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house effects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29초

유용 미생물을 활용한 식물 병원 곰팡이의 억제와 식물 생장촉진 효과 (Inhibition Effects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and Plant Growth Promotion by Beneficial Microorganisms)

  • 정진희;김상우;김윤석;거비르 람살;이윤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8-126
    • /
    • 2013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inhibition effect of plant pathogenic fungi and growth promotion activity induced by the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peatmoss. Among the isolated bacterial strains, B10-2, B10-4, B10-5 and B10-6 which showed more than 30% inhibition rate against Botrytis cinerea and Rhizoctonia solani in vitro, were further analyzed in the greenhouse for the growth promotion activity on lettuce (Lactuca sativa), pak-choi (Brassica compestris L. ssp. chinensis) and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The results showed the treatment of B10-4 on lettuce showed the highest growth promotion activity with the leaf area ($169.17cm^2$), fresh weight (leaf: 40.29 g, root: 8.80 g)and dry weight (leaf: 11.24 g, root: 4.17 g), which was about two folds as compared to control. On pak-choi, the growth promotion rate was the highest with the leaf area of $112.87cm^2$, leaf fresh weight of 60.70 g, root fresh weight of 3.37 g, leaf dry weight of 14.34 g, and root dry weight of 1.90 g. As a result of treatment of B10-13 on chinese cabbage, the growth promotion rate was the highest with the leaf area ($293.56cm^2$), fresh weight (leaf: 113.67 g, root: 2.40 g) and dry weight (leaf: 6.03 g, root: 0.53 g). The production of Indole Acetic Acid (IAA) and Indole-3-Butylic Acid (IBA) were also analyzed in these bacterial isolates. The IAA and IBA analyses were carried out in all bacterial isolates each day within the 5 days of incubation period. The highest production of IAA was observed with $112.57{\mu}g/mg$ protein in B10-4 after 3 days of incubation and IBA production was the highest in B10-2 with $58.71{\mu}g/mg$ protein after 2 days of incubation. Also, phosphate solubilizing activity was expressed significantly in B10-13 in comparison to that of other bacterial isolates. Bacterial identification showed that B10-2 was Bacillaceae bacterium and B10-5 was Bacillus cereus, B10-4 and B10-6 were Bacillus sp. and B-13 was Staphylococcus sp. by ITS sequence.

알코올에 대한 Escherichia coli, Clostridium acetobutylicum,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반응 (Cellular Responses to Alcohol in Escherichia coli, Clostridium acetobutylic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박주용;홍천상;한지혜;강현우;정봉우;최기욱;민지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105-108
    • /
    • 2011
  • 유가의 급등과 화석 연료에 의한 온난화 현상은 재생 가능한 대체 연료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수송용 바이오 연료를 비교하였을 때 에탄올보다 높은 알코올 경우 휘발유와 비슷한 장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낮은 흡습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미생물의 발효는 지속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생산자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으로 생산되는 알코올 성분에 대하여 두 종의 세균과 한종의 효모인 Escherichia coli와 Clostridium acetobutylicum 그리고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바이오 알코올에 대한 세포 성장 정도와 함께 미생물내에 스트레스 반응 유전자들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알코올은 에탄올과 부탄올이며, 이들의 농도별 세균의 성장속도와 산화적 손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katG 유전자, 생물막 손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fabA 유전자, 단백질 손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grpE 유전자, 유전자 손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recA 유전자의 반응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과 부탄올 중 부탄올의 세포 독성이 더 높게 관찰되었으며, 부탄올의 경우 생물막 손상을 유발하는 세포내 독성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력부문 수소에너지 도입의 경제 및 에너지부문 파급효과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Hydrogen Energy into the Power Sector on the Economy and Energy)

  • 이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02-507
    • /
    • 2016
  •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경제구조에서 수소경제로의 이행은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의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경제구조의 변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동태 연산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여 수소에너지 도입이 경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수소 에너지 도입은 투자증대와 생산비용의 감소를 통해 GDP 증대에 기여한다. 둘째, 수소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위한 정부보조의 경우 재원마련을 위한 세수증대로 인해 총수요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화석연료에서 수소경제로 전환시키는 수소에너지 도입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환경적 효과가 있다 온실가스 감소를 통한 기후변화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에 기반을 둔 수소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정부는 지속가능성에 기반을 둔 수소에너지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향후 신재생에너지에 기반을 둔 수소에너지 도입의 경제적, 환경적 효과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알팔파와 베치의 추출물 및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Influence of Alfalfa and Vetch Extracts and Residues on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5-305
    • /
    • 1994
  • 본 실험은 alfalfa 와 vetch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실시 되었다.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영양생장기 때에 수확된 alfalfa 와 vetch를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고 또한 이들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하여 콩과 옥수수의 생육을 검토 하였고, 콩에 대해서는 근류균의 착생정도를 조사 하였다. 1. 발아시험에서는 롱과 옥수수의 발아율, 유근의 생장, 무게 등이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 되었으며, 최고 억제정도는 추출물 농도 20%에서 발생되었다. 추출물에 대하여 콩이 옥수수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alfalfa의 추출물이 vetch의 추출물보다 더 억제적이었다. 2. Alfalfa와 vetch를 silica sand에 혼합하여 콩과 옥수수의 간장, 엽면적, 지상부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콩의 간장, 업면적, 지상부 생육은 alfalfa처리에서 더 억제적 이었으며, 옥수수의 생육은 vetch 처리에서 촉진 되었다. 3. Alfalfa와 vetch처리가 모두 콩 뿌리혹의 형성을 억제시켰는데 alfalfa처리가 vetch의 처리보다 뿌리혹의 형성을 더 억제 시켰다. 4. Alfalfa와 vetch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옥수수보다는 콩의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므로 콩 재배의 경우에는 이들 잔기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Ethrel에 의한 맥류의 웅성불임 유발 (Induction of Male Sterility in Barley and Wheat with 2-Chloroethylphosphonic acid (Ethrel))

