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Increment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fiber and protein on growth performance and fecal characteristics in weaning pigs

  • Yun, Hyeok Min;Lei, Xin Jian;Cheong, Jin Young;Kang, Jung Sun;Kim, In 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66-374
    • /
    • 201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performance, fecal score, and fecal microbial shedding in weaning pigs fed diets with different levels of fiber and protein. A total of 96 weaning piglets ($7.41{\pm}0.71kg$) were used in a 5-week trial. Pigs were allotted to dietary treatments based on initial body weight in a $2{\times}2$ factorial design with the following factors: dietary fiber (100 and 200 g/kg, respectively, during days 0 to 14; 175 and 300 g/kg, respectively, during days 14 to 35) and dietary protein (170 or 200 g/kg). There were 6 replicates with 4 pigs per pen. On day 14, pigs fed high protein or high fiber diets had heavier body weight (p < 0.05). During days 0 to 14, pigs fed high protein or high fiber diets grew faster (p < 0.05). Additionally, during days 14 to 35, an interactive effect of fiber and protein was found (p < 0.05) on average daily gain. The different levels of protein and fiber in diet did not affect the pigs' fecal scores (p > 0.05). However, feces from the high fiber group showed lower concentration of Escherichia coli (p < 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a high protein diet improves the growth of weaning pigs especially during the first two weeks. Moreover, the increments in fiber level, even in the high protein diet, favorably decreased the number of E. coli.

서산 대죽리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의 성장 연구 (Growth Analysi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collected from the Daejuk-ri Shell Middens, Seosan, Korea)

  • 류동기;안덕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1-1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서산 대죽리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의 패각에 나타난 윤문을 판독하여 성장식을 추정하고 현재의 말백합 개체군과의 성장을 비교하였다. 패총 출토 패각의 수는 총 206개체였다. 각 연령군별로 각장과 윤경 간에 대응성을 보였고, 각 윤문군이 비교적 뚜렷이 구분되어 윤문판독의 타당성이 확인되어 판독된 윤문을 연륜으로 간주하였다. 패총 출토 말백합의 윤문은 2-5개까지 확인되어 2-5세군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패총 개체군의 성장식은 $SL_t=102.9025[1-e^{-0.18657(t+1.0906)}]$ 이었으며, 현생 개체군은 $SL_t=104.2583[1-e^{-0.2277(t+0.7499)}]$ 이었다. 각장 (SL) 과 각고 (SH) 간의 상대성장식은 패총 개체군 SH = 0.7791SL + 3.6636 ($R^2$ = 0.946) 이었으며, 현생 개체군은 SH = 0.8103SL + 0.5145 ($R^2$ = 0.991) 이었다. 두 개체군의 성장계수 (k) 는 차이가 없었고 (p < 0.05), 극한각장 ($SL_{\infty}$) 은 차이가 있었으나 (p > 0.05) 전체적으로 두 개체군의 상대성장식의 차이는 크지 않아 성장의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두 개체군의 서식 환경이 비슷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석기시대의 대죽리 패총이 형성될 당시 인근 연안의 해수온은 현재의 김제 연안지역과 비슷하게 높았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당근 종자의 전 처리후 비중선이 배생장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sity Separation after Pretreatment on Embryo Growth and Radicle Emergence of Carrot(Daucus carota L.) Seeds)

  • 민태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4-140
    • /
    • 1992
  • 당근종자의 발아율의 낮음과 발아지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Danver 126품종을 공시하여 여러가지 prime처리와 density separation 방법을 이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1. 여러가지 prime처리중 SMP처리(수분함량 90%, 6일간처리)에서 배의 생장이 아주 양호하였고 발아속도 및 발아율이 가장 좋았으며 종자에 피해도 없었다. 2. 무기염처리(0.2M KNO$_3$+0.1M $K_2$HPO$_4$)에 서는 배의 생장은 좋았으나 염에 의해 종자가 피해를 입었다. 3. SMP처리(수분함량 90%, 6일간)된 종자를 density separation한 결과 종자의 비중이 낮을수록 배의 생장이 컸으며 발아율 및 발아속도가 빨랐다.

