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y sympto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연초 III형 Grey엽의 발생양상과 화학성분 특성 (An Aspect of Occurrence and Chemical Properties of Grey Leaf Tobacco (Type III))

  • 이철환;진정의;한철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2
    • /
    • 1996
  • The occurrence and chemical properties of grey tobacco leaves (Type III) found in 1995 crop of flue-cured tobacco cultivated in paddy field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with those of normal leaves. Cured leaves of NC82 were separated by visual characters into 3 classes of slight, fair and severe symptoms of grey leaf by the percentage of grey parts to whole leaf area. Number of samples classified with discoloring portion was the order of greyish brown > reddish brown > greyish yellow, respectively. Grey leaves of this type were mostly found among the leaves harvested from upper stalk position, and it was estimated that growth rate of upper leaves also influenced on the occurrence of grey leaves. Grey leaves showed remarkably lower b* and L* values than those of normal leaves, while a* value was mostly higher in grey leaves. These tendencies in chromatic aberration showed more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grey symptoms. Chemical analyses of grey leaf samples indicated that they contained less total nitrogen and nicotine, and more total sugar and starch than those of normal leaves. In chemical traits, these tendencies were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grey symptoms, and within the same leaf, grey parts were decreased in total nitrogen and ether extract content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par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nicotine and Cl contents. Key words : grey leaf tobacco (type III), grey symptom, color, chemical properties.

  • PDF

Grey 증상 잎담배의 색채 및 화학성분 특성 (Colorimetric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y Leaf Tobacco)

  • 이철환;진정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9-364
    • /
    • 1995
  • 논담배 품질저하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grey엽발생원인 구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논토양에서 자연발생된 grey엽을 채취, 피해정도별로 색채와 화학성분적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rey엽의 발생엽수와 발생율은 하위엽에서 가장 많았고 중 > 본 > 상엽 순이었으며 엽중성분함량은 정상엽에 비하여 Fe, Mn, Cl함량이 놓았고 피해증상이 심할수록 높았다. 2. 동일엽내에서 grey피해부위가 정상부위에 비하여 Fe, Mn, Cl함량이 높고 전질소, 에테르추출물은 낮았으며, 니코틴, 전당, Ca함량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Grey엽의 내용성분간에는 전질소와 Cl, Fe와 Mn간에 정상관이, 전질소와 전당 및 Mn, Cl과 전당간에는 각각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색상은 정상엽에 비하여 증상이 심할수록 L치가 크게 감소하고 b치, a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L치와 a치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b치는 현저히 낮아 grey엽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 PDF

신경초종에 의한 표재요골신경의 압박 (Compression of the Superficial Radial Nerve by Schwannoma: A Case Report)

  • 김현성;김철한;강상규;탁민성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494-497
    • /
    • 2011
  • Purpose: Schwannoma, a benign peripheral nerve tumor, is slow-growing, encapsulated neoplasm that originates from the Schwann cell of the nerve sheath. Schwannoma most frequently involves the major nerve. Schwannoma occurring in the superficial radial nerve rare. This is a report of our experience with schwannoma arising from the superficial radial nerve with neurologic symptom. Methods: A 55-year-old woman presented with eight-month history of progressive numbness and paresthesia in dorsum of the thumb and index finger.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a localized mass on the midforearm. Sonographic examination showed an ovoid, heterogenous, hypoechoic lesion, located eccentrically in related to the superficial radial nerve. The lesion was mobile in the transverse but not i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nerve, which was thought to favour schwannoma rather than neurofibroma. At operation, a $20{\times}15mm$ ovoid, yellowish grey mass was seen arising from the superficial radial nerve. The tumor present as eccentric masses over which the nerve fibers are splayed. Using operating microscope, the tumor was removed, preserving the surrounding nerve. Results: Histology confirmed that the mass was a benign schwannoma.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two months the patient had no clinically demonstrable sensory deficit. Conclusion: An unsusual case of a schwannoma of the superficial radial nerve is presented. In case with neurologic symptom, prompt surgical decompression must be made to prevent further nerve damage and to restore nerve function early.

Rhizopus oryzae에 의한 감귤 무름병 (Soft Rot on Citrus unshiu Caused by Rhizopus oryzae in Korea)

  • 권진혁;김진우;현재욱;이용환;심홍식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78-81
    • /
    • 2011
  • 2010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구입한 감귤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상처 난 감귤 껍질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병징으로부터 분리한 감자한천 배지에서 곰팡이는 연한 갈색의 균총과 검은색의 포자낭을 형성하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으나 $37^{\circ}C$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였다. 포자낭경은 흰색에서 갈색이며 크기는 $6{\sim}20\;{\mu}m$ 이었다. 포자낭은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40{\sim}200\;{\mu}m$이었다. 주축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85{\sim}120\;{\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 단포이며 구형으로 크기는 $4{\sim}10\;{\mu}m$이었다. 이상과 같은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유사도, 병원성 검정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oryzae에 의한 감귤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Rhizopus oryzae에 의한 복숭아 무름병 (Soft Rot on Peach Caused by Rhizopus oryzae in Korea)

  • 권진혁;강동완;하정석;김진우;곽연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5-68
    • /
    • 2012
  • 2011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판매중인 복숭아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상자 안에 있는 상처 난 복숭아 표면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기 시작하였다. 병징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을 감자한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연한 갈색의 균총과 검은색의 포자낭을 형성하였다.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으나 $37^{\circ}C$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였다. 포자낭경은 흰색에서 갈색이며 크기는 6~20 ${\mu}m$이었다. 포자낭은 흰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며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35~200 ${\mu}m$이었다. 주축은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85~120 ${\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 단포이며 구형으로 크기는 5~10 ${\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병원성 검정, 분자적 동정 결과를 바탕으로 본 병해를 Rhizopus oryzae Went & Prinsen Geerligs에 의한 복숭아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Septobasidium sp.에 의한 감 갈색고약병 발생 (Brown Felt on Persimmon (Diospyros kaki) Caused by Septobasidium sp. in Korea)

  • 하정석;송인규;김승한;김지원
    • 식물병연구
    • /
    • 제27권2호
    • /
    • pp.66-69
    • /
    • 2021
  • 2020년 경상북도 상주시 감 과수원에서 갈색고약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처음에 자갈색 내지 암갈색의 균사체가 가지 표면 일부분에 들러붙어 있다가 점차 균사체들이 자라면서 큰 덩어리로 합쳐져 결국엔 가지를 완전히 둘러싸였다. 균총의 색깔은 처음에 흰색이고 배양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배지 표면에 갈색의 균사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30℃이었다. rDNA의 complet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분석된 염기서열(564 bp)을 BLASTN 프로그램으로 확인한 결과, Septobasidium속(GenBank accession nos. HQ267951, HQ267959)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eptobasidium broussonetiae (HM209416)와 92%, Septobasidium bogoriense (HM209414)와 91%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감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이 병을 Septobasidium속에 의한 감 갈색고약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