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 flounder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8초

적수온(21-24℃)에서 사육한 성장기(317 g)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배합사료 적정 공급률 (Optimum Feeding Rate for Growing Olive Flounder (317 g) Paralichthys olivaceus Fed Practical Extruded Pellets at Optimum Water Temperature (21-24℃))

  • 오대한;김성삼;김강웅;김경덕;이봉주;한현섭;김재원;박희정;배승철;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99-405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ing rate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histology of grow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ptimum feeding rate (initial fish mean weight : $316.7{\pm}6.18g$) was determined under the optimum water temperature. Two replicated groups of fish were fed a commercial diet at rates of 0%, 0.4%, 0.6%, and 0.8% of body weight (BW) per day, and to satiation. Feeding trial was conducted using a flow-through system with 10 1.2-metric ton aquaria receiving filtered seawater at $21-24^{\circ}C$ for 3 weeks. Weight gain (WG)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ish fed to satiation (1.0% BW/day) than in those in other treatments. These parameters were negative and significantly lower in the starved fish than in fish fed the experimental diet at all feeding rat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G and SGR among fish fed at 0.4%, 0.6%, and 0.8% BW/day. Hematocrit and hemoglobin in fish fed to sati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other treatments. Histological changes of fish fed at 0.6% BW/day indicated that this group was in the best condition;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issues of fish fed at 0%, 0.6% and 1.0% BW/day. Broken-line regression analysis of weight gain showed that the optimum feeding rate of olive flounder weighing 317 g was 0.99% BW per day at the optimum water temperature.

적수온(19-21℃)에서 배합사료를 공급한 육성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적정 공급률 (Optimum Feeding Rate in Grow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Practical Expanded Pellet at Optimum Water Temperature (19-21℃))

  • 이정호;김성삼;김강웅;김경덕;이봉주;이진혁;한현섭;김재원;김성연;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34-240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ing rate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histology of grow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 determined the optimum feeding rate (initial fish mean weight of $240{\pm}10.9$ g) at the optimum water temperature. Two replicated groups of fish were fed a commercial diet at rates of 0%, 0.5%, 0.75%, and 1.0% body weight (BW) per day, and to satiation. Feeding trial was conducted using a flow-through system with 10 1.2-metric ton aquaria receiving filtered seawater at $19-21^{\circ}C$ for three weeks. Weight gain (WG) for fish fed to sati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fed fish and fish fed at 0.5% and 0.75% BW per day. The WG of fish fed at 1.0% BW per da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fed fish and of fish fed at 0.5% BW per da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G between fish fed at 0.5% BW per day and those fed at 0.75% BW per day, between fish fed at 0.75% BW per day and those fed at 1.0% BW per day, and between fish fed at 1.0% BW per day and those fed to satiation. The specific growth rates of fish fed at 1.0% BW per day and those fed to sati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unfed fish and of fish fed at 0.5% BW per day. Broken-line regression analysis of weight gain showed that the optimum feeding rate of olive flounder weighing 240 g was 1.09% BW per day at the optimum water temperature.

치어기 넙치에 있어서 9가지 단백질 사료원의 단백질 및 인 소화율 측정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Apparent Protein and Phosphorus Digestibilities of Nine Different Dietary Protein Sources and Their Effects on Growth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유광열;최세민;김강웅;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4-2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양식되고 있는 넙치에 있어서 단백질 사료원들의 단백질과 인소화율을 측정을 통해 저오염 사료 개발을 위한 사료원을 선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험에 사용된 9가지 동 식물성 단백질원들은 $BAIFA-M^{TM}$(어분대체품), 어분(White fish meal, WFM), 넙치근육분(Flounder muscle powder, FMP), 오징어간분(Squid liver powder, SLP), 수지박(Leather meal, LM), 대두박(Soybean meal, SM), 콘글루텐밀(Corn gluten meal, CGM), 가금부산물(Poultry by-product PBP), 그리고 난단백질(Egg albumin) 이였다. 실험결과, 각 사료원의 단백질 소화율은 FMP, 94%; SLP, 92%; WFM, 86%; SM, 82%; CGM, 75%; LM, 72%; PBP, 72%; $BAIFA-M^{TM}$, 71%; EA, 30%로 나타났다. 각 사료원의 인 소화율은 FMP, 77%; SLP, 72%; $BAIFA-M^{TM}$, 65%; LM, 55%; WFM, 54%; PBP, 50%; CGM, 20%; EA, 20%; SM, 17%로 나타났다.

