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ater Mekong Subreg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A Digital Thesaurus of the Traditional Common Culture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 Suwannee Hoaihongthong;Kanyarat Kwiecie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63-74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igital thesaurus dedicated to cataloging the traditional common culture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The process followed a meticulous seven-step methodology, including scoping, vocabulary collection,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relationship delineation, related word adjustments, list validation, and evaluation. Leveraging principles from knowledge organization, thesaurus construction, and digital platform development, the TemaTres web application emerged as the primary tool for constructing this thesaurus. The study's results showed that 2,042 principal words related to the traditional common culture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were compiled and classified into terms for each of the seven deep levels. Each term was accompanied by essential metadata, including broader and narrower terms, related terms, cross-references, and scope notes. This rich dataset empowered semantic search capabilities across diverse applications and web services, providing access to knowledge pertaining to the traditional common culture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and contribut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is cultural domain.

The Analysis of Hydropower Development and the Mekong Power Grid on Regional Cooperation : Focus o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Program

  • Nayeon Shin;Seungho Lee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5-245
    • /
    • 2023
  • This paper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Mekong River Basin countries have achieved socioeconomic benefits based on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GMS) Program, focusing on hydropower development and the Mekong Power Grid.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time period from 2012 to 2022. The benefit sharing approach is employed to evaluate the extent to which hydropower development and the Mekong Power Grid have contributed to the regional energy trade in the GMS program. The GMS program was launched by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in 1992, and the Chinese provinces of Yunnan and Guangxi, Myanmar, Lao PDR, Thailand, Cambodia, and Vietnam have taken an active part in the program. The goals of the GMS program are to achieve poverty allevia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regional cooperation in various sectors, including energy, tourism, and transportation. The GMS Economic Cooperation Program Strategic Framework 2030 (GMS-2030), in 2021, provides a new framework for prosperou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river basin. In the energy sector, the GMS program has been instrumental in facilitating hydropower development and creating the Mekong Power Grid with the Regional Grid Code (RGC), contributing to economic benefits and promoting regional trade of hydroelectricity. It is argued that the GMS program has enhanced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the riparian countries. Despite such achievements, the GMS program has faced challenges, including the gap of economic development between the riparian countries,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cerns regarding hydropower developme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kong countries, and geopolitical tensions from the US-China rivalry. These challenges should adequately be addressed within the program, which can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for the river basin.

  • PDF

Cooperation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for the Mekong River Basin through Benefit Sharing

  • Lee, Seungkyung;Lee, Seungh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3-223
    • /
    • 2015
  • This research evaluates cooperation in transboundary river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Great Mekong Subregion (GMS) program in the Mekong River Basin. The benefit sharing approach has been deploy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the riparian states have achieved cooperation. The river basin governance led by the Mekong River Commission since 1995 has not adequately performed due to non-participation of upstream countries and the lack of law enforcement mechanism. Since the late 1980s, China has undertaken hydropower development unilaterally, thereby triggering discomfort from the Lower Mekong countries. The GMS program has led China to strengthening economic ties with the downstream countries through hydropower development as investors and developers. The program has also supported the establishment of economic corridors, and removal of physical barriers and has paved the way for cooperation in other sectors, such as the environment, agriculture, tourism and energy. There are challenges for further cooperat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gaps between China and the downstream countries, political tensions and environment impacts of hydropower dams in the river basin. The Mekong River Basin shows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through benefit sharing. Sharing benefits accrued from the river and beyond the river between China and the downstream countries have enhanced economic ties, thereby consolidating cooperation each another.

  • PDF

메콩유역권 내 자본주의의 지역적 역동성: 라오스 고무산업의 사례 (Regional Dynamics of Capitalism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The Case of the Rubber Industry in Laos)

