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Chelat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4초

Amberlite XAD-7 비이온성 수지로 분리 후 2-Hydroxybenzaldehyde-5-nitro-pyridylhydrazone을 이용한 철의 분광학적 정량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Iron with 2-Hydroxybenzaldehyde-5-nitro-pyridylhydrazone after Separation with Amberlite XAD-7 Nonionic Resin)

  • 박찬일;장병두;정덕채;차기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22-526
    • /
    • 1999
  • 2-Hydroxybenzaldehyde-5-nitro-pyridylhydrazone(2HB-5NPH)를 합성하여 철의 분광학적 정량에 응용하였다. 이 시약은 pH 6.0-7.5 범위에서 철과 반응하여 메탄올 용액에서 매우 안정한 노란색의 1:2킬레이트를 형성한다. 철의 농도범위가 0.05∼2.0 ${\mu}gmL^{-1}$일 때 Beer's law에 적용되고 미량의 철을 분광학적으로 정량하기 위하여 Amberlite XAD-7 비이온성 킬레이트 수지로 채워진 짧은 컬럼을 사용하여 분리과정에 적용하였다. 몇가지 이온들의 방해 효과를 연구하였다. 혼합용액으로부터 철이온의 분리는 완충용액(pH 5.0)과 용리액으로서 0.25M HCl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 PDF

$[Cu(L)]I_2\cdot2H_2O(L: 3,14-dimethyl-2,6,13,17-tetraazatricyclo [14,4,$0^{1.18},0^{7.12}$docosane) 착물의 합성 및 구조 (Preparation and Structure of $[Cu(L)]I_2\cdot2H_2O(L: 3,14-dimethyl-2,6,13,17-tetraazatricyclo [14,4,$0^{1.18},0^{7.12}$]docosane))

  • 최기영;김동운;서일환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
    • /
    • 1998
  • [Cu(L)]I2, 2H2o(1) (L:3,14-Dimethyl-2,6,13,17-tetrazatricyclo[14,4,01.18, 07.12] docosane) 착물을 합성하고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착물은 삼사정계, 공간군 P1, a=8.400(1)Å, b=8.986(3) Å, c=9.156(1) Å, α=82.42(1)˚, β=73.61(1)˚ λ=81.04(2)˚, Z=1로 결정화되었으며, 최종 신뢰도 R값은 288K에서 1926개 회석반점에 대하여 0.042이었다. 이 착물의 결정구조는 평면 사각구조를 갖고 Cu-N의 평균 거리는 2.029(11)Å이었다. 이 착물의 육면 고리가 오면 고리는 RRSS 배역을 갖는 이차 NH와 함께 각각 의자 형태와 고우시 형태를 갖는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roup VI Metal Carbonyl Complexes Containing closo-1,2-$(PPh_2)_2$-1,2-$C_2B_1_0H_1_0$ and Their Conversion to Metal Carbene Complexes

  • 박영일;김세진;고재정;강상욱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10호
    • /
    • pp.1061-1066
    • /
    • 1997
  • The complexes M(CO)4-1,2-(PPh2)2-1,2-C2B10H10 (M=Cr 2a, Mo 2b, W 2c) have been prepared in good yields from readily available bis-diphenylphosphino-o-carboranyl ligand, closo-1,2-(PPh2)2-1,2-C2B10H10 (1), by direct reaction with Group Ⅵ metal carbonyls. The infrared spectra of the complexes indicate that there is an octahedral disposition of chelate bis-diphenylphosphino-o-carboranyl ligand around the metal atom. The crystal structure of 2a was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Complex 2a crystallizes in the monoclinic space group P21/n with cell parameters a = 12.2360(7), b = 17.156(1), c = 16.2040(6) Å, V = 3354.1(3) Å3, and Z =4. Of the reflections measured a total of 2514 unique reflections with F2 > 3σ(F2) was used during subsequent structure refinement. Refinement converged to R1 = 0.066 and R2 = 0.071. Structural studies showed that the chromium atom had a slightly distorted pseudo-octahedral configuration about the metal center with two phosphine groups of o-carborane occupying the equatorial plane cis-orientation to each other. These metal carbonyl complexes are rapidly converted to the corresponding metal carbene complexes, [(CO)3M=C(OCH3)(CH3)]-1,2-(PPh2)2-1,2-C2B10H10 (M= Cr 3a, Mo 3b, W 3c), via alkylation with methyllithium followed by O-methylation with CF3SO3CH3.