  • PDF

Plant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Jilmoi Wetlands to the Donghae Observatory, Baekdudaegan Mountains

  • Choi, Jin-Woo;Kim, Kyung-Won;Yeum, Jung-Hun;Hwang, Won-Seok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0-26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sectin stretching between the Jilmoi wetlands and the Donghae Observatory and to set the criteria for the basic data for a management plan including restoration afterwards. 12 plots($10m{\times}40m$, $20m{\times}20m$) were set up to analyse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ordination by DCA, importance percentage and property, distribution of diameter of breast height, growth increments of major woody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all analyzed. Vegetation classes were divided into 3 communities, which are community I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I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community III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The P. densiflora community declined when competing with Q. mongolic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an understory layer in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both canopy and understory layers in Q. mongolica-T. amurensis community. P. densiflora declined and it was assumed to succeed to F. rhynchophylla or T. amurensis through Q. mongolica based on the importance percentage and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the breast height of small and middle sized trees. The age of P. densiflora was between 47 to 51 years old and Q. mongolica was 61years old. T. amurensis was 61 years old and the growth of Q. mongolica slowed a little. As the result of Shannon's index of species diversity, community I ranged from 0.9578 to 1.1862, community II ranged from 0.7904 to 1.2286 and community III ranged from 0.8701 to 1.0323.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cation were low compared to uncultivated mountain soil and it were analysed to be inappropriate for tree growth.

정상교합 아동의 두개안면부 성장에 관한 종적 연구 (LONGITUDINAL STUDY OF CRANIOFACIAL GROWTH BY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 양규호;박창헌;손정수;김낙현;최남기;김선미;김기백;신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12-419
    • /
    • 2009
  • 혼합치열기 정상교합 아동 24명(남:14명, 여:10명, 초진 시 평균 나이 9${\pm}$1.3세, 평균 관찰 기간: 13${\pm}$1.3개월)에 대한 성장량을 측정하여 기능적 교정장치의 순수 치료효과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3회(5${\sim}$8개월 간격) 촬영한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 사진에 대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아는 상악골은 전하방, 하악골은 전방성장하였고, 여아는 상하악골이 전하방 성장하였다(p<0.05). 2. 상하악골의 남녀간 차이에서 수평적 성장상태는 여아가 컸고(A point 여아: 2.39mm, 남아: 1.26mm, p<0.05), 수직적 성장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상악 전치의 치축은 두개저에 대해서 순측 경사하였고(p<0.01) 하악 전치의 치축은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임하댐 주변지역(周邊地域)의 기상환경(氣象環境) 변화(變化)가 수목생장(樹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정량적(定量的) 분석(分析) (Quantitative Analysis of Effects on Tree Growth of the Changes in Meteorological Environment around Imha Dam)

  • 신만용;천정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62-471
    • /
    • 1996
  • 본 연구는 인공호수(人工湖水) 조성에 의한 기상환경(氣象環境) 변화(變化)가 주변지역의 수목생장(樹木生長)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지형기후학적(地形氣候學的)인 방법에 의하여 임하댐 주변지역의 담수전(湛水前)과 담수후(湛水後)의 기후값을 추정(推定)하고, 그 편차(偏差)에 의하여 담수에 의한 기상환경 변화를 정량화(定量化)하였다. 또한 임하댐 주변에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거리별(距離別)로 30m에서 5km까지 6단계로 나누어 생장(生長)을 분석(分析)하고 기상변화와 비교함으로써 댐 건설에 의한 기상환경 변화가 주변지역의 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댐이 건설된 이후의 수목생장(樹木生長)은 댐으로부터 1k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수목은 생장이 증가(增加)고 있었지만, 1km 이상 떨어진 지역에 생육(生育)하는 임목은 기상환경 변화와 무관(無關)함을 알 수 있었다. 댐에서 가까운 지역에 생육(生育)하는 수목의 생장 증가는 주로 봄철의 강수량(降水量) 증가와 생육기간 동안의 일사량(日射量) 총량이 담수전에 비하여 늘어난 것에 기인(起因)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월평균기온(月平均氣溫)의 변화량(變化量) 소나무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추측(推測)되는데 이는 변화량 자체가 크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

곰소만 갯벌에서 양식되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성장 (Growth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cultured in Gomso tidal flat, Korea)

