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OPHYTE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5초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Halophyte Extracts

  • Jae-Bin Seo;Young-Jae Song;Sa-Haeng Kang;Se-Woong-Ko;Dong-Keun Kim;Tae-Hyun Kim;Jeong-Hyang Park;Ju-Ryun Soh;Jong-Sik Ji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79-79
    • /
    • 2020
  • Halophyte is a plant that has evolved to grow well in salty places, and is mainly distributed in coastal wetlands, sand dunes, salt fields, and reclaimed lands in tidal flats and river estuaries. Because it grows in the soil where seawater enters and exits, it is very abound in natural minerals and produces certain metabolites to survive sustainably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anti-inflammatory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15 kinds of halophyte to secure data on halophytes of infinite value as functional materia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 group of halophytes that regulate iNOS expression, which is involved in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induced macrophages. Among the 15 species of halophyte, except for Triglochin maritimum, Suaeda japonica, and Carex pumila, NO production was reduced in 12 species of halophytes, and 7 species of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Artemisia fukudo, Spergularia marina, Aster tripolium, Suaeda australis, Atriplex subcordata, Calystegia soldanell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TNF-α and IL-1β.

  • PDF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경기만 간척지에서 식생 분포에 대한 토양 염도의 영향 (Soil Salinity Influencing Plant Stand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 김은규;천소을;주영규;정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0-288
    • /
    • 2009
  • 간척지에서 식생의 공간적 분포 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중서부 해안 경기만의 신간척지와 간척연대가 다른 간척지 세 곳, 그리고 이들의 인근 비간척 간석지에서 식생 분포를 조사하였다. 토양 염도의 지표로 포화침출액의 전기전도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염도에 따라 식생 분포가 확연이 달랐다. 토양 염도에 따라 각 식생의 최적 서식지가 존재하며, 이는 저염도 지점에는 중성 식물이, 고염도 지점에는 염생식물이 분포함을 의미하고 있다. 서식 식물 군집에 따른 토양 염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토양 염도는 식생 위조지>선구 염생식물지> 혼합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 및 통성 염생식물 혼합지> 혼합 통성염색식물지> 통성염생식물 및 중성식물 혼합지>혼합 중성식물지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토양 염도의 공간적 토양 구배에 따라 식물 종의 분포가 이루어짐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물종의 분포에 따라 토양 염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토양 염도와 식물종의 분포양상 관계는 여러 간척지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식물 군락 밀집도가 간척 이후 식생이 어떤 방향으로 천이되는지의 지표를 제시하여주고 있다.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iversity of the Endophytic Fungal Communities on Korean Seacoasts Showing Contrasting Geographic Conditions

  • You, Young-Hyun;Park, Jong Myong;Seo, Yeong Gyo;Lee, Woong;Kang, Myung-Suk;Kim, Jong-Guk
    • Myc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150-159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endophytic fungi in 3 coastal environments with different climatic, geograph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the volcanic islands of Dokdo, the East Sea, and the West Sea of Korea. The isolated fungal endophytes were characteriz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host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common native coastal halophyte communities from three regions.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fungal endophytes showed clear differences among the sampling sites and halophyte host species. Isolates were also characterized by growth at specific salinities or pH gradients, with reference to previous geographical, geological, and climate studies. Unlike the East Sea or West Sea isolates, some Dokdo Islands isolates showed endurable traits with growth in high salinity, and many showed growth under extremely alkaline conditions. A smaller proportion of West Sea coast isolates tolerate compared to the East Sea or Dokdo Islands isol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unique fungal biota developed through a close interaction between the host halophyte and their environment, even within the same halophyte speci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application of specific fungal resources for restoring sand dunes and salt-damaged agricultural lands and industrialization of halophytic plants.

