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inding soybea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Extraction and Mixing Effects of Grape (Campbell) Seed Oil

  • Kang, Han-Chul;Min, Young-Kyoo;Hwang, Jong-Taek;Kim, Si-Dong;Kim, Tae-Su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175-179
    • /
    • 1999
  • Grape seed oil was extracted using different preparatory treatments as follows: (1) grinding, (2) grinding and roasting, (3) grinding and wet- roasting, (4) grinding, roasting, and wet-roasting, and (5) grinding, wet-roasting, and wet-roast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the sample with the method (2). Initial states of oxidation were similar except method (1) that showed more oxidized state, being P.O.V.8. Acid values were observed in the range from 1.42 to 1.89. The lowest acid value was found as 1.42 in method (1) and those of others were somewhat higher, indicating that heating process of roasting produced some free fatty acids. From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best odor and taste were obtained from the methods (2) and (3). Repetitive procedure of wet-roasting, like method 5, caused some loss of flavor components and decrease in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Addition of grape seed oil (method 2) to soybean and perilla oil at the level of 20% retained considerable antioxidant activities as much as 4.3 and 5 times, respectively, than 100% soybean or perilla oil stored for 12 weeks. When soybean or perilla oil was mixed with 20% grape seed oils, P.O.V. decreased to half of that of unmixed oils.

  • PDF

콩가루 제조방법과 당의 종류와 양이 콩다식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cessing Method on the Quality of Soybean Da-sik)

  • 정순애;조신호;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6-363
    • /
    • 1997
  • Soybean Da-sik was prepared with various soybean powder processing methods (roasting, steaming, and steaming followed by roasting) and sugar types (honey, oligo-sugar), and their sensor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optimum preparation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Sample 1 (roasting soybeans for 30 min at 150$^{\circ}C$ and grinding), the best appearance of Da-sik was obtained when the content of honey was adjusted to 35 g, and the color with 30 g of oligo-sugar by sensory evaluation. The optimum texture was obtained with 40 g of honey, and the optimum chewiness with 30 g of honey Overall, the optimum quality was obtained with 35 g of honey, and oligo-sugar seemed to have less influence on the quality. In case of Sample 2 (four rounds of steaming and drying for 35 min), 40 g of oligo-sugar was found to exhibit the best quality, and honey was less effective. For Sample 3 (three rounds of drying followed by 15 min roasting at 150$^{\circ}C$), the best appearance and color were obtained with 35 g and 40 g of honey, respectively. The texture was most favorable with 40 g of honey, while the chewiness was best with 30 g of honey, suggesting 35 g of honey was the optimum level for Sample 3 soybean powder than oligo-sugar. 2. The springiness, gumminess, hardness and chewiness measured by a texture analyser were highest with Sample 1 containing 30 g of honey, and the cohesiveness with 40 g of honey. 3. For color, the best brightness and yellowness were obtained with Sample 1 with 30 g of honey. The redness was highest with Sample 3 with 40 g of honey. Overall, the desirable recipe for soybean Da-sik was 35 g of honey for Sample 1 and Sample 3, and 40 g of oligo-sugar for Sample 2.

  • PDF

콩 품종에 따른 두부의 수율 및 화학적, 관능적 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Soybean Varieties for Yield,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bean Curds)

  • 장천일;이정근;구경형;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39-444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14품종의 콩으로 제조한 두부의 화학적조성, 수율과 관능적인 특성을 비교하였다. 두부의 제조는 콩을 침지하여 마쇄한 후 가열 및 여과하여 $CaSO_4$로 응고 시킨 다음 압착, 성형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두부의 수분은 $75.0{\sim}82.0%$이었으며, 건물량으로서 단백질함량은 $48.6{\sim}56.1%$, 지방은 $14.8{\sim}40.4%$, 탄수화물은 $6.4{\sim}26.8%$였다. 두부의 부피수율 및 고형분수율은 콩 100g당 각각 $182.2{\sim}227.5cm^3,\;42.65{\sim}55.60%$, 단백질수율은 $57.90{\sim}76.50%$였다. 14품종 중 수원-141로 제조한 두부가 부피수율, 수분함량 및 탄수화물함량이 제일 높았으며 지방함량은 가장 낮았다. 백운콩과 장엽콩으로 만든 두부는 수분, 단백질 및 지방함량이 매우 낮았고 부피수율도 가장 낮았음을 볼 때 두부의 수분, 단백질, 탄수화물이 부피수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두부의 냄새와 맛은 품종간에 많은 차이가 있었으나 관능적 특성과 화학적 조성간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다.