Growth, Feed Utilization and Nutrient Retent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Moist, Semi-moist and Extruded Diets

  • Kim, J.-D.;Shin, S.-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5호
    • /
    • pp.720-726
    • /
    • 2006
  • In an attempt to develop an artificial diet for grow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ight gain, feed utilization and nutrient retention were investigated in fish fed moist (MP), semi-moist (SMP) and extruded pellets (EP). Excre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was also estimated based on their whole body gain and intake. EP and MP composed of raw fish and SMP made of formulated powder feed with water were prepared to have the same energy contents on a dry matter basis. A total of 240 fish with an average initial weight of 120 g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each (20 fish/tank) of 12 circular plastic tanks (4 tanks/treatment) and fed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Fish groups fed EP (209 g) or SMP (209 g) recorded higher final weight than those fed MP (176 g), while dry feed consumption was highest in SMP groups (106 g), followed by MP (71 g) and EP groups (62 g). As a consequence, fish groups fed EP showed much lower feed conversion ratio than the other two groups. Protein efficiency ratio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fish groups fed EP (2.55) than in those fed MP (1.44) and SMP (1.31). Fish groups fed EP, which showed the highest nitrogen retention of 43.9%, resulted in the lowest excretion of nitrogen of 35.5 g per kg gain. Also, the lowest phosphorus excretion of 6.0 g per kg gain was found in the EP groups with the highest P retention (37.0%) among treatments. Although the EP groups had the lowest dietary energy intake, they retained the highest energy in the whole body among treatments.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EP could be more advantageous than MP or SMP in terms of growth, feed utilization and excre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for olive flounder.

통영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eluronectes yokohamae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 허성회;남기문;박주면;정재묵;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3
    • /
    • 2012
  • 통영주변해역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문치가자미 395개체를 채집하여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채집된 개체는 표준체장 10.5~38.8 cm의 체장범위를 나타내었다. 문치가자미는 저서성 육식어류로써 주로 이매패류, 단각류, 갯지렁이류를 섭식하였고, 그 외 약간의 유형동물류, 산호충류, 등각류,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새우류, 게류, 거미불가사리류를 섭식하였다. 문치가자미는 generalized feeder의 섭식전략을 나타냈고, 체장이 커짐에 따른 주 먹이생물의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먹이생물의 크기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내 사육한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성성숙과 생식주기 (Sexual Maturity and Reproductive Cycle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Cultured in Indoor Tank)

  • 임한규;변순규;이종하;박상언;김이청;한형균;민병화;이배익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2-218
    • /
    • 2007
  • Reproductive biology (sexual maturity and reproductive cycle) of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were examined by histological methods. From March 2004 to February 2005, 144 females and males were sampled.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 and male were peaked in May and February, respectively. Monthly changes of hepatosomotic index (HSI)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with those of the GSI. Changes of condition factor (CF) in female were correlated with gonad maturation, while that of male were no difference all the year round. Based on monthly GSI and gonadal development the reproductive cycle of starry flounder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ages: growing stage (September to November), maturation stage (September to February), ripe and spent stage (March to May), and recovery and resting stage (June to August). Biological minimum size of female was 1,074 g.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F) and body weight (BW) of the fish was expressed as $F\;=\;455.86BW^{1.2006}$.

배합사료로 장기간 사육된 넙치의 육질평가 (Long-term Evaluation of Muscle Quality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

