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cci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2초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에 따른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Design Characteristic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 on Luxury Fashion Brands -)

  • 김지영;고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52-265
    • /
    • 2010
  • Most luxury fashion brands have a strong brand identity and the product design characteristics of a brand ar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brand identity. The design of products influence brand identit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hoice by consumers in which brand to purcha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design characteristics of luxury brands on brand attitudes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s in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influence by product category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The product design of brands was evaluated and measured by innovative and traditional characteristics. The product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apparel, bags, shoes, and accessories.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used in this study are fashion involvement, age, income, and the amount of money used for purchasing fashion products. Sample brands, Louis Vuitton, Chanel, Hermes, Burberry, and Gucci, were extracted from the Intel-brand's Luxury Brand Ranking 2008 and pilot tested for appropriateness. The data collected from 120 luxury consumers and 92 sampl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15.0,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ANOVA, frequency test, regression, and t-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luxury brand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innovative design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design characteristics; innovative design characteristics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only fashion related behavior factors among consumer characteristics became moderators when design characteristics influenced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differences in purchase intention affected by design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bags, shoes, and accessories category. It is necessary for luxury brands to focus on innovative design characteristics and to specify the different needs of consumers through fashion related behavioral factors.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to luxury brands in designing products and planning marketing strategies by offering specific information for luxury brand consumers.

여성 재킷의 형태적 변화에 관한 분석 -2013년 S/S~2017년 F/W 밀라노 컬렉션을 중심으로- (Analysis of Variations in Structural Components and Design Elements of Women's Jackets -A Focus on 2013 S/S~2017 F/W Milan Collections-)

  • 김효숙;김지민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1호
    • /
    • pp.145-162
    • /
    • 2019
  • This study reviewed photos of women's jackets shown at Milano Collections from 2013 S/S to 2017 F/W to identify the variations and trends in their structural components and design elements with respect to year and season. 576 photos, which consist of 276 S/S jackets and 300 F/W jackets by renowned Italian luxury fashion brands; Giorgio Armani, Gucci, Fendi, Max Mara and Jil Sander, were analyzed. Some of the highlighted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e structural aspects, the H-line silhouette, below waist to hip line length, natural shoulder line and single button closure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components among all the jackets. For the design elements, the largest number of jackets was made of woven fabric in single color, while fur was mostly used in F/W seasons for its warmth, heaviness and bulky appearance. From the results, it was established that variations were made to the jacket components and design elements to the extent that they convey predominant jacket styles with a certain level of practicality and performance. However, the study also found that some of the jackets demonstrated design diversity and innovation by adopting daring styles, bold materials and colors.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ied the variations and trends in women's jacket components in recent years, they can be applied towards developing high end women's jackets to meet the demands and distinctive needs of luxury clothing buyers and distributors.

글로벌 명품 패션 브랜드와 한국 현대 예술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ollaboration between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and Korean Contemporary Artists)

  • 박근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13-22
    • /
    • 2023
  • 최근 들어 구찌, 생로랑, 루이뷔통과 같은 글로벌 명품 패션 브랜드들이 한국 현대 예술가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이고 적극적인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이것은 이전까지의 패션 브랜드의 협업 작업과 구별되는 새로운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명품 패션 브랜드와 한국 현대 예술가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조사하고, 그 유형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그 경향과 특징을 살펴보고 의미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패션브랜드들은 다양한 장르의 한국예술작품의 특징을 브랜드 컨셉과 추구하는 가치와 융합하여 새로운 감성의 고부가가치의 상품을 창출하고, 패션 상품과 한국의 현대 예술 작품을 함께 미학적 측면에서 감상과 담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예술 문화적 정서를 활용하여 국내 고객들이 친근감을 가지고 브랜드 스토어를 방문할 수 있도록 마케팅의 측면에서도 협업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패션과 예술의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위한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합성곱 신경망의 비지니스 응용: 런웨이 이미지를 사용한 의류 분류를 중심으로 (Business Application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pparel Classification Using Runway Image)

  • 서이안;신경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3호
    • /
    • pp.1-19
    • /
    • 2018
  • 최근 딥러닝은 오디오, 텍스트 및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비 체계적인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양한 추정, 분류 및 예측 문제에 사용 및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의류산업에 적용될 경우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의류 인식, 의류 검색, 자동 제품 추천 등의 심층 학습을 기반으로 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 때의 핵심모형은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한 이미지 분류이다. 합성곱 신경망은 입력이 전달되고 출력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가중치와 같은 매개 변수를 학습하는 뉴런으로 구성되고, 영상 분류에 가장 적합한 방법론으로 사용된다. 기존의 의류 이미지 분류 작업에서 대부분의 분류 모형은 의류 이미지 자체 또는 전문모델 착용 의류와 같이 통제된 상황에서 촬영되는 온라인 제품 이미지를 사용하여 학습을 수행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통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촬영되고 사람들의 움직임과 다양한 포즈가 포함된 스트릿 패션 이미지 또는 런웨이 이미지를 분류하려는 상황을 고려하여 분류 모형을 훈련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이동성을 포착하는 런웨이 의류 이미지로 모형을 학습시킴으로써 분류 모형의 다양한 쿼리 이미지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모형 학습 시 먼저 ImageNet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pre-training 과정을 거치고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32 개 주요 패션 브랜드의 2426개 런웨이 이미지로 구성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fine-tuning을 수행한다. 학습 과정의 일반화를 고려해 10번의 실험을 수행하고 제안된 모형은 최종 테스트에서 67.2 %의 정확도를 기록했다. 본 연구 모형은 쿼리 이미지가 런웨이 이미지, 제품 이미지 또는 스트릿 패션 이미지가 될 수 있는 다양한 분류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패션 위크에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브랜드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패션 잡지사의 편집 작업에 사용되어 브랜드나 스타일을 분류하고 라벨을 붙일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에서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거나 유사한 아이템을 추천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에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