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y mulle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여수 연안 승망 어장에서 숭어의 이동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vement Distribution of Common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Funnel Net Fishing Ground of the Yeosu Coastal Sea)

  • 김동수;주찬순;박주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1호
    • /
    • pp.1-8
    • /
    • 2005
  • 여수 돌산도의 동쪽 승망 어장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수온, 해저지형, 조류의 이동과 어획량을 조사하여 대상어장의 환경을 평가하였다. 또한 동 해역의 5개 정점에서 체장 22.0${\sim}$51.0cm의 숭어 160마리를 5회에 걸쳐 표지 방류하여 숭어의 이동방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승망 어장에서 수온은 2월에 가장 낮고, 3월 이후 점점 상승하여 8월에 최고가 되며 9월부터 다시 하강하여 10월과 11월 사이에 급격하게 하강하였으며, 그 범위는 6.9${\sim}$27.4$^{\circ}C$이었다. 월별 숭어의 여획량은 3월부터 9월까지 양호하였으나, 10월과 11월 사이에 수온이 급격하게 하강하면서 어획량이 줄어들었다. 숭어는 연중 수온범위 6.9${\sim}$27.4$^{\circ}C$에서 어획되었으며, 특히 수온이 높아지기 시작하는 15.0${\sim}$25.0$^{\circ}C$의 범위에서 어획이 양호하였다. 2. 돌산도 동쪽 해역의 승망 어장에 분포한 등심선은 승망 어구가 설치되어 있는 연안쪽에는 6${\sim}$13m의 범위로 조밀하게 분포하고, 어장의 외해쪽에는 14m 이상의 넓은 간격으로 분포하고 있다. 3. 승망 어구가 설치되어 있는 연안쪽에서 낙조류와 창조류는 해안선을 따라 각각 남류와 북류하였다. 연안 외해측에서 조류는 우전환류가 나타나 낙조류는 남동류로 평균유속은 43cm/secdldjTdmsk, 창조류는 북서류로 평균 유속은 25cm/sec이었다. 4. 숭어의 표지방류 후 재포율은 평균 9.4%로 높게 나타났으며, 어장별 재포율은 계동 연안이 33.3%로 다른 연안어장보다 높았다. 돌산도 연안에서 숭어의 이동은 육수의 유입이 많은 내만을 찾아 이동한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남하이동보다는 북상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Market Interactions for Farmed Fish Species on the Korean Market

  • Kim, Do-Ho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6권1호
    • /
    • pp.71-7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rket interactions among the main farmed fish species in Korea, using both multivariate and bivariate cointegration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market interactions among farmed fish species, major four farmed fish species,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red seabream (Pagrus major), and grey mullet (Mugil cephalus) were selected as the analytical target species. And their real price data by month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1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multivariate cointegration test for four farmed fish showed that there would be no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s among farmed fish species, and consequently they do not share the same market. The results of bivariate cointegration test indicated that there was little evidence to suggest that all farmed fish species were cointegrated each other. However, it was only analyzed that olive flounder and grey mullet might have a long run equilibrium relationship.

태안 연안에서 이각망에 의해 채집된 숭어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Collected by a Two-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 off Taean, Korea)

  • 홍지민;윤재선;이태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4-201
    • /
    • 2014
  • 태안 연안에서 이각망에 어획된 숭어 이석을 관찰하여 연령을 사정하고, 이석 윤문의 폭으로부터 체장을 역추정하여 성장을 추정하였다. 태안 연안 숭어는 외해에서 산란하여 유어기를 보낸 후 성어가 연안으로 들어온 것으로 보이며, 관찰한 숭어의 전장은 239~605 mm 범위였으며, 400~550 mm 크기의 개체가 주를 이루었다. 나이는 1~7세 범위였고 3~5세어가 가장 많았다. 전장(L, mm)은 이석의 장반경(R, ${\mu}m$)에 유의하게 일차 비례하였다(L=15.3+87.9 R). Frazer-Lee의 방법으로 추정한 각 연륜이 형성되었을 때의 전장은 1세어의 평균(${\pm}SD$)은 $316{\pm}40.6mm$로 초기 성장이 빨랐으며, 각 나이에서 그 범위가 넓어 개체에 따른 성장률 차이가 큰 것으로 보인다. 역추산한 전장은 Von Bertalanffy의 성장식 $L_t=542[1-{\exp}\{-0.493(t+0.769)\}]$로 유의하게 회귀되었다.

