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Resolved Distanc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Design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of a LWIR Zoom Camera for Drones

  • Kwang-Woo Park;Jonghwa Choi;Jian Ka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7권4호
    • /
    • pp.354-361
    • /
    • 2023
  • We present the optical design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resolving performance of a 3× long wavelength infrared (LWIR) zoom camera for drones. The effective focal length of the system varies from 24.5 mm at the wide angle position to 75.1 mm at the telephoto position.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system were derived from ground resolved distance (GRD) to recognize 3 m × 6 m target at a distance of 1 km, at the telephoto position. To satisfy the system requirement, the aperture (f-number) of the system is taken as F/1.6 and the final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should be higher than 0.1 (10%). The measured MTF in the laboratory was 0.127 (12.7%), exceeds the system requirement. Outdoor targets were used to verify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system resolved 4-bar targets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resolution at the distance of 1 km, 1.4 km and 2 km.

에지 타겟 분석을 통한 무인기 영상의 선명도 지표 추출 (Extraction of UAV Image Sharpness Index Using Edge Target Analysis)

  • 임평채;서정훈;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1호
    • /
    • pp.905-923
    • /
    • 2018
  • 무인기 영상을 활용한 고해상도의 산출물을 생성하기 위해서 영상 분석을 통해 측정되는 영상자체의 선명도 분석이 필요하다. 무인기의 선명도가 명확하지 않는 영상을 현업에서 사용할 경우 무인기를 이용한 정확한 3차원 정보의 획득이나 매핑 등의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상 선명도를 설명할 수 있는 지표로 식별해상도(Ground Resolved Distance, GRD)가 사용되어 왔다. GRD는 영상에서 식별 가능한 두 물체간의 최소거리로 정의되며 공간적 샘플간격인 GSD(Ground Sampling Distance)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GRD를 육안판독에 의하지 않고 영상에 촬영된 에지 타겟을 분석하여 추출하고자 한다. 특히 GRD대 GSD의 비율(GRD/GSD), 또는 픽셀단위로 표현된 GRD를 영상의 상대적 선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익을 사용하여 여러 촬영환경에서 고도별로 촬영된 에지타겟의 분석을 통해서 GRD를 산출하였다. GRD/GSD를 사용하여 선명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영상을 판별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서 영상의 선명도 지표로서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공용 EO/IR 센서의 EO GRD 분해능 실험실 측정 연구 (A Study of Laboratory Measurement of EO GRD Resolution for Airborne EO/IR Sensor)

  • 허준;김창우;김성수;김병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93-799
    • /
    • 2014
  • EO GRD(Ground Resolved Distance) resolution of airborne EO/IR(Electro-Optical/Infrared) sensor is a critical factor in test and evaluation for EO sensor performance. We propose the laboratory measurement set-up for EO GRD by constructing optical collimator which includes integrated sphere, blackbody, equivalent 3-bar target and 6 DOF motion simulator. GRD is measured in the photographic imagery of bar targets by 3 different distances for 3 EO/IR sensors and the measured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e found that at least 7 sheets of imagery are needed in order to obtain meaningful EO GRD.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measured GRD is nearly symmetric about the average GRD, and the better imagery ratio above the average GRD is about 40~70%. Also from the best GRD analysis, it is estimated that the design goal for EO GRD should be 30% superior to the required GRD.

영상 내 자연표적을 이용한 GRD 측정기법 개발 (Development of GRD Measurement Method using Natural Target in Imagery)

  • 김재인;정재훈;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7-53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품질 지표인 GRD(Ground Resolved Distance) 측정에 있어서 인공표적만을 이용하던 기존의 측정방식과는 다르게 지표상에 분포하고 있는 자연표적만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GRD 산출이 가능하도록 새로운 방식의 GRD 측정가법을 고안하였다. 자연표적에서 활용 가능한 Edge Profile 추출기법을 개발하여 추출 정확도 및 안정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자연표적을 이용할 경우 본 논문의 추출방식이 가장 적합한 방식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적용한 GRD 측정기법의 정확도와 자연 표적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육안분석결과를 보유하고 있는 인공표적영상과 인공표적이 된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하여 GRD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공표적영상에서의 GRD 측정결과는 육안분석 결과와 매우 유사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으며 인공위성영상에서의 GRD 측정결과, 자연표적과 인공표적에서의 GRD 측정값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제안한 GRD 측정기법을 이용하여 자연표적만으로도 신뢰성 있는 GRD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Non Uniformity Error of MSC (Multi Spectral Camera) System

