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

검색결과 1,409건 처리시간 0.03초

동결건조 진주담치 추출물의 항산화 및 DNA 손상 보호 활성 (Antioxidant and DNA Damage Protective Activities of Freeze-Dried Blue Mussel (Mytilus edulis))

  • 이선우;최미주;김시경;이승철;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01-1807
    • /
    • 2014
  • 동결건조에 의한 진주담치의 생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DPPH 라디칼 소거능, ORAC, CAC 등의 항산화 활성과 comet assay를 이용한 DNA 손상 보호능을 측정하였다. 생 진주담치 및 동결건조 진주담치에서 물 추출물을 제외한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동결건조에 의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 진주담치의 ORAC 수치는 물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동결건조 진주담치의 경우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결건조 후 ORAC 수치는 물 추출물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 HepG2 세포의 라디칼 소거능(CAC)의 경우 물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소거 대상 라디칼에 따라 항산화 활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 또는 동결건조 진주담치는 모든 추출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을 억제하는 보호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고 동결건조에 의한 보호 효과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진주담치는 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제외하고는 모든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DNA 손상의 보호 효과가 관찰되었고 동결건조 가공처리에 의해서 그 활성이 크게 영향을 받지 않거나 추출물에 따라 오히려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진주담치의 식품 첨가물이나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생리활성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양미생물로부터 Carotenoid의 생산 및 그 생리활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of Carotenoid from a Marine Bacterium Curtobacterium sp.)

  • r김종덕;강동수;김민용;최명락;임현수;백승한;서효진;김대현;공재열
    • KSBB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621-629
    • /
    • 2000
  • 전남의 여수지역의 해양에서 carotenoid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여 상용하였으며, 이 세균은 Curtobacterium sp.으로 동정되었다. 해양세균 Curtobacterium sp.의 carotenoid 생산 최적조건은 pH 7.0, 최적온도 $25^{\circ}C$, 탄소원으로서는 4 mM의 fructose, 질소원으로서는 0.07%의 tryptone, 미량원소 및 growth로서는 각각 0.5 mM의 $Mg^{+2}$ 이온, $1{\;}\mu\textrm{m}$의 cytocobalamine이었으며, 이 최적조건에서의 carotenoid의 생산량은 $13.0{\;}mg/\ell$ 였다. 해양세균 Curtobacterium sp.로 부터 생산된 carotenoid는 tunaxanthi (86.6%), diatoxanthin (7.1%), ${\beta}-carotene$ (2.1%), canthaxanthin (19.1%), cynthiaxanthin (1.9%) 5가지의 다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주로 tunaxanthin을 생산하는균주로 사료된다. 그리고 분리 정제하지 않은 crude corotenoid을 이용한 생리활성 시험에서 E. coli 및 L. bulgaricus 등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HepG2 (hepatocellular carcinoma, human, ATCC HB-8065) 및 HeLa (cervical carcinoma, human, ATCC CCL-2) 등의 암세포에 대하여 각각 86.4% 및 39.2%의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CCL-13 (diploid, monotypic hepatocyte, huma, ATCC CCL-13) 세포를 사용한 항산화 활성은 $50{\;}\mu\textrm{g}/m{\ell}$의 carotenoid의 농도에서 83%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의 소거 기능도 43.4%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해양세균 Curtobacterium sp.로부터 생산된 이 carotenoid는 정제하지 않은 상태로도 어류 및 축산사료, 첨가물, 항산화제, 의약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귀리 수용성 $\beta$-glucan의 생물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r oat soluble $\beta$-glucans)

