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ING RESOURCES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초

CO2 Laser와 Scalpel을 이용한 절개 시 돼지 방광에서의 창상치유 평가 (Comparative study of wound healing in porcine urinary bladder with CO2 laser and scalpel incisions)

  • 이재연;정성목;조성환;박창식;김명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47-251
    • /
    • 2010
  • This study compared the instrument performance and tissue healing of a steel scalpel with a $CO_2$ laser in an animal urinary bladder surgery model. Landrace and Yorkshire mixed breed pigs were used. Two symmetrical incisions were made in urinary bladder of each pig. One incision was made on the left side of ventral aspect on urinary bladder using a steel scalpel, while the other incision was performed on the right side using a $CO_2$ laser with an 8W output power. Each instrument was evaluated clinically for speed, ease of incision, and extent of bleeding. At 7 and 21 days after initial wounding, each wound was taken for histological observations. The scalpel was an easier instrument to use in the confines of the urinary bladder tissue, compared with the las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amount of bleeding was less in the laser group but the time of the incisions was shorter with the scalpel. Scalpel incisions showed complete restoration of the epithelium and muscularis. On the other hand, the laser incisions showed incomplete restoration of the epithelium and muscularis. However, most of wound healing in the laser incisions was accomplished according to the time lapse. Although the scalpel produced less damage to the urinary bladder tissue and was easier to handle than the $CO_2$ laser, it did not provide hemostasis that was helpful for use on highly vascular tissue. The $CO_2$ laser provided good hemostasis, but delayed wound healing. In conclusion, the $CO_2$ laser provided better hemostasis and better surgical field than the scalpel. The $CO_2$ laser was used effectively in urinary bladder incis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motional Chang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the Agro-Healing Program

  • Kim, Yi Kyeoung;Ryu, Ja Yeong;Yun, Suk Young;Choi, Byung 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55-56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agro-healing program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motional chang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Methods: We sent an official letter to D Office of Education with information and recruitment for the agro-healing program. Then D Office of Education has sent the official letter to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jurisdiction to recruit parent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with their children. The subjects were recruited by order of application, and 27 families participated, but 20 parent-child teams who attended all sessions and ful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ultimately selected. From October 12 to November 16, 2019, a total of 6 sessions of the programs were held once a week at a care farm in Gyeongsangbuk-do. In the morning, they participated in a program that utilizes the resources of plants and animals in the care farm, and later participated in an indoor horticultural program in the afternoon. Result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test,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gro-healing program (p = .047).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ntence completion tests written by the children, but their potential perception or attitude towards their parents changed more positively than befor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sentences. Conclusion: The agro-healing program could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by improv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hildren's emotional attitude towards their parent.

산림 치유 공간에서의 개인 감정 인지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ized Emotion Recognition in Forest Healing Space - Focus on Subjective Qualitative Analysis and Bio-signal Measurement -)

