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ngnam Are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적엽 수준이 '설향' 딸기의 과실 특성, 식물체 생육 및 탄수화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Degrees of Defoliation on 'Seolhyang' Strawberry's Fruit Characteristics, Plant Growth and Changes in Nonstructural Carbohydrates)

  • 이상우;윤재길;홍점규;최기영;박수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5
    • /
    • 2019
  • 수확기간 동안 적엽 수준이 수경 재배한 '설향' 딸기의 과실 특성, 식물체 생육 및 탄수화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효과적인 적엽관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3년 11월 29일에 잎을 무적엽, 9매, 5매 남기고 적엽하였다. 과실수와 과실 수량은 1화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 3, 4 화방에서 적엽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과실의 당도와 산도는 모든 화방에서 적엽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딸기 식물체는 모든 처리구에서 엽면적과 엽건물중이 1월부터 3월까지 감소하였고, 뿌리 건물중은 2월에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후 봄철 4월에 식물체 생장이 증가하였다. 적엽이 증가할수록 과실, 화방, 관부, 뿌리 건물중이 감소하였고, 생육 후반기로 갈수록 적엽 정도에 의한 차이가 현저하였다. 탄수화물 함량은 2014년 1월 30일과 2월 28일을 제외하고 과실보다 잎에서 많았고, 과실 생산이 연속적인 딸기 식물체는 잎과 뿌리에서 탄수화물 함량이 감소하였다. 적엽이 증가할수록 과실, 화방, 관부, 뿌리의 탄수화물 함량이 감소하였다. 딸기 식물체는 수확기간 동안 적엽을 최대한 자제하고, 12월에는 12매, 1월부터 3월까지는 14매 정도의 잎을 유지하고, 잎의 수가 증가하는 4월에는 오래된 잎 위주로 적엽을 실시한다.

경남지역 고등학교의 교사배치와 외부공간 구성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and External Space of High School in Gyeongnam Area)

  • 양금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9-2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 of external space general high schools newly established or planned in Gyeongnam from 2001 starting the 7th curriculum to 2006.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site plan type, composition state of external space and area ratio of its composition of each high school facilities are as follows: 1) In facilities arrangement of high schools, it shows diverse forms of arrangement from existing uniform straight type, however, most of schools do not being against the simple in their external space. 2) Comparing to traditional high school facilities, it occurs various types of plane and the area is somewhat expanded in the school with same class size, however, it needs to improve facility standards in its reality to deal with the change of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actively.

  • PDF

설계기준 변경에 따른 유출계수 추정 - 공원을 중심으로 - (Estimation of Runoff Coefficient according to Revision of Design Criteria, in case of Park)

  • 김태균;김태진;이보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9-217
    • /
    • 2016
  • 합리식은 유역 면적, 강우강도와 토지이용 또는 표면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일정한 범위의 유출계수로 이루어져있다. 2011년에 개정된 하수도시설기준에서는 5~10년 재현기간의 설계홍수량을 증가하기 위해 재현기간을 10~30년으로 조정하였다. Ponce, ASCE 등은 재현기간(강우강도)이 클수록 큰 유출계수를 적용할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 재현기간의 상향조정에 따른 유출계수의 증가에 대하여서는 현재 조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및 표면형태에 많은 차이를 보이는 공원을 대상으로 불투수면적비 변화와 설계확률년수 조정에 따른 유출계수를 추정하고자 한다. 첫째, 20개 도시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004개 공원을 대상으로 표면형태별 면적비를 구하여 유출계수를 추정하였다. 둘째, 재현기간 조정에 대한 영향은 재현기간 10년에 대한 30년의 유출계수비를 69개 기상관측소 지점에 대하여 지속기간별로 구하였다. 이에 따라, 표면형태의 차이와 재현기간 조정을 고려한 재현기간 10~30년 에 대한, 공원의 유출계수는 0.43~0.54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적 편차와 지속기간별 편차는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 및 부모부양의식의 세대별 비교연구 -노년, 중년, 청년층을 중심으로- (Familism, filial piety and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among adolescent, middle, and old generation)

  • 최정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85-10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traditional family ethics exist in morden society. For this goal, I have analyzed norm consciousness of the family among adolescent, middle and old generation. In this research, three kinds of questionnaire were used an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1,661 samples of three generation groups living in Gyengnam area.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lial piety and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were not changed at all in traditional family ethics. The filial piety and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are the most important family concepts without showing any difference in generation-gap in modem society. Second, the decreasing traditional norm consciousness of family was familism value. Specialty the familism value becomes weaker from old to younger generation. Third, the filial piety and familism value were shown to be the important factors to support their parents. These concepts showed same trends without showing generation-gap.

  • PDF

인공광원이 사과 대목 M.9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the Growth of Apple Rootstock M.9 Seedling)

  • 소은희;안진희;김재경;윤여중;박수정;나종국;최기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1-348
    • /
    • 2018
  • 본 실험은 영양번식계 사과배양묘의 규격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순화된 사과 M.9묘의 광질 영향이 생육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6주간 환경이 조절된 룸에서 재배하였다. 인공광원은 6처리[적색(R), 청색(B), 백색(W), RBUV(UV-A 함유된 R7B3), RBW(R3B1W1), SMF(고압나트륨+메탈할라이드+형광등)]이며 식물에 조사된 광량은 $154{\pm}4{\mu}mol{\cdot}m^{-2}{\cdot}s^{-1}$이였다. 사과 묘 생육 특성 반응은 3주와 6주 각각 인공광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사과 묘 초장이 3주에는 R, RBUV, RBW, SMF 광원에서 높았으나, 6주에는 R 광원에서 높았다. 묘경은 3주째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6주째는 RBUV, RBW 광원에서 높았으며, 엽수는 3주와 6주 모두 RBUV 광원에서 가장 많았다. 엽록소 함량 SPAD 값은 3주째는 B와 RBUV 광원과 광원에서 높았으나 6주째는 차이가 없었다. 초장을 기준으로 인공광원 처리기간 중 생장율은 R 광원에서 1.12mm/day로 가장 빨랐으며, RBUV 광원(0.95mm/day), RBW 광원(0.86mm/day), SMF 광원 (0.76mm/day), W 광원(0.69mm/day), B 광원(0.44mm/day) 순 이였다. 엽면적은 RBUV, RBW 광원에서 높았고, B 광원에서 낮았으며, 비엽면적은 W 광원에서 높았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RBUV 광원에서 높았다. 처리 6주째 광합성율은 B 광원에서 가장 높았으며, R 광원에서 낮았고, 기공전도도와 증산율은 B와 W 광원에서 높았다. 따라서 순화된 기내 배양 사과 M.9묘의 초장, 묘경, 엽수, 생체중 등 생육을 위해서는 광파장 영역이 R, R+B가 혼합비율이 높았던 R, RBUV, RBW 광원이 적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