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Program

검색결과 9,833건 처리시간 0.036초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n Health Behaviors Execution and Self Rated Health as Socioeconomic Class by the Age Bracket)

  • 이정민;김원중;손혜숙;전진호;이명진;박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17-327
    • /
    • 2012
  • 본 연구는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 건강행위,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직 간접 경로를 규명하고 그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4기 2차년도(2008)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중, 교육, 소득, 직업의 3가지 변수로 사회경제적 계층 구분이 가능한 만 25세 이상 4,98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회경제적 계층을 교육과 소득은 4단계, 직업은 7단계로 분류하고, 건강행위의 실천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복합표본분석으로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 건강수준은 사회경제적 계층이 낮을수록 낮았으며 청장년층일수록 더 많은 건강행위가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낮은 사회경제적 계층일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아지는데, 청장년층 여자는 금연과 체중조절, 노년층 남자는 운동이 매개변수로써 간접영향을 주었다. 이를 통해 건강증진사업 기획 시 연령층, 성별, 사회경제적 계층을 고려한 정확한 표적집단 선정과 각 표적집단에 적합한 내용 구성이 필요하리라 본다.

동료학습을 적용한 조리실무관련 실습과목 학습부진 대학생의 주관성 연구 (A Study on Subjectivity of Underachievers on Peer Assisted Learning in Culinary Skills related Subject)

  • 신승훈;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62-572
    • /
    • 2020
  • 본 연구는 동료학습을 적용한 조리실무관련 실습과목의 학습부진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여 조리실무 관련 수업의 보다 나은 교육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규모 학생들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연구를 위해 Q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관적 인식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특징의 분석을 통해 총 3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제 1유형(N=8) : 학습효과 증대 형 (Increase learning effectiveness type), 제 2유형(N=8): 소극적 학생에 대한 수업자료개발 필요 (Development of lesson materials for passive students), 제3유형(N=6): 실습형 자기주도학습 개발 필요 (Practical self-directed learning needs development)은 각각 고유의 특징을 가진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조리실무관련 실습과목의 학습부진 학생들에게 동료학습을 적용함으로서 학습부진학생들의 수업흥미유발, 실수감소로 인한 자신감 상승 등의 학습효과증대와 추가학습에 대한 인식 증가와 주도적 학습 참여 유도와 같은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왔음을 발견하였으나, 일부학생의 경우 동료학생에 피해를 주는 것 같은 느낌과 타 학생들의 시선에 대한 부담감을 표현하는 집단이 발견되기도 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수준별 학습 분위기가 조성된 학습 환경에서의 실습조리과정의 진행과 주도적 학습을 위한 추가 교육과정의 개발은 보다 효과적인 동료학습을 위한 추가적인 조건임을 발견하였다.

염산/에탄올로 유도된 급성 위염 동물모델에서 증숙시간에 따른 홍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red ginseng according to steaming time on HCl/ethanol-induced acute gastritis)

  • 이주영;권오준;노정숙;노성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65-3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150 mM HCl/60 % ethanol로 급성 위염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증숙 시간에 따른 홍삼의 위염 보효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백삼과 홍삼의 증숙 시간에 따른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사포닌,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의 총 함량이 증숙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6시간 증숙한 홍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1,1-diphenyl-2-picrylhydrazyl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소거능 실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RG 6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In vitro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시료를 선택하였고 in vivo 실험을 진행하였다. 급성 위염 마우스 모델에 백삼과 6시간 증숙한 홍삼을 투여하였을 때, RG 6에서 위 점막 손상의 개선을 육안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혈액에서 측정한 ROS 수치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RG6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증숙 시간에 따른 홍삼은 급성 위염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 위염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정신병동의 정신보건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Practitioner and General Nurse in Psychiatric Ward)