  • 이양우;서용모;이정년;황민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7-65
    • /
    • 2019
  • 본 연구는 산림 자원의 다양한 효과 중에서 정서적인 안정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산림 치유공간을 다양한 공간으로 설정하여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참여한 피실험자들은 20대 대학생들로 평균 나이가 22±1.25세였다. 피실험자들은 지정된 각기 다른 산림치유공간에서 주관적 서열평가를 통해 감성 단어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인식하는 감성에 대한 생체반응을 측정하여 실제로 인지하고 있는 감성적 상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생체신호반응 실험으로는 심박이 나타내는 BMP, SDNN, VLF, LF, HF, Amplitude 및 PPI를 활용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통계적 처리를 위해여 Friedman 검증과 Wilcoxon 검증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감성어휘별에 대해서는 '좋은', '맑은' 및 '불편한' 단어가 산림치유공간의 지점별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림 치유공간 각 지점에서의 정량적 생체신호 측정결과는 SDNN, HF 및 Amplitud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공간의 다양한 지역적 공간에서 인간이 인지하는 감성적 차원을 측정하였다. 산림 공간에 있어서도 공간적 입지가 인간의 감성적 차원을 유도하는 분위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산림치유공간 및 산림 자원의 활용 분야에 대한 적용방향과 전략적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는 감성 기반의 산린 치유에 대한 공간적 시설 및 물리적 요건들을 통해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개인 맞춤형 감성 공간 디자인적 측면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방문객 유형별 이용객수에 대한 규범적 평가기준, 혼잡지각과 치유경험방해 지각: '장성 편백치유의 숲'의 '치유필드'를 대상으로 (Normative Standards on Number of Users, Perceived Conflict, and Perceived Interference of Healing Experience by Types of Visitors at 'Healing Field' of '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 김상오;김상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1-243
    • /
    • 2018
  • 본 연구는 방문객 유형별로 장성 편백치유의 숲(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JPHF) 내 '치유필드'의 이용객수에 대한 지각(perceived number of users: PNU)과 이용객수에 대한 평가기준(evaluative standards)을 설정,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7년 9월 중 JPHF 내 '치유필드' 이용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선정된 158명의 표본으로부터 설문지기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치유필드 방문객 중 휴양객(일반 휴양을 목적으로 한 방문객)은 49.3%, 치유객(건강 및 치유를 목적으로 한 방문객) 15.3%, 휴치객(휴양과 치유를 동일정도로 추구하는 방문객) 35.3%로 구성되어 있었다. 응답자가 지각하는 치유필드 이용객수는 전체적으로는 평균 23.8명(중앙값: 20.0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 평균범위는 21.1-27.8명(중앙값: 20.0명 동일)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의 PNU는 혼잡지각(perceived crowding: PC)(r=0.23) 및 치유경험 방해 지각(perceived interference of healing experience: PIHE) (r=0.20)과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방문객 유형 간에 치유필드 적정이용객수(optimal number of users: ONU)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적정이용객수는 평균 28.9명(중앙값: 25.0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 적정이용객수 범위는 평균 25.4-31.4명(중앙값: 25.0-27.5명)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대 허용가능 이용객수(maximum acceptable number of users: MANU)는 전체적으로 38.1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로는 휴양객 36.9명, 치유객 32.0명, 휴치객 38.0명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방문객 유형별로는 MANU에 차이가 없었다. 응답자의 PC는 평균 2.73(SD: 3.26, 9점 척도), PIHE는 평균 3.26(SD: 1.77, 9점 척도)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로는 휴치객이 휴양객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PC와 PIHE를 보였다. PNU가 ONU를 초과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높은 PC와 PIHE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리적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습윤/건조 반복 작용이 고흡수율 폴리머를 함유한 시멘트계 재료의 자기치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clic Wetting-drying on Self-healing of Cementitious Materials Containing Superabsorbent Polymers)

  • 홍근태;최성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88-96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고흡수율 폴리머(SAPs)를 포함하는 시멘트계 재료의 자기치유에 대한 습윤/건조 반복 작용의 영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매 주기마다 SAP 함량을 변수로 하는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을 균열 이후 1시간 동안 습윤 조건에 노출시키고(흡수율시험 및 투수시험 진행), 47시간 동안 건조 조건에 노출시켰다. 흡수율시험 결과 SAP 미혼입 시편, SAP 0.5%, SAP 1.0%, SAP 1.5% 혼입 시편의 균열을 통한 흡수율이 각각 1주기 대비 8주기 이후 22.9%, 36.8%, 42.8%, 46.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수시험 결과 모든 시편의 균열을 통한 물 유출량은 습윤/건조 주기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특히 SAP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량 감소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X-ray CT 분석을 통해 균열 내 SAPs의 유입수에 의한 팽윤 거동이 확인되었다. 실험 결과는 SAPs가 유입수를 흡수하여 팽윤함에 따라 유효 균열폭이 감소될 수 있고, SAPs는 흡수한 물을 건조 조건에서 주변 균열부에 공급함에 따라 치유 생성물의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연구의 결과는 SAPs의 혼입이 균열의 수밀성을 증가시킴에 따라 시멘트계 재료의 자기치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균열 자기치유 재료 혼입 모르타르의 투수성능 평가 (Water Perme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Mortar Containing Crack Self-healing Mineral Admixtures)

  • 이웅종;황지순;안상욱;이광명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63-46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팽창재-팽윤재-결정성장 촉진제로 구성된 자기치유 재료(SH-PO-0)와 칼슘이온 용출을 촉진하는 인산염계 혼화재(PO)를 첨가한 자기치유 재료(SH-PO-5, 15, 30)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투수성능을 평가하였다. SH-PO-0는 OPC 대비 28일 압축강도는 9% 감소하였지만, 투수량 감소비는 OPC 대비 현저히 낮아, 자기치유 재료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PO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는 감소하고, 초기재령에서 투수성능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적정 PO 치환율은 15% 수준이었다. SH-PO-15는 SH-PO-0 대비 28일 압축강도는 8% 이내에서 감소하였고, 초기 재령에서 투수성능이 더욱 개선되었으나, 장기재령까지 이어지지는 않았다. SEM-EDS분석에 의해 SH-PO-15의 칼슘 이온량이 더 많이 고정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gro-healing in Korea)