  • 에도 안드리에스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3-90
    • /
    • 2015
  • 본 연구는 라오스 자본주의 발전의 지리제도적 분화와 다중스케일 분석에 주목한다. 또한 메콩유역권이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경제지리학적 배열에 미친 영향을 논의하고 아시아 자본주의 다양성 접근법의 유용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상위 스케일에 연결되어 있는 다양한 국가 내 제도적 분포를 밝히기 위해 중국의 수요로 성장하고 있는 라오스의 고무산업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라오스 고무산업의 자본주의적 발전은 중국, 태국, 베트남 투자자들의 서로 다른 전략에 의한 지리제도적 분화를 보여준다. 이행기에 있는 라오스 자본주의의 분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지만, 고무산업에서 나타나는 증거는 다양한 제도적 분포가 존재함을 드러낸다. 그러나 포괄성의 부재는 지역발전 측면에서 우려되는 점이 있는데, 배타적 분포가 지역의 불균등한 발전과 불평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발도상국 국가 내 자본주의의 다양성에 대한 이론을 정교화하기 위해 지역의 사적 자본주의 개념, 국가와 지역정부의 복합적 상호작용, 그리고 자본축적과 생계수단분석 간의 관계를 분명히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Unraveling Haplotype Diversity of the Apical Membrane Antigen-1 Gene in Plasmodium falciparum Populations in Thailand

  • Lumkul, Lalita;Sawaswong, Vorthon;Simpalipan, Phumin;Kaewthamasorn, Morakot;Harnyuttanakorn, Pongchai;Pattaradilokrat, Sittipor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2호
    • /
    • pp.153-165
    • /
    • 2018
  • Development of an effective vaccine is critically needed for the prevention of malaria. One of the key antigens for malaria vaccines is the apical membrane antigen 1 (AMA-1) of the human malaria parasite Plasmodium falciparum, the surface protein for erythrocyte invasion of the parasite. The gene encoding AMA-1 has been sequenced from populations of P. falciparum worldwide, but the haplotype diversity of the gene in P. falciparum populations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GMS), including Thailand, remains to be characterized. In the present study, the AMA-1 gene was PCR amplified and sequenced from the genomic DNA of 65 P. falciparum isolates from 5 endemic areas in Thailand. The nearly full-length 1,848 nucleotide sequence of AMA-1 was subjected to molecular analyses, including nucleotide sequence diversity, haplotype diversity and deduced amino acid sequence diversity and neutrality tests. Phylogenetic analysis and pair-wise population differentiation ($F_{st}$ indices) were performed to infer the population structure. The analyses identified 6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c loci, predominately located in domain I of AMA-1. A total of 31 unique AMA-1 haplotype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d 11 novel ones. The phylogenetic tree of the AMA-1 haplotypes revealed multiple clades of AMA-1, each of which contained parasites of multiple geographical origins, consistent with the $F_{st}$ indices indicating genetic homogeneity or gene flow among geographically distinct populations of P. falciparum in Thailand's borders with Myanmar, Laos and Cambodia. In summary, the study revealed novel haplotypes and population structure needed for the further advancement of AMA-1-based malaria vaccines in the GMS.

Molecular Surveillance of Pfkelch13 and Pfmdr1 Mutations in Plasmodium falciparum Isolates from Southern Thailand

  • Khammanee, Thunchanok;Sawangjaroen, Nongyao;Buncherd, Hansuk;Tun, Aung Win;Thanapongpichat, Supiny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4호
    • /
    • pp.369-377
    • /
    • 2019
  • Artemisinin-based combination therapy (ACT) resistance is widespread throughout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This raises concern over the antimalarial treatment in Thailand since it shares borders with Cambodia, Laos, and Myanmar where high ACT failure rates were reported. It is crucial to have information about the spread of ACT resistance for efficient planning and treatment.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lecular markers for antimalarial drug resistance: Pfkelch13 and Pfmdr1 mutations from 5 provinces of southern Thailand, from 2012 to 2017, of which 2 provinces on the Thai- Myanmar border (Chumphon and Ranong), one on Thai-Malaysia border (Yala) and 2 from non-border provinces (Phang Nga and Surat Thani). The results showed that C580Y mutation of Pfkelch13 was found mainly in the province on the Thai-Myanmar border. No mutations in the PfKelch13 gene were found in Surat Thani and Yala. The Pfmdr1 gene isolated from the Thai-Malaysia border was a different pattern from those found in other areas (100% N86Y) whereas wild type strain was present in Phang Nga. Our study indicated that the molecular markers of artemisinin resistance were spread in the provinces bordering along the Thai-Myanmar, and the pattern of Pfmdr1 mutations from the areas along the international border of Thailand differed from those of the non-border provinces. The information of the molecular markers from this study highlighted the recent spread of artemisinin resistant parasites from the endemic area, and the data will be useful for optimizing antimalarial treatment based on regional differences.

