의 AI2(So4)3 18H2O석출물을 제조하고 이 석출물의 하소로부터 r-AI2O3분말을 합성하였다. 이 분말을 100$0^{\circ}C$에서 2시간 하소하였을 때 열적안정성을 보였으나, 120$0^{\circ}C$-2시간 하소에서 $\alpha$-AI2O3 로 전이하였다. r-AI2O3의 열적안정성에 미치는 BaO 첨가의 영향을 조사 연구하였다. 첨가량은 r-AI2O3에 대해서 1.0-6.0wt%로 하였다. BaO를 4.0wt%첨가한 시료는 AI2O3-BaO.6AI2O3(hexa-aluminate)혼합상생성으로 인하여 120$0^{\circ}C$에서 r-AI2O3의 전이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BaO를 4.0wt%첨가한 시료와 BaO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 대하여 r-AI2O3$\longrightarrow$ $\alpha$-AI2O3전이에 따른 비표면적을 조사하여 보았다. 120$0^{\circ}C$-2시간에서 BaO 4.0wt% 첨가한 시료와 BaO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의 비표면적은 각각 95$m^2$/g과 50$m^2$/g을 유지하였다.

  • PDF

Transcriptome analysis, microsatellite marker information, and orthologous analysis of Capsicum annuum varieties

  • Ahn, Yul-Kyun;Karna, Sandeep;Kim, Jeong-Ho;Lee, Hye-Eun;Kim, Jin-Hee;Kim, Do-S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11-316
    • /
    • 2016
  • The efficacy of plant breeding has been enhanced by application of molecular markers in population screening and selection. Pepper (Capsicum annuum L.) is a major staple crop that is economically important with worldwide distribution. It is valued for its spicy taste and medicinal effe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microsatellite markers information, and percentage sharing through orthologous analysis of pepper-specific pungency-related genes. Here, we report the results of transcriptome analysis and microsatellite markers for four pepper varieties that possess a pungency-related gene. Orthologous analyses was performed to identify species-specific pungency-related genes in pepper, Arabidopsis thaliana L., potato (Solanum tuberosum L.), an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Advancements in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ies enabled us to quickly and cost-effectively assemble and characterize genes to select molecular markers in various organisms, including pepper. We identified a total of 9762, 7302, 8596, and 6886 SNPs for the four pepper cultivars Blackcluster, Mandarine, Saengryeg 211, and Saengryeg 213, respectively. We used 454 GS-FLX pyrosequencing to identify microsatellite markers and tri-nucleotide repeats (54.4%), the most common repeats, followed by di-, hexa-, tetra-, and penta-nucleotide repeats. A total of 5156 (15.9%) pepper-specific pungency-related genes were discovered as a result of orthologous analysis.

예비열처리(豫備熱處理)에 의한 무우김치의 연화방지(軟化防止) (Pre-heating treatment for Prevention of Tissue Softening of Radish Root Kimchi)

  • 육철;장금;박관화;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47-453
    • /
    • 1985
  • 숙성중 무우 김치 조직의 연부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비열처리와 $CaCl_2$의 효과를 조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우조직의 경도가 높은 김치를 제조하였다. 무우조직중의 펙틴분해효소인 폴리갈락투로나제(PG)는 펙틴에스테라제(PE)보다 더 낮은 농도의 $CaCl_2$에서 저해되었고, PE의 최적온도는 $50{\sim}55^{\circ}C,$ PG는 $45^{\circ}C$이었다. 따라서 0.05M $CaCl_2$용액에서 $55^{\circ}C$로 2시간동안 열처리 하여 PE는 활성화 시키고 PG는 억제시킬 수 있었다. 최적조건하에서 예비열처리를 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냉장고($4{\sim}10^{\circ}C$에서 저장하려면 pH, 환원당, 경도, 펙틴분해효소의 역가 그리고 펙틴물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구의 무우김치는 비교구보다 숙성중 계속해서 높은 경도를 유지하였고 조직내에 있는 PE는 숙성중 계속 감소하였으며 PG는 초기에는 감소하다가 저장 말기에 가서는 증가하였다. 저장중 펙틴물질 조성의 변화는 비교구가 처리구에 비해 열수가용 펙틴질이 더 많이 증가하였으며 Sodium hexa meta phosphate soluble 펙틴은 더 많이 감소하였다.

  • PDF

유채박 단백질의 추출 및 정제에 관한 연구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Rapeseed Protein)

  • 이장순;강동섭;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80-785
    • /
    • 1990
  • 유채박 단백질의 효과적인 추출 및 정제공정을 확립하기 위하여 추출용매를 비교했으며, 1% SHMP 용매로 추출한 후 등전침전, 산세척, UF농축 처리에 의하여 정제한 단백질의 수율 및 glucosinolate와 phytate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추출조건은 1% SHMP(pH 8.0) 용매가 가장 적당하였으며, glucosinolate 및 phytate 제거를 위한 정제효과 면에서는 2회 산세척시와 1회 산세척 및 UF(100K) 농축 처리한 공정이 가장 효과적 이었다. 수율과 단백질 함량은 2회 산세척의 경우는 37.1% 및 75.3%이었으며, 1회 산세척과 UF(100K) 농축의 경우는 42.1% 및 72.4%였다. 따라서 glucosinolate와 phytate 제거효과와 단백질의 수율면을 고려한 결과 가장 효과적인 정제공정은 등전침전${\rightarrow}$1회 산세척(pH 3.5)${\rightarrow}$중화(pH 7.5)${\rightarrow}$ UF(100K) 농축 처리하는 방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