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rice

검색결과 704건 처리시간 0.039초

DEVELOPMENT OF A FRONT END PLANNING TOOL FOR SUSTAINABILITY

  • Sang-Hoon Lee;Spencer Howard;Lingguang Song;Kyungrai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506-513
    • /
    • 2009
  • The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CII) developed the Project Definition Rating Index (PDRI), as a part of their Front End Planning best practices, which helps project managers assess and measure project scope definition risk elements. U.S. Green Building Council are seeing the benefits of sustainable building an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certification by positively impacting life cycle costs, building marketability, and organizational productivity. However, there have been no efforts to integrate these two planning tools in construction industry. By applying a supplemental tool which combines the PDRI with the LEED rating system, construction industry can develop and implement a tailored instrument that leads to total project success in sustainabilit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ssemble a new front end planning mechanism for green buildings by incorporating the current PDRI and LEED systems.

  • PDF

수도 농녹색엽과 담녹색엽 Near-isogenic 계통의 생장특성 및 수량형질 비교 (Comparisons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s between Near-isogenic Lines with Dark and Pale Green Leaves in Rice)

  • 박순직;임병기;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6-230
    • /
    • 1986
  • wx 126조합으로부터 분리된 농녹색업과 담녹색엽 near-isogenic계통의 광합성 정도와 생장특성 및 수량관련형질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녹색엽계통이 담녹색영계통보다 엽록소 a, b 및 총엽록소 함량은 현저히 높았으나 엽록소 a, b의 비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2. 출수기 지엽에 있어서 단위엽면적당 광합성율은 농녹색엽계통이며 높았으나 단위엽녹소당 광합성량은 담녹색엽계통이 더 높았다. 3. 이앙부터 출수기까지의 CGR은 농녹색엽계통이 더 높았으며 이는 NAR이 높은 데서 기인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4. 농녹색엽게통의 주당수수, 주당영화수 및 주당수량은 담녹색엽계통에 비해 각각 높았으나 1,000입중과 등숙율은 두 계통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주요 조사료원과 쑥, 녹차의 반추위 건물 및 조단백질 소화율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Ruminal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on Major Roughage, Wormwood and Green Tea)

  • 이신자;이수경;노진구;김도형;임정화;문여황;이성실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39-152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조사료(rice straw, timothy and alfalfa) 및 쑥과 녹차의 반추위 소화율과 물리적 구조를 비교하기 위해 in vitro 와 in situ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사료별 3, 6, 9, 12, 18, 24, 36, 48 및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in vitro 실험에서는 가스 발생량, 미생물 성장량, pH를 측정하였다. 가스발생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할 수록 모든 시간대에서 증가하였고(p<0.05), 녹차에서의 가스발생량이 가장 낮았다. 미생물 성장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고(p<0.05), 쑥과 녹차의 미생물 성장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반추위내 pH는 배양시간 경과할 수록 감소하였고, 티모시의 pH가 다른 사료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볏짚의 pH가 다른 사료에 비해 높았다(p<0.05). In situ 실험에서 모든 시간대 녹차의 건물소화율(DM; Dry Matter) 및 조단백 소화율(CP; Crude Protein)은 가장 높았다(p<0.05). 또한 반추위내 통과 속도 4% 쑥에서 건물소화율이 가장 높았고, 알팔파는 조단백 소화율이 가장 높았다(p<0.05). 녹차와 쑥의 표면과 기공을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한 결과, 쑥 표면에는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아 반추위 내 영양소 소화율이 낮은 것으로 사료되고, 녹차는 기공에 미생물이 관찰 되었다. In vitro 및 in situ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반추동물의 사료원료로 잠재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과 녹비작물과 보리 혼파 이용 시 예취 높이에 따른 Biomass와 벼 생육 및 수량 변화 (Changes of Biomass of Green Manure and Rice Growth and Yield using Leguminous Crops and Barley Mixtures by Cutting Heights at Paddy)