Formation and Dissociation Kinetics of Tetraaza-Crown-Alkanoic Acid Complexes of Cerium(Ⅲ)

  • 최기영;김동원;정용순;김창석;홍춘표;이용일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6호
    • /
    • pp.671-676
    • /
    • 1998
  • The formation and dissociation rates of $Ce^{3+}$ Complexes of the 1,4,7,10-tetraaza-13,16-dioxacyclooctadecane-NN', N",N"'-tetraacetic acid (1), 1,4,7,10-tetraaza-13,16-dioxacyclooctadecane-N,N',N",N"'-tetramethylacetic acid (2), and 1,4,7,10-tetraaza-13,16-dioxacyclooctadecane-N,N',N",N"'-tetrapropionic acid (3) have been measured by the use of stopped-flow spectrophotometry. Observations were made at 25.0±0.1 ℃ and at an ionic strength of 0.10 M $NaClO_4$. The complexation of $Ce^{3+}$ ion with 1 and 2 proceeds through the formation of an intermediate complex $(CeH_3L^{2+})^*$ in which the $Ce^{3+}$ ion is incompletely coordinated. This may then lead to be a final product in the rate-determining step. Between pH 4.76 and 5.76, the diprotonated $(H_2L^{2-})$ from is revealed to be a kinetically active species despite of its low concentration. The stability constants $(logK(CeH_3L^{2+}))$ and specific water-assisted rate constants $(k_{OH})$ of intermediate complexes have been determined from the kinetic data. The dissociation reactions of $Ce^{3+}$ complexes of 1, 2, and 3 were investigated with $Cu^{2+}$, ions as a scavenger in acetate buffer. All complexes exhibit acid-independent and acid-catalyzed contributions. The effect of buffer and $Cu^{2+}$ concentration on the dissociation rate has also been investigated. The ligand effect on the dissociation rate of $Ce^{3+}$ complexes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side-pendant arms and the chelate ring sizes of the ligands.

두 개 산소가교형 몰리브덴(V) 착물의 합성과 그 성질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Di-$\mu$-oxo-bridged Molybdeum(V) Complexes)

  • 도길명;김일출;최보용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8-203
    • /
    • 1995
  • 두 개 산소가교형의 $[Mo_2O_4(H_2O)_6]_2^+$와 디티오 디카르복시기를 가진 리간드를 반응시켜 $Mo_2O_4(H_2O)_2L(L:\;C_3H_7CH(SCH_2COOH)_2,\;C_6H_5CH(SCH_2COOH)_2,\;CH_3OC_6H_4CH(SCH_2COOH)_2,\;C_5H_{10}C(SCH_2COOH)_2,\;C_3H_7C(CH_3)(SCH_2COOH)_2,\;C_3H_7CH(SCH_2CH_2COOH)_2,\;C_6H_5CH(SCH_2CH_2COOH)_2)$형의 착물을 합성하고 이들 착물의 구조를 분광학적인 방법(IR, $^1H$ NMR, UV-Visible)으로 그 구조를 규명한 결과 한 개의 리간드가 두 몰리브덴 금속에 킬레이트형으로 결합되며 말단 산소간에는 트란스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 각 말단산소의 트란스에 $H_2O$가 한 개씩 배위되어 있다. 이들 착물들의 산화 환원전위값을 순환 전압전류법으로 수용액상에서 측정한 결과 환원전위는 -0.50∼-0.58 V(vs. SCE) 사이, 산화전위는 -0.41∼-0.43 V(vs. SCE) 사이에서 나타나며 이들 산화-환원 전류비 값이 거의 1에 가깝고 전위차이 값이 0.10 V 정도인 것으로 보아 두 개 산소 가교형의 기본 골격이 유지되는 가역적인 산화-환원 반응으로 추정된다.

  • PDF

사독의 조해물질에 관한 연구 (Inhibitory Substance on the Snake Venoms Produced by Penicillium sp.)

