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t content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5초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자치어의 먹이생물 (Food Organisms of Juveniles of Tridentiger trigonocephalus from the Intertidal Zon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 김종연;윤종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180-185
    • /
    • 2016
  • 두줄망둑 자치어기의 먹이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2년 5월말부터 6월초 사이에 충남 서천군 서면 도둔리의 조간대에서 채집된 두줄망둑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섭식참여율은 낮 동안에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줄망둑의 자치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copepods, amphipods, shrimp larvae, polychaete larvae 등이었으며, 이들이 건중량의 2% 이상을 차지하였다. 그중에서 copepods가 평균 65.5%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고, polychaete larvae, shrimp larvae 등의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다. 먹이생물의 개체수 조성비를 보면, copepods가 65.4%를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polychaete larvae는 22.6%, shrimp larvae는 14.5%를 차지하였다. 먹이생물 중 copepods는 개체수 조성비가 높고 출현율도 높아서, IRI가 5,369.3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polychaete larvae는 653.1, shrimp larvae는 287.1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두줄망둑의 자치어기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copepods, polychaete larvae, shrimp larvae 등이었다.

LC-MS/MS와 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한 테트라민 분석 (Tetramine Analysis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and Ion Chromatography)

  • 송기철;이가정;김지회;윤호동;유홍식;목종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5-49
    • /
    • 2011
  • As a first step toward identifying a new method for testing sea snail tissue for toxins, and thus prevent food poisoning due to the ingestion of contaminated snails, we measured the tetramine [$(CH_3)_4N^+$] contents of sea snails from the Korean coast using both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nd ion chromatography. For tetramine tested, good linearity ($r^2$ = 0.9996) was observed between the amounts in the injected samples and the peak areas of standard toxins, which ranged from 0.1 to 100 ng. The recovery (%) of tetramine from spiked tissue and mid-gut gland samples ranged from 84.0 to 95.3%. The quantitative results for tetramine using this method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heoretical values. LC-MS/MS has both high sensitivity and selectivity, which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trace quantities of tetramine in samples.

식이 베타-글루칸이 흰쥐의 장내 단쇄지방산 조성 및 장내환경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β-Glucan on Short Chain Fatty Acids Composition and Intestinal Environment in Rats)

  • 홍경희;장기효;강순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2-170
    • /
    • 2016
  • The effects of dietary ${\beta}$-glucan, obtained from bacterial fermentation, on the intestinal mass, short chain fatty acids, lactate production and pH in Sprague-Dawley (SD) rats were evaluated. SD rats fed with 0% (control group), 1% or 5% ${\beta}$-glucan supplemented diets (w/w) for 3 weeks. The presence of ${\beta}$-glucan in the diet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olonic content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amount of short chain fatty acids increased in rats fed ${\beta}$-glucan diets. Rats fed the 5% ${\beta}$-glucan diets had higher levels of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by 1.8, 1.7 and 3.0 fold of the control group in the cecum, and 2.2, 2.9 and 3.1 fold of the control group in the colon, respectively. The ${\beta}$-glucan diet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s of cecal and colonic lactate by 1.4~3.4 fol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indicating that dietary ${\beta}$-glucan stimul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ithin the intest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beta}$-glucan, by providing short chain fatty acids and reducing the cecal and colonic pH, may be beneficial in improving gut health, and provide evidence for the use of ${\beta}$-glucan as a dietary supplement for human consumption.

통영 연안 조간대의 조수웅덩이에 출현하는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ongchin goby, Chaenogobius annularis in the tidepools at the intertidal zone of Tongyeong, Korea)

  • 조갑자;김현지;박종혁;최희찬;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7-272
    • /
    • 2016
  • 채집기간 동안 총 315개체의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채집되었으며, 8.6%의 공복률을 보였다. 점망둑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 50.5%를 차지한 요각류(Copepoda)였다. 요각류 다음으로 해조류(Seaweed)가 우점하였으며, 그 외 곤쟁이류(Mysidacea), 만각류(Cirripedia), 단각류(Amphipoda)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점망둑은 성장함에 따라 요각류의 섭식은 감소하였고 해조류의 섭식이 증가하였다.