  • 강태수;정헌상;박희정;이명렬;공영준;정익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7-553
    • /
    • 2003
  • 귀리를 건강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개발하기 위하여 귀리 겉겨(OBC)로부터 수용성 $\beta$-glucan을 중심합성실험계획에 의해 분리하고, 생물활성(항균, 항산화, 암세포 생육저해능)을 검토하였다 귀리 수용성 $\beta$-glucan 시료는 250, 500$\mu\textrm{g}$/disc농도에서 항균활성을 paper disc method로 검토한 결과 항균력이 없었으며, 5%농도에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으로 측정한 항산화활성도 없었다. 귀리 수용성 $\beta$-glucan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저해능은 제 7번 시료(추출온도 45$^{\circ}C$, 에탄올농도 15%, pH 6)가 다른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1mg/$m\ell$의 시료농도에서 위암(AGS), 간암(Hep3B) 및 폐암세포주(A549)에 대하여 각각 59%, 58% 및 54%의 생육저해능을 보였다 또 제 1번 시료(추출온도 55$^{\circ}C$, 에탄올농도 5%, pH 6)의 경우도 3종의 암세포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생육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독립변수들의 값의 변화에 따라 암세포의 생육저해능은 영향을 받았다.

매미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sinclairii)로부터 추출한 조다당류의 면역 활성과 항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aecilomyces sinclairii)

  • 심성미;임경환;이우윤;김정완;심미자;이민웅;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5-160
    • /
    • 2003
  • 매미눈꽃동충하초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세포독성 실험 결과, 열수 추출물은 $100{\mu}g/ml$의 농도에서 HT-29에 대해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나, NIH3T3, HepG2, Sarcoma 180에 대해서는 $0{\sim}2,000{\mu}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중성염용액 추출물과 메탄을 추출물에서는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Sarcoma 180 복수암에 대한 항암 효과는 중성염용액 추출물과 메탄을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32.3%의 생명 연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매미눈꽃동충하초의 중성염용액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비장세포를 $2.4{\sim}2.6$배 증가시켰고, B 임파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2.7{\sim}3.9$배 증가시킴으로써 비장세포의 증식능과 B 임파구의 면역 활성 효과를 증가시켰다. 대식세포주 RAW 264.7에 $50{\mu}g/ml$의 농도로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양성 대조군이 $79{\mu}M$의 nitric oxide(NO)를 발생시킨 것에 비해 다소 높은 $89{\mu}M$의 NO가 발생되었다. 매미눈꽃동충하초의 중성염용액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암 효과와 B 임파구와 대식세포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매미눈꽃동충하초 중성염용액 추출물의 항암 효과는 숙주의 면역 기능을 활성화 시킨 것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Extracts)

  • 임태진;최무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6-4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만병초 95%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항산화 활성은 ABTS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만병초 추출물 0.2 및 1 mg/mL의 총 항산화능은 각각 0.33 및 2.26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만병초 추출물 0.2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능은 각각 45.0 및 77.0%이었다. 만병초 추출물 5 및 100 ${\mu}g/mL$의 산소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40.88 및 131.00 ${\mu}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만병초 추출물 0.2 및 1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37 및 1.25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만병초 추출물 0.1 mg/mL 농도의 첨가는 0.2 및 0.5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52.1 및 30.3%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만병초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홍국첨가 김치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Extracts Prepared with Monascus purpureus Koji Paste)

  • 김현정;황보미향;이효주;유대식;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18-623
    • /
    • 2005
  • 홍국 김치는 절임 배추량에 대하여 홍국 쌀풀(20%)을 각각 2.5, 5%씩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다음, $10^{\circ}C$에서 15일간 발효시키면서 3일 간격으로 채취하여 김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김치 추출물을 인간 유래의 4종의 암세포주인 AGS, KATOIII, HepG2, Hela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및 6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생육 저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시료농도 1mg/mL 처리시에는 홍국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 대조군과 홍국을 첨가만 김치군 모두 40% 이하의 암세포 증식 억제를 보였으며, 시료농도 2mg/mL 처리시에는 대조군에 비해 홍국첨가 김치군에서 더 큰 증식 저해율을 보였다. 또한 김치를 담근 직후부터 발효 3일까지는 대부분의 균에 대한 김치의 항균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발효 6일째부터는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내어, 발효가 진행되면서 김치 대조군 및 흥국첨가 김치군에서 항균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김치 대조군에 비해 5% 홍국첨가 김치군에서 높은 항균성을 보여 홍국 함량이 증가할수록 항균활성이 조금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김치의 발효가 진행되면서 김치 추출물은 여러 암세포 주의 증식을 억제하고 6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높은 항균황성을 보였고, 특히 홍국의 첨가량이 많은 김치추출물에서 암세포 주 증식 저해 활성 및 항균활성이 더 증가하였다.