  • PDF

크릴을 이용한 순두부 분말 제조에 관한 연구 (PROCESSING OF SOY CURD POWER WITH SOYBEAN AND KRILL)

  • 한봉호;김근숙;조덕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7-141
    • /
    • 1979
  • 두부가공조건 및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료대두이 수침시간으로는 10시간이 적당하였다. 두유의 응고온도로는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경우 $80^{\circ}C$가, GDL을 응고제로 사용할 때는 $90^{\circ}C$가 적당하였다. 응고제의 농도로는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경우 원료대두에 대하여 $2%$가, GDL은 $3%$가 적당하였다. 수율과 제품의 단백질 함량면으로 보아 GDL의 사용이 $CaSO_4{\cdot}2H_2O,\;MgCl_2{\cdot}6H_2O$$CaCl_2$의 사용 보다 효과적이었다.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는 두유를 분무건조함으로써 가능하였으며, 두유에 크릴즙을 혼합하여 분무건조하여 독특한 색택과 향미를 지닌 순두부용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응고제를 두유와 크릴즙과 함께 혼합, 분무건조하여 순두부제조시 응고제를 달리 사용할 필요가 없는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Estimating the Important Components in Three Different Sample Types of Soybean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Lee, Ho-Sun;Kim, Jung-Bong;Lee, Young-Yi;Lee, Sok-Young;Gwag, Jae-Gyun;Baek, Hyung-Jin;Kim, Chung-Kon;Yoon, Mun-Sup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8-93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suitable sample type for the more accurate prediction and non-destructive way in the application of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technique for estimation the protein, total amino acids, and total isoflavone of soybean by comparing three different sample types, single seed, whole seeds, and milled seeds powd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calibration ($R^2$)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cross-validation (1-VR) for three components analyzed using NIRS revealed that milled powder sample type yielded the highest, followed by single seed, and the whole seeds as the lowes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calibration for single seed was moderately low($R^2$ 0.70-0.84), while the calibration equation developed with NIRS data scanned with whole seeds showed the lowest accuracy and reliability compared with other sample groups. The scatter plot for NIRS data versus the reference data of whole seeds showed the widest data cloud, in contrary with the milled powder type which showed flatter data cloud. By comparison of NIRS results for total isoflavone, total amino acids, and protein of soybean seeds with three sample types, the powder sample could be estimated for the most accurate prediction. However, based from the results, the use of single bean samples, without grinding the seeds and in consideration with NIRS application for more nondestructive and faster prediction, is proven to be a promising strategy for soybean component estimation using NIRS.

제주전통두부의 산업화를 위한 최적공정확립 (Optimization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Traditional Jeju Tofu)

  • 오영주;이삼빈;김찬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03-608
    • /
    • 2004
  • 제주 전통두부의 산업 를 위한 최적 공정을 확립하고 해수를 대용할 수 있는 응고제를 사용하여 맛과 영양성 및 저장성이 향상된 고품질의 전통두부를 생산할 수 있었다. 즉 대두원료의 침지는 동절기 및 하절기에 각각 12∼16시간, 8∼10시간이 적합하였다. 가수량은 원료 대두량의 8배가 적합하였으며, 이 때의 두유농도는 8$^{\circ}$Brix였다. 두유는 10$0^{\circ}C$에서 2분 정도 가열하는 것이 단백질의 유리 thiol잔기의 노출을 최대화하였다. 연속 가열솥 대신 진공솥으로 대치한 결과 압력과 온도조절이 용이하여 수율이 21% 증가하였으며, 제품의 품질관리가 용이하였다. 마른두부의 응고제로는 6% 죽염액과 다시마침출액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1차 응고제를 만들고, 키토산 1 L에 CaCl$_2$8g과 MgCl$_2$ 2g의 비율로 혼합하여 응고제를 얻었다. 최종 마른 두부의 소비자의 기호도는 60%이상이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으며, 고소한 맛과 견고성이 우수하면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시판두부에 비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우수하였다.

색상이 개선된 재래식 된장 개발 (Development of Traditional Doenjang Improved in Color)

  • 이시경;김남대;김현진;박종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0-406
    • /
    • 2002
  • 된장제품의 경우 갈변의 해결은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개선책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맞는 색상의 재래식 된장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장류 제조사에서 제조된 시판 재래식 된장의 이화학 성분 및 색도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위해 대두를 수침, 증숙, 냉각 및 쵸핑한 것에 분쇄시킨 재래식 메주를 다양한 비율로 배합하여 시료 된장을 제조한 후 $30^{\circ}C$에서 27일 동안 저장 보관하면서 발효기간에 따른 아미노태질소, pH, 색상을 분석하고 현재 시판 중인 재래식 된장제품과 비교 하였으며, 관능검사도 실시하였다. 재래식 메주와 증숙대두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된장 처리구를 비교시, 재래식 메주만으로 처리시킨 처리구에서 아미노태질소함량이 가장 높았고 증숙대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아미노태질소함량이 줄었다. 발효기간에 따른 pH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초기 알칼리성으로부터 약산성쪽으로 변화되었다. 재래식된장의 색상이 가장 많이 개선된 것은 재래식 메주와 증숙대두의 비가 1.0 : 4.0인 처리구였으며, 이를 시판 된장과 관능적 비교를 한 결과 색, 향 및 맛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기존제품과 비교하여서도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맥주박 발효사료 및 대두의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육성성적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Feedstuff with Wet Brewer’s Grain and Soybean on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Grade in hanwoo Steers)

