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onggi Librar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19초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행정조직의 분석적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f Librar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Local Governments - Focused on Gyeonggi Province -)

  • 김홍렬;조현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49-369
    • /
    • 2014
  • 본 연구는 경기도 31개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행정조직의 편성과 운영형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도서관 행정조직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본청에 직속으로 편성된 도서관 조직은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사업소 등의 외청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또한 도서관 관련 조직이 도서관사업소 등의 독립적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타 업무나 조직 하에 배속되어 있는 경우가 매우 많았으며 셋째,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봉사대상 인구수나 도서관 직원 수, 도서관 수를 감안했을 때 이에 부합하지 않는 직급의 도서관 행정조직을 구성한 곳도 많았다. 넷째, 도서관 정책담당 부서의 설치가 미비하였다. 다섯째, 도서관 운영체제(중앙관-거점관-분관)가 효율적으로 구성되지 못하였다.

지역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경기도메모리' 사례 (Building Local Digital Archives: The Case of "Gyeonggi-do Memory")

  • 신정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1-166
    • /
    • 2020
  • 경기도사이버도서관은 경기도 지역의 문화자원 기록을 광범위하게 수집, 디지털화하여 누구나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 디지털 아카이브인 '경기도메모리'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4년부터 도서관의 디지털 정보서비스를 확장하면서 '경기도메모리'를 시작하였으며 도내 각종 문화기관들과 협력을 기반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였다. 경기도 안에서 생산하거나 경기도를 다루고 있는 기록을 보존하는 저장소이자, 연구자와 시민들과 함께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경기도 작은도서관 조례 분석 및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Direction for Revision of the Small Library Ordinance in Gyeonggi-do)

  • 최만호;노영희;장로사;김윤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87-212
    • /
    • 2020
  •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생활 SOC 복합화 사업으로 인해 앞으로 경기도 작은도서관은 양적으로 보다 증가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으며, 이에 작은도서관이 내실화를 통해 질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제도적·정책적인 지원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본청을 포함하여 경기도내 31개 시군의 작은도서관 조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경기도 작은도서관을 활성화하기 위한 개정방향 및 조례(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경기도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① 작은도서관 관련 도서관법 및 사업 추진 강화, ② 작은도서관 설치 및 지원에 대한 도서관법 조항 강제조항으로 제정, ③ 「도서관법」에 관련 조항이 있을지라도 지방자치단체 작은도서관 지원 조례에서도 「도서관법」에서 명시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는 사항만이라도 간단히 기술, ④ 해당 시군 작은도서관의 봉사대상자의 수와 장서의 규모를 반영한 작은도서관 확보 운영인력의 수 및 자격조건에 대한 조항 규정 등을 제안하였다.

광역대표도서관의 메타버스 기반 협력적 콘텐츠 구축 모델: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A Metaverse-based Collaborative Content Building Model for Representative Libraries: Focusing on the Gyeonggi-do Region)

  • 김성훈;김미령;노윤주;심효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1-244
    • /
    • 2023
  • 주민참여예산으로 메타버스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경기도서관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와 각종 정보자원을 분석하여 경기광역대표도서관에 적합한 메타버스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광역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협력적 콘텐츠 구축 및 서비스 모델을 일차적으로 제시한 뒤, 광역대표도서관,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의 각종 도서관의 현장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광역대표도서관의 메타버스 역할, 콘텐츠, 협력 가능한 콘텐츠 및 원활한 협력을 위한 고려사항 등을 도출하였다. 사서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광역대표도서관 메타버스의 역할은 도서관 자료의 연속적인 이용을 위한 도구이며 지역 전체를 위한 서비스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응답자의 3/4이 협력적 콘텐츠 구축에 참여의향을 보였으며, 참여 시 우려가 되는 점은 인력과 예산, 업무과중으로 나타났으며, 광역대표도서관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볼 수 있었다.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Proposal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ies in the Residential Communities in Gyeonggi-do)

  • 노영희;최만호;김윤정;장로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71-95
    • /
    • 2020
  • 국내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에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비율이 42%에 이르고 있으나, 법적 의무에 의해 설립된 도서관들이 자발적 의지에 의존하여 관리·운영됨에 따라 휴관·폐관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지 내 마을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을 통해 활성화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작은도서관의 현황 조사, 경기도 및 31개 시군의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동주택단지내 작은도서관 운영의 실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공동체 인식 개선, 자체 운영 능력 배양, 법·제도 개선, 지자체의 지원 강화의 4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실천방안을 도출하였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뿐 아니라 타 사립작은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연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 역할에 관한 지역 주민과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s' and School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Role of School Library as Local Reading Cultural Center: Focusing on Gyeonggi-Do)

  • 조미아;허정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97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지역 주민과 학교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지역 사회에 개방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전화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대다수는 학교도서관의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운영된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도서관 담당 사서는 지역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책'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적용 방안 연구 - 경기도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pplication Case Analysis of Human Book Programs to the Library: Focused on the Case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임성관;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45-368
    • /
    • 2018
  •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운영한 '사람 책'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여, 도서관에서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사람 책'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경기도교육청 주관으로 운영된 '사람 책'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참여 독자들은 '사람 책'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해하면서 본 프로그램이 지속되기를 희망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사람 책'들과의 만남, 그들과의 대화 시간이 확대되기를 기대하는 것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도서관에서의 '사람 책'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도서관에서의 '사람 책' 프로그램 계획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Development of Desk for Public Reading in Library

  • Kang, Myung-Sun;Chang, Yub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28-438
    • /
    • 2008
  • Through this study, I developed a new-styled desk for public reading in librar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KIFURS Co., Ltd." established and branded by a part of the members of the association 'Gyeonggi-Incheon Furniture Industry Cooperative', in the background of growing library-furniture market situation according to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related participations of competitive companies. The differentially designed product was herein presented by introducing the function of office furniture and related material, by giving the existing product some improvements on the basis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 search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ed product is that the basic structure of the desk for public reading is easy to assemble & disassemble and also variable to be extended & modified. This basic structure is available to be mass production and to be pricewise through using aluminum.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other library-furniture and office furniture, too. Also the luxury image was pursued by modern shape and different material, unlike the existing library-furniture.

  • PDF

학교도서관의 도서반 활동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마케팅 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Marketing Effectiveness of the Student Assistants Activities in the School Library)

  • 최예윤;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3-165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도서반 활동이 이용자인 학생들과 학교도서관에 미치는 영향을 마케팅 관점에서 살펴보고, 도서반을 이용한 학교도서관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소재 중학교 9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충성도를 포함한 학교도서관의 마케팅 효과는 내부 및 체험마케팅 요소와 같은 도서반의 활동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서반의 활동이 효과적인 구전마케팅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학교도서관 마케팅에 도서반을 활용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Drive-thru Library Service in Korea

  • Lim, Seong-Kwa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2호
    • /
    • pp.33-4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se of 'drive-thru' services newly introduced and tried in libraries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and to develop and propose a service model so that this service can be continuously applied to all libraries in the future. Therefore, the method of study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selecting one of the representative libraries that provide related services in Seoul Special City,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Anyang City of Gyeonggi Province.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elve people in charge to find a way to apply the drive-thru service to the library. As a result, the library's drive-thru service is a way to fulfill the library's original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materials while minimizing faceto-face contact with user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a suitable method for a library of complex buildings, where there is a lack of parking space. In addition, it was deduced that it may be one of the ways to use the library efficiently for office workers who are unable to use library services during the opening hours. Therefore, if the drive-thru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developed model,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library visit rate and data utilization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