  • 박미선;양수;유숙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5-104
    • /
    • 2002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between the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practitioner (PMHNP) and general nurse in psychiatric ward was comparable. The results we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construct of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mak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program increasing professional self concept.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7 PMHNP and 436 general nurse in psychiatric war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PSCNI by Arthur (1990), PSI by Heppner and Peterson(1982) and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 by Slavitt et al.(1978). With the aid of the SAS, t-test. two-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Result : 1. The average item score of PSCNI of PMHNP was $2.82\pm0.27$. and that of general nurse was $2.66\pm0.27$.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found(p=0.0000)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score of professional practice(p=0.0000), satisfaction(p=0.0024), leadersbip(p=0.0000) , flexibility(p=0.0000) and skill (p=0.0000). 3.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in terms of age(p=0.0003), marital status(p=0.0001). education(p=0.0005), religion(p=-.0144), motive (P=-.0001), length of service as a nurse(p=0.0121), the length of service in psychiatric unit(p=0.0143).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ith group and age, marital state. education, religion, motive, length of service as a nurse, length of service in psychiatric unit. 4. Job satisfaction (JS) and problem solving inventory score(P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between the PMHNP and general nurse. JS and PS accounted for $43.4\%$ in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PMHNP, whereas PS, JS, age and religion accounted for $53\%$ in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general nurse in psychiatric war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need to develop programs and polices to increase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e, particularl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 practitioners.

  • PDF

일부 여대생의 자아존중감, 우울, 무망감, 통제위치 및 A형 행동유형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Self Esteem, Depression, Hopelessness, Locus of Control and Type A Behavior Pattern on Job Seeking Stress among Some College Women)

  • 배상윤;김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23-333
    • /
    • 2016
  • 본 연구는 일부 여대생의 자아존중감, 무망감, 우울, 통제위치 및 A형행동유형과 취업스트레스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북지역에서 임의로 선정된 531명의 여대생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28일부터 4월 29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위계적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무망감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을수록, 외적통제위치가 높을수록, A형행동 유행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3.2%이었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자아존중감, 무망감, 우울, 통제위치 및 A형 행동유형과 취업스트레스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여대생의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무망감, 우울, 통제위치 및 A형행동유형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이는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한국 성인의 성만족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Sexual Satisfaction Scale)

  • 이병숙;고효정;김명애;임신화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0-200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sexual satisfaction in Korean adults. Method: Development of items for the instrument was done by a collecting, reorganizing, reducing and selecting process based on the literature. A total of 19 items were selected in this process. For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19 item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an expert group consisting of 18 professionals (7 men and 11 women). Eighteen items having a response of 70% in 'very good' item or 'good' item were included as items for the instrument. With these 18 items, a 5 point Likert scale was developed,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of the scale were done. The subjects for the test were 1,127 Korean adults living in 11 area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Dec. 1, 2000 to Feb. 28, 2001 and analyzed with SPSS/PC+ 10.0 program.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Chronbach alpha and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 were obtained to verify internal consistency,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ith the varimax rotation was used to identify structure validity of the developed tool. Result: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9503 and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s of the items were distributed from .5208 to 7899.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ite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The cumulative variance of the three factors was 67.1%, and all of the variances of the factors were above 5%. Because factor 1 (8 items) indicated a special feeling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sexual activity, it was named 'psychological factor'. Factor 2 (8 items) indicated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the interaction with sexual partner through communication and variation, therefore it was named 'interactional factor'. Factor 3 (2 items) was about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sexual intercourse and indicated physical dimensions of satisfaction, so it was named 'physical factor'. The average score for sexual satisfaction of the 1,127 subjects was 65.32 (${\pm}12.71$), and histogram of the score showed a normal distribution with skewness - .425. Conclusion: Finally, a Korean Sexual Satisfaction Scale(KSSS) was accepted as a 5 point Likert scale with 18 items after the statistical test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In conclusion, KSSS is a useful instrument which is valid and reliable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sexuality of Korean adults.

  • PDF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지식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 Focusing on the Subject of Biology -)

  • 김현주;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382-398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expression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vided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A science-gifted program was implemented to 33 for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of an education office in Seoul, Korea. The method of evaluating scientific knowledge was divided into well-structured paper-pencil test (asking specific and limited range of content knowledge of plants) and ill-structured descriptive test (stating all the knowledge they know about plants) to find out which methods were more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students were requir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bout their own self-percep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and how to obtain scientific knowled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well-structured paper-pencil test (r=.38) and ill-structured descriptive test (r=.51) result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ientific creativity. Secon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both the knowledge measured by the two evaluation methods have the ability to explain scientific creativity. Third,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and their expression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knowledge of science, the higher the scientific creativity. Fourth, the description about self-perception of scientific knowledge revealed that the highest percentage of Type LL students of all 13 students (53.8%, 7 students) answered 'I have little knowledge of plants because I have little interest in them.' Fifth, the description about self-perception of scientific knowledge revealed that the highest percentage of Type HH students of all 15 students (40%, 6 students) answered 'I think my science creativity is high through my experience of scientific creativity. Sixth,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revealed that 'reading' was the most popular way to obtain scientific knowledge, with 27 out of total 33 students choosing it. In particular, all 18 students from Type HH (high scientific knowledge and high scientific creativity) and Type HL (high scientific knowledge and low scientific creativity) - those with high scientific knowledge - gave that respons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we should explore practical teaching methods and environment for gifted students to improve their scientific creativity by revealing the nature of the factors that affect scientific creativity and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scientific creativity.

