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at ja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평택 대추리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대형옹(甕)에 사용된 접착재료 연구 (A Study on the Bonding Materials used for the Great Jar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from Daechuri Site, Pyeongtaek)

  • 조남철;김수철;김우현;신연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1-376
    • /
    • 2010
  • 평택 대추리 유적에서는 원삼국시대로 추정되는 대형옹이 발굴되었으며, 발굴 시 파손된 편들에서 접합한 흔적들을 선명히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형옹편들을 접합할 때 사용한 접착제의 성분을 실체현미경, FT-IR, py-GC/MS를 이용하여 알아보았으며, 같이 붙어 있는 직물의 종류를 투과광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실체현미경으로 단면을 관찰한 결과 옹편과 접합부위 사이에는 접착물질로 보이는 검은색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되어 있으며, 아래에는 직물의 단면 모양을 지닌 선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검은색 접착물질을 FT-IR과 py-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 옻칠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투과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옻칠과 함께 붙어있던 직물의 종류를 알아본 결과 대마(hemp)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고대 유물을 수리할 때 사용한 재료들에 대하여 자료가 거의 없음으로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원삼국시대 이전부터 대형옹를 접합할 때 옻칠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고대로부터 사용되어온 접착제에 대하여 체계적인 성분조사가 이루어진다면 고대 유물에 사용되었던 접착.복원제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항공기 연료탑재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ircraft Fuel Requirements)

  • 노건수;최연철;유광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9
    • /
    • 2005
  • Airplane fuel takes large portion of airline operation cost and recently it has been grown up to about 25% of operating cost. So airlines are making efforts to reduce fuel consumption continuously and also aircraft manufacturers are making efforts to develop less fuel-consuming engines but it takes great expenses and times to develop such engines. In this study, fuel requirements of FAR and JAR, especially contingency fuel requirements, are compared and the effectiveness of each method is analyzed.

  • PDF

How to Insert Acupuncture Needles into the Subacromial Space through LI15

  • Lee, Kwang Ho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242-244
    • /
    • 2021
  • LI15 is an important acupuncture point to treat shoulder pain. There are 4 needling methods for LI15 in the textbook; 1 method requires the insertion of the needle horizontally between the acromion and the great tuberosity of the humerus with the arm lowered for supraspinatus tendonitis. This method is also applicable for all conditions of rotator cuff disease, but it has not previously been described in detail. Providing X-ray scans and describing needle direction and depth of insertion will provide evidence for needling with the arm down as an effective stimulation of the subacromial space. Firstly, for this technique, with the arm raised, a concave point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edge of the acromion and the humerus, and the lower upper arm. Secondly, the acupuncture needle is inserted slightly posteriorly towards the supraspinous fossa, in the direction of the supraspinatus tendon and to a depth of 30-40 mm.

천안-아산지역 원삼국시대 토기의 제작특성과 원료산지 해석: 밖지므레 유적을 중심으로 (Clay Source Interpretation and Making Characteristics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Potteries from Cheonan and Asan in Korea: Focusing on the Bakjimeure Site)

  • 김란희;정제원;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1-185
    • /
    • 2013
  • 이 연구는 아산 탕정 밖지므레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토기의 기형별 제작특성과 원료산지 해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토기편은 심발형토기, 원통형토기, 오리형토기 및 원저단경호편으로 이 중 원저단경호가 우점한다. 이는 인근의 용두리 진터 유적, 갈매리 유적과 백석동 유적에서도 확인되며, 태토의 색상, 흡수율 및 분급에서 상당히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4.57~25.19%의 흡수율 범위와 $850{\sim}1,150^{\circ}C$의 넓은 소성온도 범위를 가져 쓰임이 다양하게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원통형 및 오리형토기와 심발형토기는 재료과학적으로 동질성이 높고 $850{\sim}950^{\circ}C$의 소성온도 범위를 보인다. 그러나 심발형토기는 다른 기형에 비해 조립질의 석영 및 장석류가 다량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아산 밖지므레 유적 남단부의 3지점에서 수습한 토양시료는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동일 유적 토기 뿐만 아니라 다른 유적에서 수습한 대부분의 토기들과 가장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낙동강 수계에 대한 정수처리공정에서 응집공정의 DOC 제거 특성 (Characteristics of DOC Removal by Coagulation Process in the Water Treatment of Nakdong River)

  • 황덕흥;김동윤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6-73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rive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target materials(DOC and turbidity) during the coagulation process after the injection of coagulants(PACl and FeCl3). Used apparatus were a jar test and a pilot plant. A great portion of DOC among the total removed DOC was achieved at the slow mixing process among the coagulation process. The ranges of removed DOC and optimum pH for each coagulant were 0.45~1.47mg/l and 6.0~6.5 by PACl, and 0.97~2.61mg/l. and 5.0~5.5 by FeCl3, respectively. Both of coagulants showed little increase of DOC removal above coagulant dosage 20mg/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MWD) of removed DOC was measured by get filtration(GF) technique. The MWD variation by gel filtrationin(GF) for removed DOC in the coagulation process were as follows; for raw water, the percentages of each MWD for total area were < MW 6,500 25.5%, MW 6,500~66,000 67.1%, and > MW 66,000 7.4%. For the same coagulant dosage(12mg/l), the percentages of each MWD for total area by PACl were < MW 6,500 20.5%, MW 6,500~66,000 48.7%, and > MW 66,000 9.1%, and those of FeCl3 were MW 66,000 18.2%. For each coagulant, the removal percentage of MW 6,500~66,000 occurred a little, but at a part of