  • Jang YoungJun;Yong SangSoon;Kang KeumSil;Kim JungAh;Kang SungDuk;Youn HeongSi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432-435
    • /
    • 2004
  • MSC (Multi Spectral Camera) system is a remote sensing payload to obtain high resolution ground image. In this application, uniformity characteristic is important as well as GSD (Ground Resolved Distance) and SNR (Signal to Noise Ratio). MSC image chain is consisted of OM (Optical Module), CCD, Video processor, NUC and DCSU (Data Compression and Storage Unit). Each block makes and corrects MSC's nonuniformity response. This paper shows the cause of nonuniformity error and the correction scheme of MSC system from the electronic point of view.

  • PDF

재난원인과학조사를 위한 차량기반 영상취득시스템의 영상품질평가 (Image Quality Assessment of Mobile-based Image Acquisition System for Disaster Scientific Investigation)

  • 김미경;김상필;김남훈;송영갑;손홍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5-83
    • /
    • 2016
  • 재난은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으며, 모든 유형의 재난을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러나 기 발생재난을 재구성하고 그 원인을 면밀히 분석한다면 유사 재난의 재발 방지가 가능할 것이다. 이에 재난현장을 재구성하고 재난 발생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고품질 데이터 취득 장비를 탑재한 차량기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이 취득하는 데이터는 재난 현장에서 예측하지 못한 변수로 인해 그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론적인 시스템의 성능 이외에도 실제 취득된 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 현장의 정밀한 고품질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구축된 차량 기반 영상취득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를 선정하고, 데이터를 취득하여 영상의 품질을 검증 및 분석하였다. GRD(Ground Resolved Distance)에 근거한 공간해상력을 중심으로 영상취득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70m에서 최대 약 5mm의 공간해상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성능 평가의 결과는 향후 재난 현장 자료 취득 계획 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개성간척농지의 토양감도, 재식실적 및 수호량에 대한 실태조사 (Report on Study for Soil Salinity, Plantation and Yields in the Existing Polders)

  • 박갑성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31-1738
    • /
    • 1969
  • 1.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plan of new reclamation project and its evaluation, actual studies for the existing polders are required. 2. The variations of the salt content of soil, yields and staus of its plantation have been studied for six areas reclaimed in relatively recent years, including Kangwha, Daechon, Chopo, Eushin, Kwangyang and Chinkyo. 3. The annual yields from the project were only 52 percent in the first year as compared with kilograms per 10 a. in the Hachirogata polder in Japan. 4. Such a low productivity in the existing polders in Korea is chiefly by the high ground water table, unfavourable conditions of subdrainage in the root zone, and saline damages of existing high salt content. That is because the depth of drainage ditches is too shallow and layout distance between every drainage ditches is also too long. 5. In order to overcom such a uncertiainties, the drainagedistance suitable for these areas has been Calculated by using the Donnans formula. Applying to the formula, drainage facilities are so densie that land use capability may be decreased. 6. For the purpose of ensuring the effective desalinization and high land use capability, feasible interval to establish the culvert has been studied in accordance with both formulas of Donnan and Hoogan. 7. In order to accomplish the early desalinization in both areas of new reclamation or existing polders, the problems of internal drainages should be resolved. for this puprose in addition to the endeavour of the personnels actually engaged in such works. The actual support of the related agencies for financial assitance is required.

  • PDF

로켓 플룸 내부 OH 라디칼 공간분포 계측을 위한 발광 분광 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optical emission spectroscopic method for measuring OH radical distribution in rocket plume)

  • 한기욱;한재원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35-1139
    • /
    • 2017
  • 화염 내 화학종의 공간적 분포는 화염의 구조 및 연소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며, 그 계측을 위해 발광분광법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은 간단하고 비침투적인 진단 방식으로 인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 line-of-sight 방향의 공간 분해 계측 목적으로 개발된 발광분광기를 이용한 로켓 플룸 내 화학종 (OH radical) 분포 계측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발광분광기의 측정 신호로부터 바닥 상태의 화학종 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화염 내 열적 여기와 화학적 여기 기작을 고려하였으며, 열적으로 여기된 종에 대해서 열적 평형 상태를 가정하였다. 또한 발광분광기의 공간 분해 성능 및 공간에 따른 수광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