다양한 다당류를 분해하는 세균 Microbulbifer agarilyticus GP101의 완전한 유전체 서열 (Complete genome sequence of Microbulbifer agarilyticus GP101 possessing genes coding for diverse polysaccharide-degrading enzymes)

  • 정재준;배승섭;정다운;백경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99-301
    • /
    • 2018
  • Microbulbifer agarilyticus GP101은 소라(Turbo cornutus)의 내장에서 분리되었으며 해조류 유래 다당류인 한천, 알긴산, ${\kappa}$-카라기난을 분해하는 특징이 있다. GP101 균주의 유전체는 4,255,625 bp 크기로 3,458개의 코딩 서열을 포함하며 55.4%의 GC 함량을 가진다. BLASTP 분석 결과 7개의 agarase, 5개의 alginate lyase, 10개의 glucanase, 4개의 chitinase, 2개의 xylanases, 1개의 ${\kappa}$-carrageenase, 1개의 laminarinase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M. agarilyticus GP101의 유전체 정보는 다당류의 생물전환 공정에 이용할 수 있는 유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merican ginseng attenuates azoxymethane/dextran sodium sulfate-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mice

  • Yu, Chunhao;Wen, Xiao-Dong;Zhang, Zhiyu;Zhang, Chun-Feng;Wu, Xiao-Hui;Martin, Adiba;Du, Wei;He, Tong-Chuan;Wang, Chong-Zhi;Yuan, Chun-S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1호
    • /
    • pp.14-21
    • /
    • 2015
  • Background: Colorectal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a risk factor for this malignancy. We previously reported colon cancer chemoprevention potential using American ginseng (AG) in a xenograft mice model. However, the nude mouse model is not a gut-specific colon carcinogenesis animal model. Methods: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colitis and colitis-associated colorectal carcinogenesis mouse model, chemically induced by azoxymethane/dextran sodium sulfate (DSS) was established and the effects of oral AG were evaluated. The contents of representative ginseng saponins in the extract were determined. Results: AG significantly reduced experimental colitis measured by the disease activity index scores. This suppression of the experimental colitis was not only evident during DSS treatment, but also very obvious after the cessation of DSS, suggesting that the ginseng significantly promoted recovery from the colitis. Consistent with the anti-inflammation data, we showed that ginseng very significantly attenuated azoxymethane/DSS-induced colon carcinogenesis by reducing the colon tumor number and tumor load. The ginseng also effectively suppressed DSS-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s activation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rray, in which 12 proinflammatory cytokine levels were assessed, and this effect was supported subsequently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data. Conclusion: AG, as a candidate of botanical-based colon cancer chemoprevention,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for its potential clinical utility.

Fisheries in Lake Tinishu Abaya (Ethiopia) could be managed using dietary natur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1757)

  • Yirga Enawgaw Anteneh;Solomon Wagaw Mamo;Minichil Addis Tilah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491-499
    • /
    • 2023
  • Lake Tinisu Abaya is home to some fish species. The lake's native fish species include Barbus and Tilapia zilli. Tilapia fish (Oreochromis niloticus L.) were stocked in Lake Tinishu Aabaya in 1997.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behaviors of O. niloticus in Lake Tinishu Abaya to develop an appropriate fisheries management approach in the lake. 428 O. niloticus fish samples (2.5 to 30.9 cm and 1.1 to 475 g) were collected to calculate the diet composition. Out of the total of 428 gut contents examined, 55 (12.85%) were found to be empty and 373 (87.15%) to be containing one or more food items. The diet behavior of the stocked fish in the study lake revealed that phytoplankton (39.5% by volume) and macrophytes (25.81% by volume) were the most noteworthy food items followed by detritus (14.39%) and zooplankton (12.95%). With increasing fish size, the importance of phytoplankton, macrophytes, and detritus increased while the contribution of zooplankton, insects, and other foods with an animal origin decreased.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fish was evident (t-test; p < 0.05). Macrophytes, zooplankton, and detritus were the dominating food items during the wet season, while phytoplankton predominated during the dry seas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O. niloticus had phytoplanktivores that primarily consumed phytoplankton and that the seasons and fish siz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feeding preferences. The diet of O. niloticus in Lake Tinishu Abaya comprised foods with both plant and animal origins. It concludes that the dietary habit of O. niloticus in the lake is, generally, the omnivorous type.