  • PDF

Illustrations of the Nine Types of Needles based on Huangdi's Internal Classic Ling-shu

  • Kim, Hyo Jin;Lee, Kwang Ho;Yang, Gi Yo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6권1호
    • /
    • pp.38-44
    • /
    • 2019
  • Background: The phrase "Nine Needles" refers to the 9 types of acupuncture needles describing their shapes, sizes, and uses in Huangdi's Internal Classic Ling-shu.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3D illustrations of the "Nine Types of Needles" based on Huangdi's Internal classic Ling-shu,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nfor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Nine Needles. Methods: Sketches of the "Nine Needles" were based on references to those needles cited in Huangdi's Internal Classic Ling-shu, the Great Compendium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the Golden Mirror of Medicine. The computer programs Creo 3.0, Keyshot 5, Adobe Photoshop CS5, and Adobe Illustrator CS5 were used for 3D modelling and visualization. Results: Based on a review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Ling-shu, illustrations of the Spade needle, Round-Pointed needle, Pressure needle, Sharp-Edged needle, Sword-Shaped needle, Round-Sharp needle, Fine needle, Long needle, and Large needle, 3D models were created. The Spade needle had a sharp, large head, the Round-Pointed needle had an egg-shaped tip, and the Pressure needle had a blunt head like a grain of millet. The Sharp-Edged needle had a sharp blade with a triangular edge for bloodletting. The Sword-Shaped needle resembled a sword. The Round-Sharp needle resembled a horse's tail. The Fine needle and the Long needle had sharp points and thin bodies. The Large needle had a cylindrical shaft and rounded ti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3D illustrations could be generated for the Nine Needle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s and figures provided in the ancient literature.

전라도지역 사찰단청(寺刹丹靑)의 비교 연구 해남 미황사(美黃寺) 대웅전(大雄殿) 단청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the Dancheong(丹靑) of Buddhist Temples in Jeolla Region focused on the Dancheong of the main building of Mihwangsa Buddhist Temple at Haenam(海南))

  • 이수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152-171
    • /
    • 2009
  • 해남 미황사 대웅전 단청은 18세기에 조성되어 근래까지 이어오는 전라도지역의 단청 양식을 이끈 대표작으로서 우수성과 독창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건물 외부에는 안료의 박락과 퇴색이 심하게 진행되어 단청의 흔적만 확인될 뿐이나 내부에는 일반 단청문양 외에 다른 사찰에서는 그 실례가 드문 천불도(千佛圖)가 함께 조성되어 있으며, 독립적인 회화작품으로 손색이 없을 만큼 기량이 뛰어난 나한도를 포함하고 있다. 방법적인 측면에서도 종이에 그려 붙인 첩부식(貼付式)으로 여타 단청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내부 단청은 "달마산미황사대법당중수상량문"의 기록과 충량에 남아있는 '무등산인 단확야(無等山人丹?也)', '건륭십구(乾隆十九)'라는 묵서명, 단청문양과 천불도에서 엿보이는 양식적 특징 등을 통해 1754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재단청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점 또한 미황사 대웅전 단청의 조성연대가 1754년이라는 절대연대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이 같은 절대연대는 단청문양의 편년 설정의 기준이 될 것이며 시대별 특징과 변화를 유추하는데 있어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단청은 시대별, 지역별로 일정한 양식적 특징이 있다. 전라도지역 단청 또한 일정한 양식을 형성하고 있는데 머리초를 먹당기 없이 2중 내지 3중의 녹색대로 마무리하는 경향, 휘골의 커다란 항아리 장식 등은 전라도 단청양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금단청이든 모로단청이든 간에 모든 부재의 뱃바닥을 색긋기로 처리하는 점도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이어져온 전라도 단청 양식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라도지역에 위치한 천은사 극락보전과 내소사 대웅보전의 단청에서 이러한 특징 외에 미황사 대웅전 단청과 유사한 문양과 기법을 찾아 볼 수 있어 주목된다. '미황사 양식'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미황사 단청이 나머지 두 사찰 단청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더 넓은 시각으로 보았을 때 전라도지역 단청의 양식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황사와 천은사, 내소사의 단청에서 볼 수 있는 공통된 도상과 기법 등은 화사간의 영향관계를 짐작케 하는 부분으로 동일화파 내지는 미황사 단청을 조성했던 화사들의 영향을 받은 또 다른 화사들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