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Reflex${\alpha}$-Motor Neur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일시적 혈류 제한과 함께 수행한 저강도 운동 후 알파운동신경원의 변화 (Changes of α-Motor Neuron Excitability after Low-Intensity Exercise with Transient Restriction of Blood Flow)

  • 김종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69
    • /
    • 2015
  • PURPOSE: Low-intensity exercise with transient restriction of blood flow to muscle could be an alternative rehabilitation method which avoid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high-intensity exercise. However, the mechanism of low-intensity exercise with transient restriction of blood flow is not clearly know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 after low-intensity exercise with transient restriction of blood flow using H-reflex analysis. METHODS: Twenty one healthy young adults with no medical history of neurological or musculoskeletal disorder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lpha}$-motor neuron excitability of the triceps surae was assessed using the H-reflex. The amplitude of the M-wave and H-reflex were measured across three conditions: rest, after low-intensity exercise without restriction of blood flow and after low-intensity exercise with restriction of blood flow. The subjects performed low-intensity ankle plantar flexion exercise at their own pace for one minute without or with transient restriction of blood flow achieved by a sphygmomanometer cuff on popliteal fossa at a pressure of 120mm of mercury(120 mmHg). RESULTS: No significant changes of the excitability of the ${\alpha}$-motor neuron were obtained across three different condition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low-intensity exercise with transient restriction of blood flow did not influence to ${\alpha}$-motor neuron excitability of the triceps surae. From the results, I coul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근육 횡방향 테이핑에 의한 ${\alpha}$-운동 신경원 흥분 변화 (Change of ${\alpha}$-motor Neuron Excitability by Taping Across a Muscle)

  • 김종순;김난수;이현옥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27-534
    • /
    • 2010
  • Purpose : The application of tape to modulation of pain and muscular excitability has become common clinical practice among musculoskeletal physical therapy. However, the techniques of the tape application has been relied on empirical evidence in preference to the neurophysiological evidence. Thus, the mechanism of taping has to be elucidated furth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elastic and non-elastic taping across a muscle does indeed change ${\alpha}$-motor neuron excitability. Methods : The study was performed on 10 neurologically healthy adults. Two different types of tape were applied to skin overlying gastrocnemius. The elastic tape stretched up to 120% of its original length but non-elastic tape didn't stretched up of its original length. The tape applied across the direction on thickest part of the gastrocnemius. The ${\alpha}$-motor neuron excitability of the gastrocnemius was assessed using the gastrocnemius H-reflex. The amplitude of the M-wave and H-reflex were measured across three conditions: before tape application, with tape and with the tape removed. Results : No significant changes of the excitability of the ${\alpha}$-motor neuron were obtained across three condition, either in the elastic and non-elastic tape.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I coul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further clinical work will be required.

비복근 스트레칭이 α-운동 신경원 흥분도와 족관절 능동 배측굴곡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strocnemius Stretching on α-Motor Neuron Excitability and Ankle Joint Activ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 김종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78-286
    • /
    • 2009
  • 본 연구는 스트레칭이 $\alpha$-운동신경원의 흥분도를 변화시키는지의 여부와 이에 따른 유연성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는 비복근 H-반사의 Hmax/Mmax 비로 측정하였으며 근육의 유연성은 족관절의 능동 배측굴곡 가동 범위를 통해 알아보았다. 스트레칭은 10명의 건강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총 4분간(2분간의 스트레칭, 1분의 휴식, 2분간의 스트레칭), 각 시기별로 비복근에 적용하였다.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와 유연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칭 적용 전, 1차 스트레칭 적용 직후, 2차 스트레칭 적용 직후, 그리고 2차 스트레칭 적용 후 48시간 후 Hmax/Hmax와 족관절의 능동 배측굴곡 각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차와 2차 스트레칭 적용 후 의미 있는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의 감소와 족관절 능동 배측굴곡 각도의 증가가 나타났으나 스트레칭을 소거한 48시간 후에는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와 족관절의 능동 배측굴곡 가동 범위가 스트레칭 적용전과 비슷한 상태로 되돌아갔다. 이러한 스트레칭에 의한 비복근 $\alpha$-운동신경원 흥분도 감소와 이에 따른 족관절 배측굴곡 유연성 증가는 족관절 주변의 III형 기계적 수용기와 근육에 위치한 골지건 기관의 활성 결과로 사료된다.