  • 박병기;길준민;김종복;홍병주;라창식;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397-408
    • /
    • 2003
  • 본 연구는 한우 거세 비육우에 맥주박을 이용하여 개발한 발효사료 및 분쇄대두의 급여가 육성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한우 사육농가에서 평균 체중 455$\pm$25.9㎏의 한우 거세 비육우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모든 처리구에 배합사료와 볏짚을 기본사료로 급여하였으며, 배합사료를 전량 급여하는 대조구(Control), T1(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60:40), T2(배합사료:분쇄대두=80:20), T3 (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분쇄대두=50:40:10) 및 T4(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분쇄대두=40: 40:20)로 구분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비록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효율의 경우 대조구, T1, T2, T3 및 T4에서 각각 11.90, 8.25, 9.44, 6.69 및 7.71로 나타나 T2를 제외한 처리구들에서 대조구에 비해 사료효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혈중 BUN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4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반면에 혈중 creatinine 농도의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해 T4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 0.05). 대조구, T1, T2, T3 및 T4의 혈중 glucose 농도는 각각 51.00, 59.39, 62.44, 62.17 및 54.00mg/$d\ell$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등지방두께의 경우 T3에서 대조구 및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다소 두꺼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최장근단면적의 경우 T1, T3 및 T4에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 T1, T2 및 T4의 A등급 출현율은 각각 66, 33, 75 및 33%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맥주박 발효사료를 단독 급여하게 되면 사료단가는 낮추면서도 비육우의 증체율 및 도체등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대두와 맥주박 발효사료를 혼합 급여하게 되면 증체율 및 사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맥주박 발효사료와 적정 비율의 분쇄대두(농후사료 급여량의 10%)는 거세우를 위한 비육사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맥주박 발효사료 제조과정에서 사료에 대한 발효처리는 맥주박 발효사료의 저장성을 크게 높여주기 때문에 맥주박과 같이 고수분부산물을 가축의 사료자원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의미하는 바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 중 곰팡이독소 안전기준 관리 (Administration of Mycotoxins in Food in Korea)

  • 강길진;김혜정;이연경;정경희;한상배;박선희;오혜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1-288
    • /
    • 2010
  • 식품 중 아플라톡신 ($B_1+B_2+G_1+G_2$)의 기준은 곡류, 두류, 땅콩, 견과류 및 그 단순가공품 (분쇄, 절단 등), 곡류 가공품 및 두류가공품, 과자류 (땅콩 또는 견과류 함유식품), 장류, 고춧가루, 팝콘용 옥수수가공품, 기타 식품류 (찐쌀)에 대하여 15 ($B_1$은 10)${\mu}g/kg$ 이하로, 원유 및 우유류 중 아플라톡신의 기준은 $M_1$으로서 0.5 ${\mu}g/kg$ 이하로 설정되었다. 사과주스, 사과주스 농축액 중 파튤린의 기준은 50 ${\mu}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오크라톡신 A의 기준은 밀, 호밀, 보리, 커피콩, 북은 커피에 5 ${\mu}g/kg$, 인스턴트커피, 건포도 중 10 ${\mu}g/kg$, 포도주스, 포도주스 농축액, 포도주 중 2 ${\mu}g/kg$ 이하로 설정되었고, 푸모니신($B_1+B_2$)은 옥수수 중 4 mg/kg, 옥수수 단순가공품 및 옥수수 가루 중 2 mg/kg, 옥수수 가공품 중 1 mg/kg 이하로 설정되었다. 현재 식품 중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관리는 노출량 조사와 위해평가를 통해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설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포장두부의 가공공정에서 미생물 분석 및 안전성 평가 (Microbial Analysis and Safety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Packaged Tofus)

  • 왕순남;최성원;허남윤;백무열;이한승;김창남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6-491
    • /
    • 2009
  • 본 연구는 생산 후 3일 이내인 시판두부의 가공공장별, 두부유형별 위생실태를 파악하여 두부에 대한 미생물 규격의 설정 가능성을 검토하며, 가공단계별 총생균수와 대장균군을 분석하여 오염 원인을 규명코자 실시되었다. 시판중인 두부의 위생성은 동일유형이더라도 가공공장마다 차이가 있었고 동일공장의 시료 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총생균수가 $1.0{\times}10^6CFU/g$ 이상을 보인 일부 포장두부에서는 관능적 부패 변질 현상이 관찰되었다. 총 148개 두부시료 중 총생균수와 대장균군이 각각 $1.0{\times}10^5CFU/g$ 이하와 음성에 적합한 시료는 단순포장두부가 32.0%와 12.0%, 포장가열두부가 86.9%와 83.7%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가공공장에 따른 위생성 차이는 가열과 열처리사이의 공정인 응고, 압착, 성형, 1차냉각, 내포장공정에서 2차오염 정도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포장두부의 가공공정 중 미생물이 증가하여 각별한 관리가 요구되는 공정으로는 원료대두의 세척 침지와 마쇄, 응고 후 압착 성형, 1차냉각공정이었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인 두부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이들 가공공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설비나 작업도구, 성형포 및 작업자 등에 대한 세척 및 소독 강화가 절실하게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