탁주 주박의 섭취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의 혈당수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akju(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순미;조우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38-643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akju(Korean turbid rice wine)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24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control(NC), diabetic control(DC) and diabetic rats(DS) were fed on experimental diet and water ad libitum for 4 weeks. DS diet was containing 20% Takju lees.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F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DC and DS than NC. DS tended to have higher weight, weight gain and FEF than DC nevertheless food intake. Therefore Takju lees could possibly complement casein as a protein source. Gastrointestianl transit time in D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NC while not significantly than DC. Serum lipid profiles and AST. ALT and amyla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abetic DC and DS. Blood glucose was measured at fasting state and 30, 60, 90 and 120 minute by oral glucose tolerance test, DS tended to lower the mean(${\pm}$ SE) incremental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than DC and was significantly low at 120 min. But incremental AUG(area under the curve) of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clusion, in spite of high contents of carbohydrate Takju lees perhaps have a benefit effect on the diabetes.

경산자인단오제 연행의 분야별 문제와 종합적 개선방안 (Problems of Each Category of Gyeongsanjain Dano Festival and Solutions)

  • 이병옥
    • 공연문화연구
    • /
    • 제19호
    • /
    • pp.88-123
    • /
    • 2009
  • 경산자인단오제는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44호 '한장군놀이'로 지정되었다가 2007년 '경산자인단오제'로 명칭이 확대 변경된 영남지방의 지역축제이다. 그러나 처음에 일부분만 지정함으로 말미암아 각 분야별로 연결성이 없는 혼합체처럼 전승되었고, 고증에서도 소외되어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경산자인단오제의 주된 분류는 큰굿, 여원무, 호장굿, 한묘제, 자인팔광대 등 5분야로 나뉘어지는데, 이제 분야별로 문제를 살피고자 한다. 1. 큰굿 1) 큰굿의 절차와 내용의 문제 : 대구·경산지역 굿의 특성 2) 현재의 굿연행자 외에 지역 전통굿을 연행할 수 있는 무녀의 유무 3) '큰굿'의 명칭의 문제 : 예, '한장군굿' 아니면 그대로 '큰굿' 4) 큰굿 전후에 영신과정과 송신과정이 없는 단오제의 문제와 복원방안 2. 여원무 1) 여원무와 여원화의 본질 2) 여고생 수백명이 하는 매스게임의 문제 3) 여원무의 기원과 전승에 대한 고형논의 3. 호장굿 1) 호장굿의 배역구성의 변천과정 2) 호장굿의 동선구조와 성격 3) 호장굿의 명칭과 성격의 문제 4. 자인팔광대놀이 1) 창작한 마당극과 유사성 문제 2) '팔광대'라는 명칭 문제 3) 일반적인 탈놀이의 진행구조와 다른 점 4) 춤사위와 몸짓이 영남지방 탈춤과 다른 특성 이상과 같은 경산자인단오제 연행의 종합적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산자인단오제의 복원은 전통성이 확실한 인접 단오제와 별신제의 연행방식을 벤치막킹(bench-marking)하자는 것이다. 둘째, 경산자인단오제의 중심 콘텐츠(contents)는 '한 장군굿'으로 축제의 주도 역할은 굿이 담당해야 한다. 셋째, 한국 축제의 구조적 원리를 수용하고, 연행방식과 연행원리를 전통 연행물과 일치시켜야 한다. 넷째, 경산자인단오제는 예술과 민속과 축제가 종합적이고 총체성을 띤 문화제인 만큼, 각 분야를 연계하고 유기적으로 연행 시나리오(scenario)를 재구성하자는 것이다. 다섯째, 올바른 전승과 책임있는 연행을 위해서는 분야별 예능보유자와 전수교육조교를 폭넓게 인정해야 한다. 여섯째, 전통축제의 재현과 더불어 다양한 축제 레퍼토리(repertory)를 찾아내고 개발하고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는 관광상품 개발과 체험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스펙터클(spectacle)화해야 한다.