  • 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7-14
    • /
    • 1972
  • 화학약품에 의한 맥류의 $F_1$잡종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코저 보리와 밀을 온실 및 포장에 재배하고 출수기(pre-boot, boot, after-boot stage)에 50,1000 및 2,000ppm의 Ethrel를 철포한 다음 그 결과를 조사하였든바 아래와 같았다. 1) Ethrel에 의하여 맥류의 초장(특히 제1절개장), 수장 및 1,000입중등이 감소되었고 보리 및 밀에서 각각 평균 63 및 41%의 웅성불임이 유발되었는데 그정도는 높은 농도일수록 현저하였다. 2) 1,000-2,000ppm처리구에서 유용한 웅성불임이 유발되었으나 후기생육기일수록 높은 농도의 처리가 필요하였다. 3) 봉투를 씌운구는 씌우지 않은구에 비하여 높은불임율을 보였는데 이사실로서 Ethrel처리에 의하여 자기임성이 지장을 받는 일이 없이 타가교잡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4) 밀보다 보리에 있어서 Ethrel에 의한 유발불임율이 높았고 또 타가교잡율도 높으므로서 Ethrel는 보리의 gameioctde로서 개발될 여지가 있다고 믿어 졌다. 그러나 조합능력이 강한 계통이 선발될 필요가 있다고 보여졌다. 5) 전착제가 Ethrel의 작용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짐으로 이에 관하여는 data를 제시하지 않았다.

  • PDF

The Endophytic Bacteria Bacillus velezensis Lle-9, Isolated from Lilium leucanthum, Harbors Antifungal Activity and Plant Growth-Promoting Effects

  • Khan, Mohammad Sayyar;Gao, Junlian;Chen, Xuqing;Zhang, Mingfang;Yang, Fengping;Du, Yunpeng;Moe, The Su;Munir, Iqbal;Xue, Jing;Zhang, Xiuha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5호
    • /
    • pp.668-680
    • /
    • 2020
  • Bacillus velezensis is an important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with immense potential in agriculture development. In the present study, Bacillus velezensis Lle-9 was isolated from the bulbs of Lilium leucanthum. The isolated strain showed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plant pathogens like Botryosphaeria dothidea, Fusarium oxysporum, Botrytis cinerea and Fusarium fujikuroi. The highest percentage of growth inhibition i.e., 68.56±2.35% was observed against Fusarium oxysporum followed by 63.12 ± 2.83%, 61.67 ± 3.39% and 55.82 ± 2.76% against Botrytis cinerea, Botryosphaeria dothidea, and Fusarium fujikuroi,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 fraction revealed a number of bioactive compounds and several were identified as antimicrobial agents such as diketopiperazines, cyclo-peptides, linear peptides, latrunculin A, 5α-hydroxy-6-ketocholesterol, (R)-S-lactoylglutathione, triamterene, rubiadin, moxifloxacin, 9-hydroxy-5Z,7E,11Z,14Z-eicosatetraenoic acid, D-erythro-C18-Sphingosine, citrinin, and 2-arachidonoyllysophosphatidylcholine. The presence of these antimicrobial compounds in the bacterial culture might have contributed to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isolated B. velezensis Lle-9. The strain showed plant growth-promoting traits such as production of organic acids, ACC deaminase, indole-3-acetic acid (IAA), siderophores, and nitrogen fixation and phosphate solubilization. IAA production was accelerated with application of exogenous tryptophan concentrations in the medium. Further, the lily plants upon inoculation with Lle-9 exhibited improved vegetative growth, more flowering shoots and longer roots than control plants under greenhouse condition. The isolated B. velezensis strain Lle-9 possessed broad-spectrum antifungal activities and multiple plant growth-promoting traits and thu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sustainable agriculture. This strain c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field experiments in order to promote plant growth and control disease pathogens.

