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vel conten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6초

Experimental study on the tensile strength of gravelly soil with different gravel content

  • Ji, Enyue;Chen, Shengshui;Zhu, Jungao;Fu, Zhongzh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3호
    • /
    • pp.271-278
    • /
    • 2019
  • In recent years, the crack accidents of earth and rockfill dams occur frequently. It is urgent to study the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failure mechanism of the gravelly soil in the core for the anti-crack design of the actual high earth core rockfill dam. Based on the self-developed uniaxial tensile test device, a series of uniaxial tensile test was carried out on gravelly soil with different gravel content. The compaction test shows a good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mum water content and gravel content, and the relation curve of optimum water content versus maximum dry density can be fitting by two times polynomial. For the gravelly soil under its optimum water content and maximum dry density, as the gravel content increased from 0% to 50%, the tensile strength of specimens decreased from 122.6 kPa to 49.8 kPa linearly. The peak tensile strain and ultimate tensile strain all de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gravel content. From the analysis of fracture energy, it is proved that the tensile capacity of gravelly soil decreases slightly with the increasing gravel content. In the case that the sample under the maximum dry density and the water content higher than the optimum water content, the comprehensive tensile capacity of the sample is the strongest. The relevant test results can provide support for the anti-crack design of the high earth core rockfill dam.

자갈-모래 혼합토의 액상화 거동 (Liquefaction Resistance of Gravel-Sand Mixtures)

  • 김방식;강병희;윤여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0호
    • /
    • pp.47-5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자갈혼합률을 다르게 준비한 자갈-모래 혼합시료가 등방압밀 및 $K_0$-이방압밀 상태에서 나타나는 액상화거동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갈혼합률이 다른 자갈-모래 혼합토 공시체를 100kPa의 연직응력으로서 상대밀도가 40% 되도록 등방압밀 및 $K_0$-이방압밀 시킨 후 반복삼축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자갈혼합률이 0%, 10%, 20%, 30%인 공시체에 100 kPa의 연직응력으로서 간극비가 0.7이 되도록 등방압밀 후 반복시험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동일한 상대밀도(Dr=40%)를 가지는 자갈-모래 혼합토 공시체의 간극비는 자갈혼합률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약 70%를 저점으로해서 다시 증가한다. 그러나 이 경계혼합률 이하에서는 자갈입자 사이를 채우고 있는 모래의 간극비는 자갈혼합률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상대밀도가 일정한 (Dr=40%)등방압밀 공시체에 있어서 자갈혼합률이 비교적 낮은 경우(GC=0%, 20%, 40%)에는 반복하중에 의해서 일어나는 간극수압과 축변형률 거동이 비교적 높은 간극비로 인해서 느슨한 모래의 거동을 나타내나, 자갈혼합률이 높은 경우(GC=70%)에는 간극수압과 축변형률 거동이 조밀한 모래의 거동과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또한 간극비가 일정한(e=0.7) 등방압밀 공시체에 있어서 자갈혼합률이 높을수록 축변형률과 간극수압 거동은 느슨한 모래의 거동을 보이며 자갈혼합률이 낮을수록 축변형률 거동은 조밀한 모래의 거동을 나타낸다. 등방압밀 공시체의 액상화강도는 경계혼합률(GC=70%)이하의 범위에서는 상대밀도가 일정한 경우에는 자갈혼합률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간극비가 일정한 경우는 자갈혼합률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자갈-모래 혼합토의 액상화강도는 예상과는 달리 자갈 입자 사이를 채우고 있는 모래의 상대밀도 보다는 혼합토의 전체적인 상대밀도 및 간극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K_0$-이방압밀 공시체의 간극수압과 축변형률 거동은 반복응력이 어느 정도의 응력반전을 포함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응력반전이 없는 경우의 사질토의 거동을 나타낸다. 즉 응력반전량이 반복응력 진폭의 약 10%인데도 불구하고 반복변형률은 비슷하나 영구변형률이 크게 증가하며 또한 간극수압비는 1.0에 미달하여 초기액상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액상화강도는 자갈촌합률이 증가할수록 0%에서 40%까지의 범위에서는 증가하나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자갈-모래 혼합토의 반복거동은 자갈혼합량, 간극비, 상대밀도 그리고 압밀상태와 같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자갈함량과 질소시비량이 고랭지 배추재배시 침투수에 의한 질소용탈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ravel Content and Nitrogen Application on Nitrogen Leaching by the Leachate and Chinese Cabbage Growth in Highland)

  • 박철수;이계준;정영상;주진호;황선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5
    • /
    • 2005
  • 고랭지 배추재배지의 성토재로 사용되고 있는 석비레는 모래와 자갈함량이 높아 토양침식과 양분용탈의 주 요인이 되고 있어 본 연구는 자갈함량에 따른 배추수량과 질소의 용탈양상을 구명하고자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배추의 생체수량은 자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질소시비량 240 kg/ha 구에서는 현저한 수량감소를 보였다. 질소시비량 60 kg/ha 구에서는 자갈함량 30%, 질소시비량 120 kg/ha 구에서는 자갈함량 50%를 변환점으로 하여 배추수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배추의 생육장해는 질소시비량이 240 kg/ha인 구에서는 대부분 위조현상이 나타났으며 결구 초기인 8월 초순에는 자갈함량이 50% 이상이 되면 질소시비량을 ha당 120 kg만 사용해도 50% 이상이 위조현상을 보였다. 침출수의 암모늄태 질소는 자갈함량과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침출수의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배추의 고사가 발생한 30% 이상의 자갈함량과 질소시비량 240kg/ha인 처리구의 농도는 139-339 mg/L이었다. 침출수의 질소용탈량은 자갈함량에 따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갈함량이 10% 증가될 때마다 pot당 0.14g씩 증가하여 자갈함량이 10%일 때에 비하여 자갈함량이 30%가 되면 약 3.8배 증가하였다. 배추재배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은 $NH_4-N$ 농도와 pH는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NO_3-N$ 농도는 자갈함량 30%까지는 증가하다가 50%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양토에서 자갈의 함량이 30%일 때 질소비료 240 kg/ha, 자갈함량이 50%일 때 질소비료 120 kg/ha을 사용하면 배추의 생육장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토양에 시비를 하게 되면 염류장해와 위조현상을 초래하므로 토양유실이 심한 고랭지는 특수환경을 고려한 시비기준이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갈이 함유된 화강풍화토의 다짐특성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Gravel-mixed Decomposed Granite Soil)