  • 김강웅;강용진;김경덕;최세민;이종윤;이해영;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55
    • /
    • 2007
  • 이 연구는 실용 배합사료를 자체 제작한 기존의 배합사료, 상품사료 및 습사료를 장기간 걸쳐 사육한 넙치에 대해 육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어는 13개월간 사육한 넙치 성어기(600 g 전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시험사료(EP1 및 EP2) 2종, 상품사료(CEP) 및 습사료(MP)를 공급하였다. 전어체의 성분분석은 조단백질은 EP2가 EP1 및 CEP 사료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은 EP2 및 MP 사료구가 CEP 사료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육내 유리아미노산의 성분분석은 EP사료구간에서 MP 사료구보다 proline, glycine, alanine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taurine에 있어서 EP1 사료구가 다른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핵산 관련물질 성분분석은 ATP 및 IMP의 양에서 배합사료에서 습사료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특히 EP2에서 다른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향, 외관, 맛에 있어서 EP 사료구와 MP 사료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 EP2가 다른 사료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물리적 성질의 경도 측정은 EP2는 EP1 및 CEP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모든 사료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배합사료를 넙치에 공급한 연구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생사료를 공급한 넙치에 비해 품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산 넙치가 체계적인 관리 하에 앞으로 품질향상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새만금호 유어기 돌가자미 (Kareius bicololaratus)의 성장과 서식환경 (Growth and Habitat Conditions of Young Stage Right Ey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in the Saemangeum Reservoir)

  • 최윤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1-5
    • /
    • 2009
  • 1995년부터 2007년까지 군산연안의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돌가자미 Kareius bicololaratus (Basilewsky) 유어의 성장과 서식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돌가자미의 부유성 치어는 3월 초순에 새만금 호 주변에서 출현하였고, 4월 중순에 군산 내초도 연안의 조수웅덩이에서 유어들이 저서생활을 시작하여 7월까지 성장하였다. 돌가자미의 유어들이 처음 조수웅덩이에 출현하는 4월 중순에 전장은 1.5$\sim$2.5cm(평균 2.1cm)이었고, 5월 중순에 2.8$\sim$3.5cm(3.3 cm), 6월 중순에 3.0$\sim$5.5cm(4.7cm), 7월 중순에는 6.0$\sim$7.2cm(6.7cm)이었다. 그러나 돌가자미의 유어는 새만금 방조제의 축조 이후 출현량이 감소하였고, 2005년 이후에는 채집이 되지 않았다. 새만금 방조제 축조 이후 염분도와 저질 변화 등의 환경변화가 새만금호 주변의 돌가자미의 산란과 성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양식장 배출물 발효물의 사료첨가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화학적 반응 (Biochemical Response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Diet Supplemented with Fermented Aquaculture Sewage)

  • 지정훈;문상욱;김세재;이영돈;금유화;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7-195
    • /
    • 2005
  • 양식 산업의 양적 발달에 따라, 이로 인한 배출수 문제는 환경적 측면에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육상 수조식 넙치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배출물을 사료 첨가제로 사용하는 것은 환경오염 감소와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효물 첨가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간 및 신장의 생화학적 스트레스 반응을 조사하였다. 배출물 발효 조건 및 첨가 농도에 따른 간 중량지수, 글루타치온 함량 및 글루타치온 의존 효소활성 등을 조사한 결과 50% 발효구와 50% 농축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glutathione peroxidase 효소활성과 간 중량지수의 유의적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이를 제외한 실험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생화학적 측면에서 발효물 첨가가 간 및 신장 기능과 안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며, 양식어의 사료 첨가제로서의 환경적 측면에서 고려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성성숙 (Sexual Maturation of the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 김윤;안철민;김경길;백혜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1-199
    • /
    • 1998
  •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난소는 좌우 1쌍의 대칭구조로 주머니 모양이며 산란기가 되면 생식소는 복강 뒤부터 뒷지느러미까지 길게 발달하였다. 정소는 좌우 1쌍을 가지나 산란기에 복강 내에서만 발달하였다.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암컷의 경우 3월부터 7월까지는 낮은 값을 보이다가 8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월에 연중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수컷의 GSI 변화도 암컷과 마찬가지로 1월에 연중 최대값(1.7)을 나타내었다. 산란기의 난소에는 $600{\sim}1400{\mu}m$ 사이의 난모세포들이 4~6개의 무리를 이루어 발달하는 것으로 보아 범가자미는 4회 이상 산란하는 다회 산란어종으로 확인되었다. 군성숙도 조사에서 50% 산란에 참여하는 개체는 암컷이 전장 42.0~44.0cm, 수컷이 28.0~30.0cm 였으며, 100% 산란에 참여하는 전장은 압수 각각 44.0cm와 32.0cm 였다. 생식년주기는 8~10월의 성장기, 11~12월의 성숙기, 12월~2월의 완숙 및 산란기, 3~7월의 퇴화 및 휴지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