찔레 영지버섯(Phellinus ribis)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ribis Extracts)

  • 송재환;이현숙;황진국;정태영;홍성렬;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90-695
    • /
    • 2003
  • Phellinus ribis(찔레 영지버섯)는 약용버섯으로 일부 항암 및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그 활성이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아 1차적으로 40% ethanol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에 있어 nitrosamine의 원인물질인 nitrite 제거활성은 pH 1.2에서 0.5 mg/mL 이하 농도에서는 50% 이하, 그리고 1 mg/mL 처리 시 $64.0{\pm}1.6%$의 제거활성을 나타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DNA 손상 및 암, 당뇨, 간경화증, 심혈관질환 등의 원인물질에 관련하여 DPPH radicals의 제거활성은 0.5 mg/mL에서 $62.5{\pm}0.3%$, 1 mg/mL 처리 시 $91.3{\pm}0.8%$로 높게 나타났다. 2.5%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에 미치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0.01 mg/mL 처리 시 p<0.05 수준에서, 0.5 및 1 mg/mL에서는 p<0.001 수준에서 유의성 있게 산화를 억제하였으며,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은 $530{\pm}81\;unit/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항고혈압에 관련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활성은 $12.0{\pm}1.5%$로 그 활성이 미약하였다. Human 유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결과 폐암세포인 A549의 경우 100 mg/mL 농도에서도 16%로 나타나 세포독성이 미약하였고, 자궁암 세포인 HeLa의 경우 50 mg/mL에서 45%의 효과를, 위암 세표인 AGS에서는 5 mg/mL 처리 시 24%, 50 mg/mL에서는 76%, 그리고 간암 세포주인 SK-Hep-1의 경우 50 mg/mL에서 42%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시험결과 찔레 영지버섯 추출물은 자연복귀 집락보다 histidine revertant colony 수가 2배 이상 증가하지 않았고, 추출물의 첨가농도를 증가시켜도 histidine revertant colony 수가 증가하지 않아 돌연변이성이 없었다.

초고압 공정에 의한 홍경천의 독성 감소 및 항암활성 증진 (Toxicity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s Process)

  • 김철희;권민철;;황백;남종현;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11-416
    • /
    • 2007
  • 본고에서는 초고압 추출 공정을 통한 홍경천의 독성 저감 및 항암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인간의 정상 신장세포인 HEK293을 이용한 세포 독성은 초고압으로 15분간 처리한 것에서는 1.0 $mg/m{\ell}$의 농도에서 최고 20.4%의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초고압으로 5분간 처리한 것은 22.5%로 초고압 시간이 길어질수록 세포독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일반 추출물은 25.3%로 초고압 처리한 군에 비해 높은 독성을 나타내어 초고압 처리 시 독성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고압 처리 군은 또한 HEL299를 이용한 세포독성 실험에서도 1.0 $mg/m{\ell}$의 농도에서 일반 추출물인 WE보다 5% 정도 낮은 독성을 나타냈다. 항암활성 측정은 A549, AGS, MCF-7, Hep3B의 암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모든 암세포에서 1.0 $mg/m{\ell}$의 농도에서 75% 이상의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고, 또한 암세포의 생육활성에 대한 정상 세포의 세포독성의 비로 나타낸 선택적 사멸도는 0.6 $mg/m{\ell}$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모두 4이상으로 나타났으며, 15분 동안 초고압 추출을 한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초고압으로 인해 기존의 추출 방법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유용생리활성 물질들이 초고압으로 인해 조직과 세포막 파괴로 인해용출량 증가로 인해 수율이 증가하였으며, 홍경천의 독성 물질이 파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순한 침전 추출법에 의한 추출방법보다는 초고압 추출에 의한 추출로 식물체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추출의 수율을 배가 시킬 수 있으며, 홍경천 자체 성분에 약간의 변화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홍경천 성분의 변화는 초고압 추출을 통하여 에너지 수준이 제한된 수소결합, 전기적 결합, 반데르발스결합, 수소결합과 같은 약한 결합들이 분리됨으로써 성분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랑머리왕지네의 유전학적(遺傳學的) 분석(分析) 및 약침액(藥鍼液)의 세포독성(細胞毒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Genetic Analysis and Extract Cytotoxicity of Scolopendra subspinipes multilans L. Koch)