  • 전원태;성기영;오계정;김민태;이용환;강위금;이현복;강항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2-197
    • /
    • 2012
  • 본시험은 동작물 재배 시 두과녹비작물과 보리를 혼파하여 화학비료를 대체하고 예취 높이를 달리 하여 사료와 녹비를 동시에 이용하고자 2008년 10월에 두과녹비작물과 녹비보리를 혼합하여 부분경운파종으로 파종하였다. 처리내용은 녹비보리+헤어리베치와 녹비보리+CC (크림손클로버) 혼파와 녹비보리/헤어리베치와 녹비보리/CC (크림손클로버) 교호파종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녹비작물 재배 후 환원하기 전에 예취 높이를 8 cm, 25 cm 및 전량 환원구를 두었다. 예취 높이 8 cm와 25 cm 이상의 녹비작물은 제거 후 환원하였다. 잔존 녹비 환원은 2009년 5월 20일에 트랙터를 이용하여 로타리 경운으로 환원 후 6월 4일에 풍미벼를 중묘 기계 이앙하였다. 벼 재배 시 잔존 녹비이용구는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고 관행시비구는 10a 당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9 kg, 4.5 kg, 5.7 kg을 시용하였다. 녹비로 이용 가능한 잔존 건물중은 예취 높이 25 cm구가 8 cm 구보다 높았으나 25 cm 구의 파종방법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두과 녹비작물의 잔존은 교호 파종구에 유의적으로 많이 잔존되었다. 사료로 이용가능한 지상부 건물중은 예취높이 8 cm 구가 25 cm 구보다 높았으며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 8 cm 혼파구에서 가장 높았다. 두과 녹비작물의 건물중도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 혼파구의 8, 25 cm 구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잔존 녹비를 환원하여 벼를 재배한 결과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 혼파 환원구의 25 cm 예취에서 관행시비 ($535.7kg\;10a^{-1}$)와 유의적 쌀수량 차이가 없었고 토양 유기물 함량이 약간 증가하고 물리성이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두과 녹비작물과 녹비보리를 혼파하여 녹비와 사료를 동시생산 및 벼 재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헤어리베치와 혼파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영접도감(迎接都監) 잡물색의궤(雜物色儀軌)에 관한 분석적(分析的) 연구(硏究) 식품(食品)의 재료(材料)와 소용기용(所用器用)에 관하여 (1609년(年), 1643년(年)의 의궤(儀軌)를 중심(中心)으로) (An Analytical Study on the Youngjeob Dogam Zabmulsek Euigwae of Choson Dynasty (1609, 1643 year))

  • 김상보;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9-125
    • /
    • 1992
  • To analyze food material and table wares in daily reception dishes of Choson Dynasty, studied historic book 'Young jeob Dogam Zabmulsek Euigwae' (1609, 1643 year) described the daily reception dishes for Chinese envoy in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od material for reception Chinese envoy were vegetable, pickled vegetable, soup (?水), brown seaweed, kelp, green seaweed, garlic, pine mushroom, mushroom, driedfish, fish egg, shrimp, pork, pheasant, fowl, salted fish shrimp and etc, various fruits preserved in honey, green peajelly, buck wheat jelly and bean curd. 2. The table wares were rice bowl(鉢里), small bowl of porcelain(甫兒), water bowl(大貼), plate(貼是), small dish(鍾子), small earthen ware jar(東海), jar(缸), pottery(甕), table(盤), chopsticks(?), washbowl(洗面盆), earthen ware steamer(甑), kettle(釜), brazier(爐), measuring cup(升), unit of measure(合), meter(稱子), spoon(匙), chest (函), lid(蓋), large rice bowl(所羅) and bowl(椀).

  • PDF

노인식 제공을 위한 일부 노인의 음식 기호도 조사 (Food Preference Test of the Korean Elderly Menu Development)

  • 박선주;이해정;김완수;임재연;최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8-107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food preferences of the Korean elderly for Korean elderly menu development. The elderly subjects preferred steamed rice cooked with 1.2 times water than that with 1.5 times water (p < 0.001) , whole rice grain gruel than the gruel with ground grain (p < 0.05) . Green tea powder gruels developed as a snack,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of the elderly between gruel with different contents of green tea powder (2, 3, $4\%$). The preferences of the salt concentration of the soup were tested by using soybean sprout soup and soybean paste soup. The elderly preferred 0.7 - $0.8\%$ salted bean sprout soup and $7\%$ soybean paste soup. The elderly preferred Kimchi cut in widths of 1 - 2 cm than that in 0.5 cm. The elderly preferred sweeter grape jam ($67\%$ vs. $50\%$ or $37\%$ sugar content) and were not concerned about chewing seeds. This result could be useful to develop menus for the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1): 98$\sim$107, 2006)

Is there a causal effect betwee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in Ghana?

  • Owusu, Phebe Asantewaa;Asumadu-Sarkodie, Samuel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40-54
    • /
    • 2017
  • According to FAO, "agricultural sectors are particularly exposed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increases climate variability". As a result, the study makes an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 Is there a causal effect betwee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in Ghana? By employing a time series data spanning from 1960 to 2015 using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ethod. There was evidence of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running from copra production, corn production, green coffee production, milled rice production, millet production, palm kernel production and sorghum production to carbon dioxide emissions. The short-run equilibrium relationship shows that, a 1% increase in copra and green coffee production will increase carbon dioxide emissions by 0.22% and 0.03%, a 1% increase in millet and sorghum production will decrease carbon dioxide emissions by 0.13% and 0.11% in the short-run while a 31% of future fluctuations in carbon dioxide emissions are due to shocks in corn production. There was bidirectional causality between milled rice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millet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sorghum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a unidirectional causality running from corn production to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to palm kernel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