라오스의 변경 자본주의 대(대) 캄보디아의 세습 과두제 (Frontier Capitalism in the Lao PDR Versus Patrimonial Oligarchy in Cambodia)

  • 에도 안드리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08-422
    • /
    • 2013
  • 논문은 최근의 학문적 성과들을 바탕으로 아시아 지역의 자본주의 다양성과 비즈니스 시스템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참고 문헌들을 통해 국가의 역할과 경제 지리의 성격을 규명하여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자본주의적 다양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영토가 경제 권력을 어떻게 재조직하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는지에 대한 질문과 라오스와 캄보디아가 국가 자본주의와 베이징-서울-도쿄 합의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고자 한다. 두 국가 간의 비교 분석은 라오스의 국가에 의해 조정되는 Frontier Capitalism과 캄보디아의 세습적 과두 체제 간의 차이를 규명한다. 라오스는 지역적으로 자본주의적 다양성이 발현된다. 공간적인 제약이 약한 캄보디아의 과두적 집권층은 상대적으로 시장의 기능에 주목하지만 기회의 균등이라는 면에서는 완전한 자유 시장을 지향하고 있지는 않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들은 실증적, 이론적 두 가지 관점 모두에서 아시아의 자본주의에 대한 후속 연구의 가능성들을 제기한다. 향후의 연구는 중소 기업의 역할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이며 이론들은 과두제와 개인적, 가족적 자본주의를 통합하여야 한다.

  • PDF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 생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rubber smallholder livelihoods in Cambodia and Laos)

  • Andriesse, Edo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4권2호
    • /
    • pp.167-206
    • /
    • 2014
  • 메콩 경제권(GMS)의 다양한 개발 현장 속에서 고무 나무로부터 채취하는 라텍스는 캄보디아, 라오스를 포함한 인도 차이나 반도 국가들 사이에서 주요 농업 활동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대형 플랜테이션은 여러 부정적인 결과들을 낳고 있다. 토지 점유, 계약 농업을 통한 착취 등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농촌의 빈곤은 증가하고 있고 해외 투자자에 대한 재정적, 기술적 의존이 심화되고 환경 파괴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소규모 자작농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무 자작농은 고용을 창출하며 토지 점유를 방지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와 라오스의 소규모 고무 자작농들의 생계를 비교하며 고무 호황으로 어떠한 이득을 얻고 어떠한 형태로 생계를 개선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Tboung Khmum 구역과 Somsanouk 마을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은 세 가지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하였다. 미시-생계 연구, 글로벌 가치사슬 그리고 GMS에 대한 연구들이다. 실증 분석의 초점은 생계의 변화상과 결과(고용 창출과 빈곤 탈출)이다. 전체적으로 소규모 고무 자작농은 전망이 밝았으나 앞서 언급 된 문제점들로 인해 농촌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아니다. 중요한 유사성은 소규모 고무 자작농의 사회경제적 공헌이다. 연구 지역 두 곳에서 자작농들은 고무 농사는 생계를 개선하는 데에 좋은 수단이라고 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교육 수준은 그들의 생계 전략을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 양쪽 지역에서 응답자들은 다른 주민을 따라 고무 농사를 시작했다고 대답했으며 경제, 환경적인 위험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한 다른 유사점으로 소규모 자작농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정부의 개입이 없었다는 것이다. 자금 조달은 고무 농사의 심각한 애로 사항 중 하나였다. 명확한 차이점으로 Tboung Khmum의 자작농들은 중개 상인에게 계약 관계를 맺지 않고 라텍스를 판매했으며 Somsanouk의 경우에는 고무 가격이 국제 시장의 영향을 받음에도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상인에게 농민 전체가 같이 판매를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GMS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근대적인 경제 현상 에 농촌 공동체들이 다양하게 연결 되고 있음을 재확인한다. 게다가 Somsanouk 마을에서는 사이짓기를 하는 경우가 없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작농들에게 사이짓기를 장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boung Khmum 마을의 경우 고무와 더불어 고무 이전의 주요 작물이던 카사바를 같이 재배했다. 요약하면, 자작농에 의한 소규모 고무농업은 (비록 농촌의 모든 어려움을 해결할 수는 없지만) 토지점유 등 부정적 현상이 나타나는 대규모 플렌테이션에 비해 유의미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미래를 위한 보다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농촌 생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7년 간의 고무 생육기간 동안 농가가 감수해야 하는 사회-경제적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대안적 소득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