  • Seu, Jung-Hwn;Yi, Dong-Heu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89
    • /
    • 1979
  • 사독은 단백성물질이며 그 작용은 효소적이다. 동물에 대한 강력한 작용은 독사교상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독사에 대한 항혈청의 개발은 오래 전부터 이루어 졌으며 근년에 와서는 거의 완성된 상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편에서도 항혈청에 지니고 있는 몇가지의 결점으로 인하여 유효한 화학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사독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획일적인 치료제를 얻기란 매우 곤란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독을 화학물질로써 불활성화 시키려는 시도는 많아서 chelate 성 물질 thio 화합물, 혹종의 Amino acid, Tannic acid 등 단백질 응고제 등 시험관내에서는 강력히 작용하는 물질이 많이 발견되었으나 이들의 작용은 사독에 대해서 비특이적이며 또한 생체내에서의 작용이 강하여 그의 이용에 많은 제한이 있다. 저자들은 미생물로부터 사독에 대한 조해물질의 검색을 시도했던바 Penicillium 속의 한균주로 부터 유효한 물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것을 ISV-33이라 명명하였다. 이 물질은Agkistro-don 및 Trimeresurus 류 사독의 Proteinase와 출혈인자 및 치사인자에 잘 작용하여 이것들을 불활성화시키나 일반효소에는 거의 작용하지 않았다. 이 물질은 사독에 대해서 $\frac{1}{4}$~$\frac{1}{8}$ 량으로서 충분히 작용하나 그 자체의 독성은 위를 대상으로 실험했을 때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 이 물질은 사독에 대해서 특이성이 강하며 in vivo에서도 작용한다. 이 물질은 결정성이며 열수에는 용이하게 용해하나 명수나 명종 유기용매에는 거의 용해하지 않으며 단지 Ethylacetate에는 약간 용해한다. mp는 222$^{\circ}C$에서 승화하며 분자량 약 392인 Tetra carboxylic acid로 동정되었다 분자식은(C$_{8}$ $H_{6}$N $O_{5}$)$_2$라고 인정되며 이 물질은 Polycarboxylic acid 이므로 chelate 작용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금속효소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작용하지 않음으로 사독의 불활성화에 있어서 chelate 작용에 인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그 구조식은 아직 확정하지는 못하였으나 지금까지의 실험결과로서 cyclo hexane을 골격으로 하고 여기에 Epoxy group와 caborxyl 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 물질은 산, Alkali, 가열등에 대해서 매우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일부는 문교부 연구조성비(1978년도)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 PDF

카이틴, 카이토산, EDTA, DTPA의 방사성스트론튬(Sr-85) 착화물 형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Radiostrontium Chelation with Chitin, Chitosan, EDTA and DTPA)

  • 범희승;김영호;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91-395
    • /
    • 1998
  • 목적 : 방사성스트론튬은 핵사고시 방사성옥소, 방사성세슘 등과 더불어 환경 중으로 다량이 방출되어 환경 및 인체를 오염시키는 방사독소 중의 하나이다. 본 실험에서는 분자량이 서로 다른 카이틴 3종, 카이토산 3종, 인산카이토산 1종 등의 천연착화제와 EDTA, DTPA 등의 화학적착화제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통해 방사성스트론튬에 대한 착화율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에 사용한 카이틴 및 카이토산, 인산카이토산, EDTA, DTPA은 모두 수용성으로 생리식염수에 녹여 0.01%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컬럼은 PD-10 Sephadex G-25 M을 사용하였다. 착화물 형성비율은 전체 분획의 방사능 중 착화물의 분획이 차지하는 비율(%)로 산출하였다. 결과: 카이틴, 카이토산, 인산카이토산과 같은 천연착화제나 EDTA, DTPA 등의 화학적착화제 모두 pH 3, 5, 7에서 평균 90% 이상의 높은 착화율을 나타내었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천연착화제인 카이틴, 카이토산은 화학적착화제와 차이가 없이 방사성스트론튬에 대해 우수한 착화율을 보이므로, 무독성인 점을 감안한다면 방사성스트론튬 오염에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착화제라고 사료된다.

  • PDF

무거운 란탄이온의 전기화학적 거동 및 중금속이온의 킬레이트형 착물의 합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제2보). 8배위 텅스텐(IV)과 세륨(IV)의 킬레이트형 착물의 합성 및 특성 (Studies on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of Heavy Lanthanide Ions and the Synthesis,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 Chelate Complexes(I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Eight Coordinate Tungsten(IV) and Cerium(IV) Chelate Complex)