남자대학생의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가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inking motives, refusal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on high risk drinking)

  • 이은경;박진화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1047-1057
    • /
    • 2016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 및 고위험음주의 관계를 파악하고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를 동의한 139명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 음주량을 통한 고위험음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학년, 학과, 흡연 상태, 음주 동기 하위 영역 중 고양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하위 영역 중 사회적 압력 상황에서 음주거절효능감이 고위험음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을 위한 고위험음주 예방을 위한 중재 전략을 수립할 때 학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흡연 관리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고위험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흡연에 대한 금연교육과 함께 음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측면에 대한 교육과 건전한 방법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담도 폐색증 환자의 수술 치험 22례 와 장기 생존율 (Experience of Biliary Atresia-Long-term Survival)

  • 최경현;유중재;신연명;허방;박재선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35-143
    • /
    • 2007
  • Biliary atresia (BA) is an uncommon neonatal surgical disease that has a fatal outcome if not properly treated. The survival rates of the patients with native liver after Kasai's operation in countries outside Japan are not so good. We reviewed the results of 22 cases of biliary atresia treated in Kosi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October 1987 and March 2001. There were 13 males and 9 females aged from 21 to 106 days (mean 52 days). There were 3 cases of Type I (13.6%), and 3 of Type II (13.6%), and 16 Type III (72.7%). The operative methods were resection of the common bile duct remnant and cyst followed by Roux-en-Y hepaticojejunostomy in 3 cases for Type I BA; Kasai I in 15 cases, Kasai II in 1 case, and Ueda's operation in 3 cases for Types II and III BA. There was no death within the first 30 days after operation. We were able to follow 21 of the 22 patients (95.4%) for more than 5 years. The actual 5 year survival rate (YSR) was 40.9%. One Type I case received a living-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at 6 years of age because of the multiple intrahepatic stones and liver cirrhosis. Five YSR after biliostomy group (Kasai II and Ueda op.) was 75 % (3/4) while that of Kasai I was 20% (3/15). One case had no bile duct in the resected fibrotic plaque on microscopic review and died 8 months after Kasai I operation, would have been a strong candidate for early liver transplantation. From the above result, our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early liver 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cases of no bile duct after 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resected specimen, (2) measures to prevent postoperative cholangitis and prevention of postoperative liver cirrhosis are needed, (3) liver transplantation program should be available for failed cases.

  • PDF

외식 소비자의 웰빙 수준과 웰빙 태도가 레스토랑의 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How Well-Being Influences Consumer Behavior and Restaurant Choice)

  • 손영진;홍기운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09-22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웰빙 트랜드에 따라 인식하는 외식 소비자의 웰빙 수준과 웰빙 태도가 레스토랑의 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외식업체들의 외식 소비자들의 웰빙에 대한 수준과 태도를 이해함으로써 향후 외식 소비자에 대한 판매 활동과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갖고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고 웰빙 수준이 외식 소비자의 태도 및 레스토랑 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웰빙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레스토랑의 선택에 대한 기준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레스토랑을 선택함에 있어서 웰빙과 관련된 메뉴 선택과 건강 및 위생측면을 강조하여 레스토랑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외식업체의 경우 이러한 소비자들의 웰빙 트랜드에 맞춰서 메뉴 개발에 있어서 웰빙 트랜드와 건강을 고려한 메뉴 개발을 수행해야 할 것이며 식자재 위생에 대해 좀 더 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웰빙 현상은 단기적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심리적 웰빙을 추구하는 개인적 웰빙이나 사회적 웰빙을 추구하는 로하스의 형태는 사회의 다양한 현상과 함께 상품을 개발함에 있어서 사회의 모든 활동과 관련해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한계점은 표본 집단의 설정이 서울지역에서만 실시하였기에 지역적 한계성과 함께 웰빙에 대한 개념적인 정의가 이루어진 다음 다양한 변수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