테이핑에 의한 α-운동 신경원 흥분도 변화 (Changes of the Excitability of the α-Motor Neuron by Taping)

  • 안소윤;김종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67-174
    • /
    • 2008
  • 테이핑은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 및 부상 방지를 위해 재활과 스포츠 영역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으로 그 작용 기전에 관한 설명은 신경생리학적 측면보다는 경험에 의한 주관적인 설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테이핑의 적용이 신경생리학적으로 ${\alpha}$-운동신경원의 흥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 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건강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비복근의 주행 방향을 따라 탄력성 테이프와 비탄력성 테이프를 테이핑 적용 전, 적용 시 그리고 제거 후 M-파와 H-파의 진폭을 비교하여 테이핑이 D-운동신경원의 흥분에 변화를 일으키는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탄력 테이프와 비탄력 테이프 모두는 ${\alpha}$-운등신경원의 흥분도에 어떠한 변화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선행 연구들과 상이한 결과로서 차후 보다 심도 있고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방식이 정상인의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과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Spinal Motor Neuron and Electroencephalogram Changes after Different Kinesio Taping Method Therapy in normal People)

  • 배세현;김기도;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791-799
    • /
    • 2013
  • 본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척수운동신경원의 흥분성과 뇌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비복근의 테이핑 적용 방식에 따라 실험군 I(n=8); 근육 주행방향, 실험군 II(n=8); 근육 횡 방향으로 구분하여 2주간 실시하였다.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 측정을 위해 경골신경에 자극을 주어 H 반사를 획득하였으며, 뇌파는 ${\beta}$-SMR를 측정하기 위해 C3, Cz, C4에 활성전극을 붙여 테이핑 적용 전, 즉시, 1주일 후, 2주일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I의 척수 운동신경원의 변화는 실험군 II보다 ${\alpha}$-운동신경원의 활성도가 감소하였고 지속 시간도 길었다(p<.05). 뇌파는 실험군I의 ${\beta}$-SMR 활성도가 실험군 II 보다 증가하고 지속시간도 길었다(p<.05). 근육 주행방향에 따른 적용 방식은 횡 방향 보다 ${\beta}$-SMR 뇌파를 더 활성화 시키며, 척수운동신경원의 활성도 감소를 지속적으로 유발함을 알 수 있었다.

보행 시작 시 원심성 근육 수축 조절 (Muscle Eccentric Control in Gait Initiation)

  • 김형동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81-89
    • /
    • 2001
  • 전시냅스 억제(presynaptic inhibition)와 동시냅스 억제(homosynaptic depression)는 보행 시에 분절반사(segmental reflex)를 조절하는 두 가지 독립적인 기전이다. 근방추 피드백(feedback)은 전시냅스 억제(inhibition)를 통해 보행 시 원심성 근육 수축기에서 적절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전시냅스 억제 작용은 H-reflex의 강도로 나타내질 수 있는데, 원심성 근육 수축기 동안 H-reflex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으로 보아 전시냅스 억제 작용은 증가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근방추 구심성 피드백(feedback) 역시 동시냅스 억제를 통해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전시냅스와 동시냅스 억제는 보행 시작 중에 반사의 기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사의 조절 기전은 알파(alpha) 운동 신경원의 흥분도와 더불어 상위 척수의 기전들을 통해서 영향받고 조절된다. 경직성 마비 환자들은 초기의 입각기, 혹은 유각기 중에 손상된 비정상 비복근 H-reflex 조절기전을 보여준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조절기전은 발바닥의 말초신경을 자극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회복될 수 있다.

  • PDF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체위변화에 따른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 변화 (Changes in the Spinal Motor Neuron Excitability Depending on Postural Changes in Post Stoke Hemiplegics)

  • 박영현;김용남;김수현;오석;최지호;김태열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4호
    • /
    • pp.15-2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hanges in the H-reflex and V wave under loading conditions (e.g. prone and standing posi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postural change would affect the H-reflex and V wave in post stroke hemiplegic patients. Methods: Thirty persons with hemiplegia resulting from stroke (20 males, 10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electrically stimulate and record the soleus H-reflexes and V waves under various loading conditions. The normality of the distribution of each variable (H latency, $H_{max}/M_{max}$ ratio, $V_{max}/M_{max}$ ratio) was tested using the Kolmogorov-Smirnov test. The means of normally distributed continuous data were assessed by independent t-test (${\alpha}$=0.05).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_{max}/M_{max}$ ratio (p<0.01), $V_{max}/M_{max}$ ratio (p<0.01), H latency (p<0.01) among the prone and standing positio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H-reflex and V wave in standing position was more active to weight bearing load than prone 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