갯벌생물에서의 미량성분 함량 (Contents of Inorganic Metals from Halophyte and shellfish Living in the Beach Sediment)

  • 박희연;김연계;이두석;송기철;임치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2호
    • /
    • pp.121-126
    • /
    • 2007
  • Halophyte and shellfish are functional and favorite food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contents of inorganic metals to elucidate seafood hygiene & safet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halophyte and shellfish were 1.73, and 1.54 ppb of Cd and 47.37, 25.06ppm of Cu, respectively. Average contents of Hg in halophytes was 0.26 ppb and 50.43 ppb in shellfish. In case of minerals, the average concentrations were 4,475.62, 4,440.54 ppm of Ca, and 3,936.16, 1,227.09 ppm of Fe, 2,145.36, 6.170.60 ppm of P. and 314.53, 162.11 ppm of Zn,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s of heavy metals were all below the permissible amounts in food but minerals showed high levels in halophyte and shellfish.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경기만 간척지에서 식생변화 (Changes in Flora Dynamic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 김은규;정영상;천소을;주영규;정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9-300
    • /
    • 2009
  • 간척후 식생변화를 알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간척지에서 식생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는 2002년 간척된 경기만 행담간석지, 체절후 각각 7년, 9년, 18년 된 충남 석문과 대호, 경기만 행담 간척지이다. 신간척지에서 주 식생은 Suaeda japonica이었으며 다른 식생은 드물었다. 기존 간척지에서는 다양한 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간척지에서는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그리고 Suaeda maritime 등 4종의 염생선구종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간척연대가 진전되면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차례로 출현하고 있었다. 기존 간척지에서 다양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복합하여 나타났고, 이들이 선구종 염생식물보다 우점하였으며, Suaeda japonica는 출현하지 않았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다양성이 높아질수록 선구종염생식물이 감소되는 현상은 식생이 간척후 숙성에 따라 식생이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혼합으로 천이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간척초기에 신간척지에서는 외부식물의 침입에 따라 식생종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은 간척초기에 증가하였으나 선구종염생식물의 상대적 밀도와 빈도는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보다 높았다. 간척후 3년 이후 연구에 의하면 외부식물이 선구종 염생식물이 우점하였다. 이러한 식생의 변화에도 선구종염생식물로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그리고 Suaeda glauca, 통성염생식물로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votus, 그리고 Phragmites communis 등이 간척지에서는 공통적인 주 염생식물으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한반도 하구에 분포하는 식생(염생식물 군락)과 환경요인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Halophyte Communites)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Estuaries in Korea)

  • 성낙필;문정숙;김종학
    • 생태와환경
    • /
    • 제55권1호
    • /
    • pp.19-34
    • /
    • 2022
  •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수행 중인 하구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 연구용역의 일부이며, 2016년~2018년까지 수행된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총 325개의 하구 중 식생분포가 확인되지 않은 25개 지점을 제외한 300개 하구에서 총 187개의 식물군락 유형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염생식물 군락은 53개로 28.3%였다. 하구순환 유형에 따라서는 열린하구에서 41개, 닫힌하구에서 26개 염생식물 군락이 확인되었다. 분포하는 식생과 환경요인 간의 정준상관분석(CCA) 결과 수질요인에서는 염도(전기전도도) 및 T-N, T-P 농도가 상관성이 강했으며 하상재료 요인 중에서는 Silt, Sand, Pebble 구성비율이 가장 강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할 때 한반도 해안 하구에 분포하는 염생식물 군락의 분포 특성은 해역, 하구순환 유형, 염도에 대한 내성, 하상재료 분포 비율 등에 따라 각 우점종의 입지가 차별화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염생식물의 생육지와 토양환경 분석 (Soil Environment Analysis and Habitat of Halophyte for Restoration in the Salt Marshes of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 이점숙;임병선;명현호;박정원;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2-110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7월부터 2008년 4월까지 한국 서남해안의 대표적인 18개 해안 염습지에서 생육지와 토양특성을 조사하여 서남해안 염습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염습지의 생육지 유형에 따라 1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와 하구성 염습지로 구분하고, 2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는 점토성 염습지, 사질성 염습지, 사구성 염습지, 하구성 염습지는 염소택지와 기수성 염습지로 구분하였다. 생육지 유형별 주요 식물군락은 점토성 염습지에서는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칠면초군락, 사질성 염습지에서는 갈대군락, 갯잔디군락, 천일사초군락, 퉁퉁마디군락, 큰비쑥군락, 해홍나물군락, 사구성 염습지에서는 갯그령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염소택지에서는 갈대군락, 갯잔디군락, 해홍나물군락, 천일사초군락, 하구 염습지에서는 칠면초군락,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나문재군락으로 나타났다. 염생식물 군락분포지역의 토양 환경은 염생식물의 생육지 특성에 따른 염생식물군락과 토양의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해안 염습지를 복원할 경우, 염습지를 대상으로 생육지 토양의 물리적 특성, 이화학적특성을 파악하여 생육지 조건에 맞는 염생식물을 선정하고, 이식한 후 자연식생이 형성된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장시킴으로써 염생식물이 안정적으로 정착, 발아, 생장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강화도 동검도 주변 조간대 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광특성 분석 (Analyzing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alt Marsh Vegetation Around Donggumdo Tidal Flat in Ganghwado, Korea)