숭어 (Mugil cephalus)의 정액 성상과 정자 운동성 (Milt Property and Sperm Motility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 장영진;최윤희;임한규;고강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8-241
    • /
    • 1999
  • 숭어 정액의 종묘생산시 인공수정과 정액의 냉장 및 냉동보존에 대한 적합한 희석액을 찾고자 정액의 성상과 정자의 운동활성을 조사하였다. 숭어 정자의 농도는 $1,11 \pm0.36\times10^{10}/ml$, spermatocrit는 96.7$\pm$2.6이었고, 정 장의 삼투질농도는 370$\pm$6 mOsm/kg, pH는 7.8$\pm$0.1이었다. 정액과 인공해수의 희석비율이 1 : 10일 때 정자의 운동성이 높았으나 20분 후에는 낮아졌으며, 정장의 삼투질농도 보다 약간 높은 인공해수 (482 mOsm/kg)에서 정자의 운동성이 오랫동안 높게 지속되었다. 또한 정장의 pH 값과 비슷한 pH 7$\~$9에서 정자는 활발하게 움직였다.

  • PDF

제주 연안 숭어, Mugil cephalus 암컷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Female Grey Mullet, Mugil cephalus, on the Coast of Jeju Island, Korea)

  • Kim, Sung-Jun;Lee, Young-Don;Yeo, In-Kyo;Baek, Hea-Ja;Kim, Hyung-Bae;Nagae, Masaki;Soyano, Kiyoshi;Hara, Akihik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1호
    • /
    • pp.73-80
    • /
    • 2004
  • 숭어의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해 2002년 2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제주도 동남부 연안에서 채집하였고,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을 조직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은 GSI변화와 밀접하였다. GSI는 9월에 급격히 증가하여 12월에 최고 값을 나타내었다. 난소의 조직학적 관찰결과,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는 연중 관찰되었으며,8월에는 일부에서 난황을 포함하는 난모세포가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난모세포가 10월과 12월에는 난황구기 단계의 난모세포로 발달했다. 10월과 12월에 난황구기 난모세포들을 가진 개체의 출현이 가장 높았으며, 잔존여포와 퇴화 난모세포는 2월부터 관찰되었다. 숭어의 주 산란기는 11월에서 1월이고, 난군동기발달형의 난소를 가지며 외양으로 이동하여 산란하는 어류에 속한다.

Otolith microchemistry reveals the migration pattern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Pisces: Mugilidae) in Korean waters

  • Bae, Seung Eun;Kim, Jin-Ko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3호
    • /
    • pp.185-195
    • /
    • 2020
  • Background: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has the widest distribution among mugilid species. Recent studies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showed that the species comprises at least 14 different groups, three of which occur in the northwest Pacific. We analyzed the otolith microchemistry of M. cephalus at several locations in Korea to improve understanding of migration pattern and population origin. Results: We collected 123 sagittal otoliths from seven locations and determined their concentrations of eight elements (7Li, 24Mg, 55Mn, 57Fe, 60Ni, 63Cu, 88Sr, and 138Ba) using laser abla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Mean otolith elemental ratio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locations. The Sr:Ca, Fe:Ca, and Ba:Ca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and useful chemical signatures for investigating the habitat use of M. cephalus populations. We identified five diverse and complicated migration patterns using the otolith data that we collected: estuarine resident (type I), freshwater migrant (type II), estuarine migrant (type III), seawater resident (type IV), and seawater migrant (type V). A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plot revealed separation of two groups (type II in the Yellow Sea vs. other types in remaining locations). Two locations on Jeju Island, despite their close proximity, had fish with quite different migration patterns, corroborating previous molecular studies that distinguished two groups of fishes. Conclusion: We successfully showed that the migration patterns of the Korean mullet varied by location. Only fish from the western sector of Jeju had a unique migration pattern, which is likely confined population in this area. Among the eight otolith elements measured, the Sr:Ca ratio was found to be the best indicator of migration pattern and population origin.

어린 숭어(Mugil cephalus)의 담수사육에서 염분흡착 사료가 성장, 생존율 및 체액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ed Salt in the Diet on Survival, Growth and Body Fluid Composition of Juvenile Grey Mullet (Mugil cephalus) Reared in Freshwater)

  • 추청;장영진;허준욱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7-323
    • /
    • 2000
  • 숭어 치어의 담수 사육을 위한 저염분 순화방법과 이에 따른 적응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염분사료를 공급하여 이에 따른 성장, 생존율 및 어체의 생리상태를 비염분사료구와 비교하였다. 실험 종료시 전장과 체중의 성장률은 해수사육구(SWN), 순차적으로 담수로 옮긴 염분사료구(GFWS) 및 순차적으로 담수로 옮긴 비염분사료구(GFWN)에서 빠르게 담수로 옮긴 염분사료구(FWS) 및 빠르게 담수로 옮긴 비염분사료구(FWN) 순서로 나타났다. 비만도는 모든 실험구에서 서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어의 생존율은 순차적으로 담수로 옮긴 염분사료구가 92.2${\pm}$2.2%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실험구와 차이가 없었다. 어체의 수분함량은 빠르게 담수로 옮긴 비염분사료구에서 해수구보다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체액의 삼투질 농도는 실험 종료시에 모든 실험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a^+$ 농도는 실험 종료시 해수사육구, 순차적으로 담수로 옮긴 비염분사료구, 순차적으로 담수로 옮긴 염분사료구 및 빠르게 담수로 옮긴 비염분사료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액의 K/$^+$ 농도는 실험 종료시 해수사육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교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 PDF