  • 임현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9-195
    • /
    • 2016
  • 2000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한반도 남서연안 곰소만 바지락 양식장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성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조사기간동안 서식밀도는 평균 1,224 개체/$m^2$ 로서 2000년 11월에 최고 밀도를 보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월별 각장 빈도분포는 단일 모드형으로 중앙값은 시간경과에 따른 각장 성장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하였다. 바지락의 각장 성장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2001년 7월 이후부터 2002년 2월까지는 성장이 둔화하였고 2002년 3월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무게 또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002년 3월 이후 증가폭이 컸다. 각장과 각고와의 상관관계는 직선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으며, 각장과 전중, 육질습중량, 건육중량 및 AFDW와의 관계식은 지수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다. 비만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01년 4월 이후에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2002년에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비만도 증감으로부터 2001년도 곰소만 양식장 바지락의 산란은 연 1회 5-10월 중으로 파악된다. 또한 곰소만 양식 바지락은 종패 살포이후 24개월 이후부터는 여름철 이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Evaluation of seismic criteria of built-up special concentrically braced frames

  • Izadi, Amin;Aghakouchak, Ali A.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9권1호
    • /
    • pp.23-37
    • /
    • 2018
  • In this paper, seismic provisions related to built-up special concentrically braced frames (BSCBFs) are investigated under cyclic loading using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of a single-bay single-story frame. These braces, which contain double angle and double channel brace sections, are considered in two types of single diagonal and X-braced fra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urrent seismic provisions such as observing the 0.4 ratio for slenderness ratio of individual elements between stitch connectors are conservative in BSCBFs, and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type of braces. Furthermore, such increments will lead to decreasing or remaining the current middle protected zone requirements of each BSCBFs. Failure results of BSCBFs, which are related to the plastic equivalent strain growth of members and ductility capacity of the models, show that the behaviors of double channel back-to-back diagonal braces are more desirable than those of similar face-to-face ones. Also, for double angle diagonal braces, results show that the failure of back-to-back BSCBFs occurs faster in comparison with face-to-face similar braces. In X-braced frames, cyclic and failure behaviors of built-up face-to-face models are more desirable than similar back-to-back braces in general.

Melatonin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via p53 in LNCaP Cells

  • Kim, Chi-Hyun;Yoo, Yeong-M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6호
    • /
    • pp.365-369
    • /
    • 2010
  •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melatonin promotes apoptotic cell death via p53 in prostate LNCaP cells. Melatonin treatment significantly curtailed the growth of LNCaP cell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Melatonin treatment (0 to 3 mM) induced the fragmentation of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activation of caspase-3, caspase-8, and caspase-9. Moreover, melatonin markedly activated Bax expression and decreased Bcl-2 expression in dose increments. To investigate p53 and p21 expression, LNCaP cells were treated with 0 to 3 mM melatonin. Melatonin increased the expressions of p53, p21, and p27. Treatment with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hibitors, PD98059 (ERK inhibitor), SP600125 (JNK inhibitor) and SB202190 (p38 inhibitor), confirmed that the melatonin-induced apoptosis was p21-dependent, but ERK-independent. With the co-treatment of PD98059 and melatonin, the expression of p-p53, p21, and MDM2 did not decrease. These effects were opposite to the expression of p-p53, p21, and MDM2 observed with SP600125 and SB202190 treatments.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53-dependent induction of JNK/p38 MAPK directly participates in apoptosis induced by melatonin.

새만금호의 수질예측과 그에 따른 대책 3. 환경오염이 담수산 미세조류, Cryptomonas ovata의 증식과 참재첩(Corbicula leana) 섭이율에 미치는 영향 (Prediction of Water Quality and Water Treatment in Saemankeum Lake 3. Effect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on Propagation of Freshwater Microalgae, Cryptomonas ovata and Feeding Rate of Corbicula leana)

  • 최문술;정의영;신윤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7-172
    • /
    • 1998
  • As a preliminary study, effects of environmetal pollutants on propagation of freshwater microalgae, Cryptomonas ovata and feeding rate of Corbicula leana were investigated at 20${\pm}$1$^{\circ}C$, over 20 days after treatment of pollutants, glucose, complex fertilizer and NH4Cl. Number of C. ovata in control group was increased from 38${\times}$104 cell/ml to 1.910${\times}$104 cell/ml after 20 days cultivation in Sorokin-Krauss medium. Increments of cell number in experimental groups treated with glucose, complex fertilizer and NH4Cl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higher propagation rate of C.ovata was observed when 30 mg/l of glucose treated, 120 mg/l of complex fertilizer treated, and 4 mg/l of NH4Cl treated, compared with other concentrations in each pollutant treated group. The feeding rates of large size group of C. leana which fed with a living organism, C. ovata in each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small size group, and slightly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pollutant concentrations. The feeding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y concentrations of the pollutant, and among experimental groups treated with glucose, complex fertilizer and NH4C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