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vity core sampl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 남해 광양만 퇴적물에서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수직적 군집 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Sediments from Gwangyang Bay, Korea)

  • 김소영;문창호;조현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0-297
    • /
    • 2003
  • To describe vertical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bottom sediments from Gwangyang Bay, three short-cor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with a gravity core sampler on 24 August 2001: St. 1 core (27.5 cm)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bay, St. 14 core (30.5 cm) in the southwestern part, and St. 16 core (25.9 cm) near Yeosu Sound. Total cyst densities generally decreased from the top of the sediment samples through the bottom. The highest cyst densities were observed at 2-3 cm in St. 1 core, 4-5 cm in St. 14 core, and 0-1 cm in St. 16 core respectavely. Living cysts were observed till the bottom of the sediment samples. The increase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cyst proportion may indicate that the eutrophication process was recently escalated in the study area.

피스톤식 자유낙하 주상시료 채취기 (A Piston Type Free-fall Corer(KORDI-FFC))

  • 지상범;어영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5-370
    • /
    • 1995
  • 해양 퇴적물의 주상시료 채취를 위하여 사용되는 자유낙하 코어러(free-fall corer, FFC)는 조사선의 윈치와 케이블이 필요없고 소형 조사선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장비이다. 심해저 광물지원 탐사시 탐사효율을 높이고자 새로 개발된 피스톤형 자유낙 하 코어러는 KORDI-FFC라 명명되었다. 이 장비는 이 장비는 피스톤 코어러(piston corer)와 자유낙하 코어러의 장점이 조합된 채취기로, 열린 배럴의 중력 코어러(open barrel gravity corer)를 변조하여 만든 기존의 자유낙하 코어러의 단점이 보강되었고 양질의 시료가 채취되도록 설계되었다. 본 장비를 진해만과 제주부근 해역에서 4회에 걸쳐 투하한 결과 교란이 적은 표층 퇴적물 시료가 성공적으로 채취되었다. 시험 결과 본 장비는 심해저 및 천해저에서 원치와 케이클, 갑판의 A-frame, 또는 해상 크레인 없는 소형 선박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최단 시간에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며, 본 장비의 사용과 동시에 선상에서 자유롭게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고, 제작 및 소모 비용이 저렴하며, 표층퇴적물의 교란이 적은 양질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 PDF

제주도 차귀도 서북쪽 해역 내 퇴적 환경 및 퇴적물 조사 (Survey of Sedimentary Environment and Sediment at the West-Northern Site of Chagwi-do nearby Jeju Island)

  • 김한수;현종우;김창수;김정록;조일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7-143
    • /
    • 2016
  • 10 MW급 부유식 파력-해상풍력 복합발전 플랫폼의 석션 매립 앵커 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제주도 차귀도 서북쪽 인근해역에서 퇴적 환경 및 퇴적물 성분 조사를 수행하였다. Chirp III을 이용하여 획득한 탄성파 단면도를 Chough et al.[2002]의 분류 방법에 따라 음향상 분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조사 해역내의 중앙 및 서북부 지역에서는 주로 편평한 해저면 아래 두께 5~15 m의 내부 반사층이 존재하는 Type I-3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동남부 지역에서는 표층 반사 신호가 상대적으로 큰 Type I-1, I-2 그리고 III-1로 확인되었다. 또한 8개의 대표 정점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5종류의 물리적 시험(단위중량, 함수비, 입도분석, 액성 및 소성 한계, 비중)을 수행한 결과 조사 해역 내에는 모래(SP)와 실트가 섞인 모래(SM) 그리고 SP-SM이 혼합된 퇴적물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