  • 김경미;문지혜;정순진;이상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909-936
    • /
    • 2013
  • 이 연구는 최근 네덜란드와 벨기에 등 농업분야 선진국에서 관심과 투자가 증대되고 있는 치유농업(Agro-healing)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우리나라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을 통해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치유농업 선진국의 정책과 제도, 조직, 관련 법, 인력 등에 대한 문헌분석(내용분석)을 하였으며, 농업, 건강, 교육, 원예 및 동물 매개치료, 민간, 농업정책 집행 분야별 전공 교수, 연구원, 대표 및 담당자 9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치유농업 분야 종사자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치유농업의 개념은 '농업 농촌자원(식물, 동물, 농촌환경, 농촌문화) 또는 이와 관련된 활동 및 산출물을 통하여 모든 국민의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인지적 건강을 도모하는 산업 및 활동'으로 정의하였으며 정립된 개념과 연계하여 치유농업의 목적, 자원, 대상을 설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치유농업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균열자기치유용 콘크리트를 사용한 전주의 구조 성능 (Structural Capacity of Poles Using Crack Self-healing Concrete)

  • 유성원;김상준;박홍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22-227
    • /
    • 2018
  • 최근 콘크리트 전주의 20~30년 이상 경과로 인한 노후화와 각종 자연재해로 인하여 전주의 손상/파괴로 인해 유지 보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을 스스로 치유하여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기치유 콘크리트 기술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Fly ash, GGBS, CA 등이 혼입된 변수의 균열자기 치유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10m 크기의 실제 전주 10개를 제작하여 휨강도실험을 수행하였다. 고로 슬래그를 첨가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플라이 애시를 첨가한 콘크리트는 기준강도에 다소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체의 균열하중은 KS F 4304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하중-처짐 및 변형률 관계의 경우, 플라이 애시를 첨가 실험체의 경우에는 유사한 거동을 보였지만, 고로 슬래그가 함유된 실험체의 경우 균열발생 후 결정촉진제가 혼입된 실험체는 대량의 변형률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 관광 정보 제공을 위한 플랫폼 설계 (The Design of Platform for Ecotourism Information Supply)

  • 권성현;김영근;손철수;김원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19-426
    • /
    • 2018
  • 생태 관광이란 우수한 자연자원과 주변의 역사, 문화 자원 체험을 통해 느끼고 관찰하는 관광을 말하며, 현재 국민들의 여가생활 패턴이 변경됨에 따라 자연을 찾는 힐링(healing) 여행이 활성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고 특정한 시기에만 관람이 가능한 생태 관광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생태 관광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관광 콘텐츠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관광 콘텐츠 시스템은 이미지 촬영 단말기에서 매일 촬영한 생태 관광 이미지 파일을 수거하여 동영상으로 변환 후 서버에 업로드 하면 관광객이 생태 관광 객체에 도착했을 때,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알려주고 식물의 성장 과정 등을 동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Components of phytoncide from a pine forest in the southern temperate zone

  • Lee, Jeong Do;Park, Choong Hee;Joung, Da Wou;Koo, Seung Mo;Park, Bum J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33-44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phytoncide from a pine forest in the southern temperate zone.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a large amount of phytoncide is released not only from cypress trees but also from pine trees. Because the amount released is the highest during summer, we selected a warm climate region in the southern temperate zone and measured the concentration in the month of August. To capture the phytoncide from the forest atmosphere, we used the adsorption tube method with a mini pump and successfully gathered 9 L of forest air at a flow rate of 150 mL/min. We performed duplicate sampling from two different tubes installed at the same location and derived the mean value.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detector with thermal desorption spectroscopy was utilized to perfor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the captured materi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hytoncide particle of the pine forest in the southern temperate zone contained a number of components as follows in descending order: ${\alpha}$-Pinene (39%, $0.28ng/m^3$), followed by ${\beta}$-Pinene (16%, $0.11ng/m^3$), D-Limonene (8%, $0.06ng/m^3$), camphor (6%, $0.04ng/m^3$), camphene (6%, $0.04ng/m^3$), and p-Cymene (5%, $0.04ng/m^3$). There were also 13 additional phytoncide components in trace amou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useful dataset for building a "Healing-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