  • 김성남;임정아;이성용;황우준;이건목;조남근;서정철;문형철;김성철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9-65
    • /
    • 200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ucleotide sequence and extract cytotoxicity of Scolopendrae corpus. The nature and taste of Scolopendrae corpus is hot, Warm and toxic, and the effect of this is dispelling wind, anti-spasmodic action and detoxication so it has been used for C.V.A, facial palsy, sensory disorder at extremities, wounds and arthritis. Methods : Scolopendrae corpus were collected by locality on the market. They we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Their nucleotide sequence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among them. In addition, the water-alcohol extract cytotoxicity of them was studied by MTT-based cytotoxicity assay. Results : It was shown that the each Scolopendrae corpus by locality is almost identical at genetic result and is identified as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L. Koch. Nucleotide sequence of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L. Koch in this study will help to discriminate other species of Scolopendrae corpus. The water-alcohol extract of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L. Koch did not induce cytotoxicity on Hep G2, L929 cell and peritoneal macrophages. Besides, it did not influence nitrite production of peritoneal macrophag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genetic discrimination with another species of scolopendrae corpus.

Auranofin Enhances Sulforaphane-Mediated Apoptosi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Cells through Inactivation of the PI3K/Akt Signaling Pathway

  • Hwangbo, Hyun;Kim, So Young;Lee, Hyesook;Park, Shin-Hyung;Hong, Su Hyun;Park, Cheol;Kim, Gi-Young;Leem, Sun-Hee;Hyun, Jin Won;Cheong, Jaehun;Choi, Yung Hy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8권5호
    • /
    • pp.443-455
    • /
    • 2020
  • The thioredoxin (Trx) system plays critical roles in regulating intracellular redox levels and defending organisms against oxidative stress. Recent studies indicated that Trx reductase (TrxR) was overexpressed in various types of human cancer cells indicating that the Trx-TrxR system may be a potential target for anti-cancer drug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effect of auranofin, a TrxR-specific inhibitor, on sulforaphane-mediated apoptotic cell death using Hep3B cells. The results showed that sulforaphane significantly enhanced auranofin-induced apoptosis by inhibiting TrxR activity and cell proliferation compared to either single treatment. The synergistic effect of sulforaphane and auranofin on apoptosis was evidenced by an increased annexin-V-positive cells and Sub-G1 cells. The induction of apoptosis by the combined treatment caused the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ΔΨm) and upregulation of Bax. In addition, the proteolytic activities of caspases (-3, -8, and -9) and the degradation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a substrate protein of activated caspase-3, were also higher in the combined treatment. Moreover, combined treatment induced excessiv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owever, treatment with N-acetyl-L-cysteine, a ROS scavenger, reduced combined treatment-induced ROS production and apoptosis. Thereby, these results deduce that ROS played a pivotal role in apoptosis induced by auranofin and sulforaphane. Furthermore, apoptosis induced by auranofin and sulforapha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rough inhibition of the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Akt pathway.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down-regulation of TrxR activity contributed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auranofin and sulforaphane on apoptosis through ROS production and inhibition of PI3K/Akt signaling path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