  • 강삼우;장주환;서무열;이두연;최원종
    • 분석과학
    • /
    • 제5권1호
    • /
    • pp.41-49
    • /
    • 1992
  • 질소와 산소를 주게원자로 가진 5,7-dichloro-8-quinolinol(Hdcq)와 8-배위하는 텅그스텐(IV)과 세륨(IV) 착물과 질소와 황을 주게원자로 가진 2-mercaptopyrimidine[Hmpd] 리간드와 8-배위 텅스텐(IV) 착물을 합성하였으며 두자리 리간드 5,7-dichloro-8-quinolinol(Hdcq)과 2-mercaptopyrimidine(Hmpd)을 포함하고 있는 새로운 계열의 혼합 리간드 8-배위 텅그스텐(IV) 착물들을 합성하여 TLC법으로 분리하였다. 각각의 화학종 $W(dcq)_4$, $W(dcq)_3(mpd)_1$, $W(dcq)_2(mpd)_2$, $W(dcq)_3$$W(mpd)_4$의 MLCT 최대 흡수파장은 700nm, 680nm, 625nm, 581, 그리고 571nm(${\varepsilon}\;max={\sim}>{\times}10^4$)로 낮은 에너지에서 나타나며 $Ce(dcq)_4$의 특성파장은 520nm(${\varepsilon}\;max={\sim}>{\times}10^4$)에서 나타났다. $^1H$-NMR로 배위된 위치의 proton의 화학적 이동값이 $W(dcq)_4$ [$H_2:8.88ppm$]; $W(dcq)_3(mpd)_1$ [$H_2:9.30$, $H_6:9.18ppm$]; $W(dcq)_2(mpd)_2$ [$H_2:9.72$, $H_6:8.95ppm$]; $W(dcq)_1(mpd)_3$ [$H_2:9.77$, $H_6:9.39ppm$]; $W(mpd)_4$ [$H_6:8.80ppm$]; $Ce(dcq)_4$ [$H_2:9.30ppm$]이었다. 이 착물들에 대한 광활성 착물로써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극성용매인 DMSO $90^{\circ}C$에서 반응속도론적 안정성을 UV-Vis. 분광법으로 조사하여 안정도의 순위는 $W(dcq)_3(mpd)_1;k_{obs.}=3.8{\times}10^{-6}$ > $W(mpd)_4;k_{obs.}=6.0{\times}10^{-6}$ > $W(dcq)_4;k_{obs.}=6.4{\times}10^{-6}$ > $W(dcq)_2(mpd)_2;k_{obs.}=7.0{\times}10^{-6}$ > $W(dcq)_1(mpd)_3;k_{obs.}=1.7{\times}10^{-5}$로 각기 16일, 10일, 9일, 8일, 그리고 4일까지 안정하였으며 구조적 특성으로 고찰하였다. Xylene과 DMSO $90^{\circ}C$에서 $W(mpd)_4$는 Xylene에서 $k_{obs.}=3.6{\times}10^{-6}$(16일), DMSO에서 $k_{obs.}=6.0{\times}10^{-6}$(10일)로 매우 안정하였다.

  • PDF

($Zn(BOX)_{2}$$Zn(BTZ)_{2}$의 광발광 특성 및 전계발광 특성에 대한 전기 화학적 연구 (An Electrochemical Study on Photoluminescent and Electr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Zn(BOX)_{2}$ and $Zn(BTZ)_{2}$)

  • 박지영;권오관;최돈수;김영관;손병청;하윤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66
    • /
    • 2000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OELD) consisted of multilayer structures have been studied for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to flat-panel display. Metal-chelate complexes, zinc bis(2-(2-hydroxyphenyl)benzoxazolate) ($Zn(BOX)_{2}$) and zinc bis(2-(2-hydroxyphenyl)benzothiazolate) ($Zn(BOX)_{2}$), have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as an white-light emitting layer and recognized to have good electroluminescent(EL) properties. In this study, ($Zn(BOX)_{2}$) and ($Zn(BTZ)_{2}$)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FT-IR, $^{1}H-NMR$, UV-VIS and PL. Their EL properties were also studied and their ionization potential(IP) and electron affinity(EA) were also measured by cyclic voltammetry(CV).

DBHQ-OPP foam에 의한 Hg(II)의 흡착과 분리 (On the Separation and Adsorption of Hg(II) by DBHQ-OPP Foam)

  • 성창근;문영자;김찬조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345-353
    • /
    • 1983
  • 수용액에 존재하는 중금속이온중의 Hg(II)을 정량적으로 분리 회수하기 위하여 DBHQ(5. 7-dibromo-8-hydroxyquinoline)을 Open-pore polyurethane foam (OPP foam)에 침윤시켜 수지의 응용성을 연구하였다. Hg(II)의 흡착은 DBHQ와 1:2 몰비의 착물형성이 이루어지며 Hg(II)의 흡착과 분리는 Batch법으로 실험하여 최적조건을 결정하였다. 가장 양호한 흡착은 DBHQ의 등전점인 pH5.0 부근에서 그리고 분리하는데는 4M-HCl, 50% 아세톤 용매를 사용하였을 경우가 비교적 정량적인 흡착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조건이었으며 이와같은 결과를 기초로 DBHQ-OPP foam에 대한 Hg(II)의 흡착 및 분리에 대한 반응메카니즘을 제안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