  • 이윤경;엄진아;유주형;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75-581
    • /
    • 2007
  • 칠면초는 서해안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염생식물 중 하나이다. 이런 염생식물들은 유입되는 퇴적물의 고착능력을 향상시켜 해안 습지의 수직적인 발달에 영향을 준다. 또한 조간대의 탈염화가 지속적으로 진행이 되면 염생식물의 서식지는 염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해안 쪽으로 나가게 된다. 이런 염생식물 서식지의 대상분포변화는 조간대의 육지화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환경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염생식물의 분광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강화도 남단에 위치한 동검도 주변에서 염생식물인 칠면초와 갈대, 퇴적물의 반사도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반사도에 미분을 하여 연안의 다른 식생이나 방조제 같은 인위적인 구조물과 구별이 되는 반사도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칠면초의 경우 600-650nm가 적색반사도 피크영역이, 갈대의 경우 500-570nm가 녹색반사도 피크 영역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퇴적물의 경우 클로로필에 의한 흡수대가 존재하지 않고 350-550nm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그 스펙트럼이 칠면초나 갈대와 확연히 달라 쉽게 구별됨을 알 수 있었다.

새만금 간척지일대 염습지 생태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연구 - 염생식물 발아 전략 및 특성 - (Studies on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alt Marsh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Germination Strategies and Character of Halophytes -)

  • 김창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1-462
    • /
    • 2009
  • A study on vegetation in the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asins and the surrounding regions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as conducted in a series of efforts to determine the expected ecological changes in the salt marshes, to restore their vegetation, to explore the restoring force of halophyte, to examine the community mechanism and, ultimately, to rehabilitate marshy land vegetation along the lakeside, coastal dune and salt marshes of the Saemangeum Project A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ve species such as Suaeda japonica, Salicornia herbacea, Atriplex gmelini, Aster tripolium and Suaeda asparagoides that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estuary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mechanism of halophyte to maintain their community. To find out the strategies of plants for survival and the cause of forming community structure, a research was made as for appearance ratio of young sapling. From the results of laboratory analysis into dynamics of the saplings of halophyte, it was revealed that the germination ratio of the dry area and submerged area decreases in the order of Suaeda asparagoides, Suaeda japonica, Salicornia herbacea, Atriplex gmelini and Aster tripolium.

Relationship between halophyte distribution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 Lee, Seung Ho;Lee, Jeom-Sook;Kim, Jong-W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1호
    • /
    • pp.12-19
    • /
    • 2018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environmental factors and halophyte distribution i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Soils of our study sit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salt marsh and estuary marsh. Results: Salinity was higher in the salt marsh group than that in the estuary marsh group. However, total nitrogen, silt, and clay contents were higher in the estuary marsh group than those in the salt marsh group. Although altitude had a wider range in the salt marsh group, the mean altitude was higher in the estuary marsh group than that in the salt marsh group. Annual halophytes of seed propagation species were distributed parallel to the coast line on salt marsh. Higher coverage of vegetation was found in the area closer to the coast line. Plant density was higher near dead parental plants in estuary marsh, showing less difference in area that was more distant from the coast line. Conclusions: Results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for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ediment environmental factors and germination analysis in the coast lin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alophyte distribution. Therefore, they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coastal plant movement due to sea level r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