어린 숭어(Mugil cephalus)의 염분농도별 성장과 생존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Juvenile Grey Mullets (Mugil cephalus) in Different Salinities)

  • 장영진;이영춘;이복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1-320
    • /
    • 1996
  • 어린 숭어, Mugil cephalus에 대한 저염분 해수 및 담수 사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장 $4.8{\pm}0.6$ cm, 체중 $1.0{\pm}0.3$ g 및 전장 $13.6{\pm}0.2$ cm, 체중 $20.0{\pm}0.5$ g의 2군을 대상으로 염분농도별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고, 산소소비량 및 피부의 두께 등을 측정하여 생리활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1, 2차 실험 모두에서 $25\~75\%SW$의 저염 분구가 성장과 생존에 있어 $100\%SW$보다 좋은 편이었다. 그러나, 단계적 순치과정을 거치지 않고 $100\%SW$로부터 $0\%SW$로의 급격한 염분변화는 어체의 성장 및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일간사료섭식률은 $25\%SW$에서 $3.6{\pm}0.8\%$로 가장 높았다. 식욕에 있어서는 $50\%SW$에서 가장 높았다. 일간성장률은 $25\%\;SW$에서 가장 좋았고 ($2.7{\pm}0.9\%$), 다음으로 $50\%SW,\;100\%SW,\;0\%SW$이 순으로 나타났다. 염분에 따른 각 실험구별 어체의 표피와 진피의 두께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지방층은 $0\%SW$의 실험어에서 $50\%SW$$100\%SW$의 숭어 보다 유의하게 두꺼웠다. 숭어의 산소소비량은 염분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염분농도별 숭어의 저산소 내성은 $0\%SW$에서 비교적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인에서 Paraoxonase-2 유전자의 Codon 311 다형성에 관한 연구 (Codon 311 Polymorphism of Paraoxonase-2 Gene and Hypertension in Korean)

  • 장대호;강병용;이강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2호
    • /
    • pp.135-140
    • /
    • 2004
  • 고혈압에서 지질대사 이상은 빈번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지질대사 이상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은 고혈압의 발병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보 유전자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araoxonase 2(PON2) 유전자에 존재하는 Cys311Ser다형성을 유전자 표지로 이용하여 한국인 집단에서 이 유전자 표지가 고혈압과 관련성이 있는 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총 195명으로, 이들 중에서 82명은 고혈압 환자 군이었고, 나머지 113명은 정상 혈압 군이었다. PON2 유전자의 Cys311Ser 다형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중합효소 연쇄반응과 제한 효소인 Dde Ⅰ처리를 수행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Cys/Ser이 형접합체를 갖는 사람들이 고혈압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P<0.05),다른 신체 계측치 및 혈청내 지질 농도와는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이러한 관련성이 기능적인 연관인지 혹은 연관불평형에 의한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보다 더 많은 연구 대상을 이용한 추시를 통해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어린 숭어 (Mugil cephalus)의 염분별 삼투조절 능력 (Osmoregulation Capability of Juvenile Grey Mullets (Mugil cephalus) with the Different Salinities)

  • 이영춘;장영진;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6-224
    • /
    • 1997
  • 숭어, Mugil cephalus의 염분별 삼투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장 $13.6{\pm}0.2cm$, 체중 $20.0{\pm}0.5g$ 크기의 재료를 해수 (SW)에 담수를 첨가하여 만든 $0\%SW\~100\%SW$에 수용한 다음, 60일간 사육하면서 염분별 혈액의 이온 농도와 삼투질 농도 변화를 조사하고, 아가미와 염세포의 조직학적 변화 및 근육의 수분함량을 비교하였다. $0\%SW\~25\%SW$에서 숭어 혈장의 $Na^+$$K^+$ 농도는 실험개시후 8일째부터 안정되었다. $0\%SW$에서의 혈장 $Cl^-$ 농도는 실험개시후 0.5일째 가장 낮았으며 2일 이후부터 안정되었다. 실험종료시에 있어서 숭어 혈장의 삼투질 농도는 저염분 일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100\%SW$부터 $0\%SW$까지 각각 340, 334, 322 및 316 mOsm/kg 수준으로 안정됨으로써, 저염분에서는 저삼투 조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hematocrit도 염분이 낮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0\%SW\~50\%SW$에 10일째 노출된 숭어의 아가미에서는 2차새변이 손상되었으며, 특히 $0\%SW$에서는 2차새변의 박리, 유착 및 괴사 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손상된 아가미는 이후부터 회복되기 시작하여 사육 15일째에 정상적인 조직상을 나타냈다. 염분에 따른 각 염분구별 어체 근육의 수분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