『하재일기』에 나타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 일고찰 (Consideration on National Rituals and Folk Beliefs Found in 『Hajaeilgi』)

  • 송재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349-371
    • /
    • 2017
  • 사옹원(司饔院) 분원(分院)의 공인(貢人)이었던 지규식이 1891년 1월 1일부터 1911년 윤6월 29일까지 20년 7개월에 걸쳐 거의 매일 쓴 "하재일기"에는 보고 들은 국내외 정세와 풍속, 의례, 분원 관련 각종 제반사항, 일상생활사 등을 다방면에 걸쳐 다양하게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필자가 여기서 주목한 것은 "하재일기"에 기록된 민속 관련 내용이다. 지규식은 양반이 아닌 신분으로 당시 실제로 행했던 세시풍속 민속놀이 의례 민간신앙 등 민속 관련 내용을 "하재일기"에 기록으로 남겼다. 이러한 일기는 드물 뿐만 아니라 자료적으로도 그 가치가 매우 높이 평가되며, 민속학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하재일기"에 나타난 민속을 연구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에 초점을 맞추었다. 앞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가의례의 경우, 가례(嘉禮)는 황제의 즉위기념일과 황제 황태자 탄신기념일 관련 기록만 전하고 있어 아쉬움이 남지만, 국가적인 기념식과 경축식행사를 백성들이 충실하게 실행하였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특히 이러한 국가적인 기념식과 경축식행사 때 학생들에게 애국가를 제창케 했다는 사실이 눈길을 끈다. 흉례(凶禮)는 궁중상례 관련 내용만 전하고 있는데, 민비의 상례를 제외하고는 궁중 상례를 종전처럼 절차에 의해 제때 제대로 치루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백성들도 정부의 명에 따라 이를 잘 실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일본인들이 민비를 살해하고 석유를 뿌려 시신을 불태워 재로 된 것을 버려둔 채 간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간신앙의 경우, 분원에서 정기적으로 동리의 신사를 지냈고, 동리에서도 매년 고청신사를 지냈는데, 제사비용은 마을 사람들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차등적으로 배분해 추렴하고, 마을 사람들 모두 힘을 합쳐 제수를 준비하고 제사를 지냈다. 제사는 산신당과 부군당에도 지냈으며, 무당을 불러 굿을 하는 것이 통례였다. 이는 자료적으로 가치가 있다. 그런데 지규식은 기독교인이 된 후, 회사에서 지내는 신사 제사를 폐지하려 한 적이 있을 뿐 아니라 새신(賽神), 즉 굿이나 푸닥거리하는 것도 없애려 했지만, 전례대로 어쩔 수 없이 따랐다. 한편, 지규식은 마을에 홍수가 나고 전염병이 퍼지자 마을의 안녕과 건강을 위해 자기 집 앞에 제단을 설치하고 희생과 술 등 제수를 갖추어 마을사람들과 함께 황천후토(皇天后土)에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 있는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규식은 집안에 우환이 있을 경우, 무당을 불러 굿을 하거나 산신에게 치성을 드리는 등 이러한 무속이나, 주로 정초에 관성제군(關聖帝君)을 참배하고 한 해의 운수를 점쳤던 것들은 모두 민간신앙으로서 당시 민간에 널리 퍼져 있었을 뿐 아니라, 그의 생활 속에도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규식의 풍수신앙 선호도 당대인들의 일반적인 인식태도와 다르지 않다고 여겨진다. 이상에서 보듯, "하재일기"에 나타난 국가의례와 민간신앙 관련 내용은 자료적으로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민속 연구의 일환으로도 의미가 있으며, 민속학적으로도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