벼 재배 시 경운 및 재배방법에 의한 메탄발생 양상 (Changes in Methane Emissions from Paddy under Different Tillage and Cultivation Methods)

  • 김숙진;조현숙;최종서;박기도;장정숙;강신구;박정화;김민태;강인정;양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51-256
    • /
    • 2016
  • 벼 재배시 경운과 재배방법 따른 메탄 발생량 및 토양탄소함량변화를 구명하기위해 경운-이앙, 경운-무논점파, 최소경운-건답직파 및 무경운-건답직파를 비교하는 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메탄 발생량은 경운-이앙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경운-무논점파>최소경운-건답직파=무경운 건답직파 순으로 적었다. 2. 메탄의 발생량과 벼 생육과의 관계를 보면 생육초기 작물의 생체량이 많아질수록 메탄 발생량이 증가는 경향을 보였다. 3. 토양 탄소함량은 시험전과 비교하여 경운-이앙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최소경운-건답직파와 무경운 처리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4. 최소경운-건답직파 및 무경운 처리구의 쌀수량이 경운-이앙 처리구에 비해 다소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 저온 조건에서 Spermine 처리가 딸기의 생육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ermine Treatment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trawberry under Low-Temperature Condition)

  • 이규빈;이정은;최윤의;박영훈;최영환;강남준;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5-202
    • /
    • 201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ermine treatment on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in strawberry under low-temperature condition, and thereby develop a chemical method to minimize damages by low temperature in greenhouse cultivation. Spermine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the growth of strawberry in terms of leaf number, leaf area, leaf length, leaf diameter, plant height and plant weight. The highest effect was observed in the 250 uM spermine treatment and the effect tended to be maintained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of 90 days.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spermine. Strawberry plants treated with 250 uM spermine showed highe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plants during the growth period. Fruit weight, fruit length and fruit diameter were relatively higher when treated with $100{\mu}M$ spermine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he fruit yield was the highest with 14 fruits per plant at $250{\mu}M$ spermine treatment and the coloration of the fruit was the best at this treatment with the Hunter a and b values of 46.56 and 28.75, respectively. The hardness of strawberry fruit tended to increase higher than 2N at $250{\mu}M$ and $500{\mu}M$ 250 uM spermine treatment. The sugar content of strawberries treated with $250{\mu}M$ spermine was $9.5^{\circ}$ Bx which was $1.6^{\circ}$ Bx higher compared to that in untreated control. However, spermine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acidity of fruit and it remained 0.68-0.76% regardless of treatment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rmine trea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strawberry fruit under abnormal low-temperature condition. The positive effect was the highest at $250{\mu}M$ spermine treatment and gradually decreased in the order of $100{\mu}M$, $500{\mu}M$, and untreated control.

신규 benzenesulfonylurea 계 화합물 KSC-13906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a new benzenesulfonylurea compound, KSC-13906)

  • 황인택;최정섭;고영관;최용석;김만호;김대황;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1999
  • 유망한 신규 합성 제초제 후보화합물 KSC-13906의 제초 활성과 특성을 온실 시험과 야외 폿트 및 포장 시험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 KSC의 살초 스펙트럼은 넓어 사마귀풀과 밭뚝외풀을 제외한 7초종(피, 올챙이고랭이, 물달개비, 너도방동사니, 올미, 올방개, 가래, 벗풀)에 대하여 $2.5{\sim}5$ g ai/ha의 처리량에서도 90% 이상 방제하였다. 또한 기존의 sulfonylurea계 제초제들과는 달리 특이적으로 3엽기까지의 피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벼에 대한 약해시험 결과 직파벼 3엽기 이후, 벼 이앙 10일 이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야외 폿트 시험결과 $3{\sim}5$ g ai/ha로 5 DAT에 처리하였을 때 발생초종을 완전히 방제하였으며, 포장시험에서는 3 g ai/ha의 KSC-13906을 이앙 후 5, 10, 15일에 처리하여도 잡초방제효과는 모두 90%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특히 피에 대한 방제효과는 100%로 나타났으며, 대조약제 PYR의 21 g ai/ha와 유사한 잡초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다년생 잡초중에서 올방개에 대한 살초효과는 처리시기에 관계없이 탁월하였다. KSC-13906을 직파벼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제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약해경감제를 사용하여 직파벼에 대한 안전성을 제고시키지 않으면 안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규 시험화합물 KSC-13906의 직파벼에 대한 약해를 제거시킬 수 있다면 처리 폭이 넓은 강력한 신규 논제초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차광처리에 따른 시설하우스 재배 고들빼기의 생육 및 생리활성 변화 (Shading Effect on Plant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Youngia sonchifolia Grown in Plastic House)

  • 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5-224
    • /
    • 2010
  • 고들빼기의 시설생산을 위해 배지조성 및 차광정도를 달리한 환경조건에 대한 생육특성과 그에 따른 생리활성 변이를 검토하고자 온실시험을 수행하였다. 고들빼기 시설재배를 위한 적정한 배지조합은 코코피트와 펄라이트를 각각 70:30과 50:50으로 혼합한 배지가 코코피트와 펄라이트의 단독배지보다 생육 및 수량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차광정도에 따른 고들빼기의 근장, 엽면적 및 생체중을 비롯한 생육은 무차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50%차광 및 70%차광 순이었다(P<0.05). 총페놀 함량(110.2~119.2mg $kg^{-1}$)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128.3~146.7mg $kg^{-1}$)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은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에서, 무차광보다는 차광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한편,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성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고 지하부(47.7~49.8%)보다는 지상부(50.2~80.8%)에서, 차광보다는 무차광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