  • 함태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1호
    • /
    • pp.59-66
    • /
    • 2007
  • 자갈혼합재료의 역학특성에 미치는 자갈혼합율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화강풍화토를 이용한 대형 일차원압축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야마구치현(山口縣) 시모노세키시(下關市)에서 채취한 화강풍화토를 이용해 입도를 조절한 후 일정한 다짐에너지로 다짐한 공시체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결과, 동일한 함수비에서 동일한 다짐에너지로 다짐을 실시하여도 자갈혼합율에 따라 서로 다른 건조밀도를 보였고, 이로부터 최대건조밀도를 나타내는 자갈혼합율이 존재하는 것과 이 자갈혼합율에서 최소의 압축지수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상혼합체이론(two-phase mixture theory)을 이용해 자갈혼합율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제안한 방법을 통해 산정한 초기건조밀도와 재료정수는 실내시험으로부터 얻은 실측값을 정확히 추정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한 에코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co-concrete with Polypropylene Fiber)

  • 성찬용;리신호;송창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6-121
    • /
    • 2001
  •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amin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co-concrete with polypropylene fiber. Test results show that the strengths are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ntent of natural gravel, excellent soil compound and polypropylene fiber.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ntent of the polypropylene fiber but it is de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ntent of natural gravel and excellent soil compound. The lowest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s achieved by eco-concrete which it is 100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durability factor i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ntent of natural gravel and excellent soil compound, and de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ntent of polypropylene fiber.

  • PDF

Shear behavior of geotextile-encased gravel columns in silty sand-Experimental and SVM modeling

  • Dinarvand, Reza;Ardakani, Alirez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8권5호
    • /
    • pp.505-520
    • /
    • 2022
  • In recent years, geotextile-encased gravel columns (usually called stone columns) have become a popular method to increasing soil shear strength, decreasing the settlement, acceleration of the rate of consolidation, reduc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 and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of foundations. The behavior of improved loose base-soil with gravel columns under shear loading and the shear stress-horizontal displacement curves got from large scale direct shear test are of great importance in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of this method. In the present study, by performing 36 large-scale direct shear tests on sandy base-soil with different fine-content of zero to 30% in both not improved and improved with gravel columns,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gravel columns in the loose soil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used to predict the shear stress-horizontal displacement curve of these samples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SVM). Variables such as the non-plastic fine content of base-soil (FC), the area replacement ratio of the gravel column (Arr), the geotextile encasement and the normal stress on the sample were effective factors in the shear stress-horizontal displacement curve of the samples. The training and testing data of the model showed higher power of SVM compared to multilayer perceptron (MLP) neural network in predicting shear stress-horizontal displacement curve. After ensuring the accuracy of the model evaluation, by introducing different samples to the model, the effect of different variables on the maximum shear stress of the sample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by adding a gravel column and increasing the Arr, the friction angle (ϕ) and cohesion (c) of the samples increase. This increase is less in base-soil with more FC, and in a proportion of the same Arr, with increasing FC, internal friction angle and cohesion decreases.

자갈 섞인 모래의 건조밀도 계산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termination of Dry Density of Sand Mixed with Gravels)

  • 박성식;최선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7호
    • /
    • pp.37-46
    • /
    • 2013
  • 실제 토목현장에 사용되는 토사에는 크고 작은 자갈이 포함된 경우가 많으며, 특히 도로 노반공사, 흙댐, 옹벽 뒤채움재 등에 사용되는 양질의 토사에도 소량의 자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소량의 자갈이지만 자갈의 함유량이나 크기에 따라 흙의 건조밀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건조밀도를 이용한 다짐도 평가를 부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모래에 크기가 다른 세 종류(2.0-2.36, 3.35-4.75, 5.6-10.0mm)의 자갈을 이용하여 자갈 함유량을 0, 10, 17, 23, 29, 33%로 달리하면서 다짐몰드 내에 다짐하거나 느슨하게 공시체를 제작한 다음 자갈섞인 공시체의 건조밀도 변화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자갈 함유량이 33%까지 증가함에 따라 최대건조밀도(또는 건조밀도)는 자갈의 크기에 따라 다짐된 공시체의 경우 15-20%, 느슨한 공시체의 경우 20-23%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갈 함유량과 크기가 동일한 경우 느슨한 공시체보다 다짐한 공시체의 건조밀도가 $0.1-0.16g/cm^3$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갈 함유량은 동일하지만 작은 자갈(2.0-2.36mm)을 사용한 경우보다 큰 자갈(5.6-10.0mm)을 사용한 경우의 건조밀도가 다짐한 공시체의 경우는 $0.04-0.08g/cm^3$, 느슨한 공시체의 경우는 $0.03-0.05g/cm^3$ 정도 증가하였다.

세립재의 유무에 의한 조립재료의 강도특성 연구 (A Study on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and and Gravel with/without Fines)

  • 임은상;신동훈;조성은;전제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827-830
    • /
    • 2008
  • In this study, large triaxia mpression tests of sand-gravel soils were carry out to clarify the influence of fines on shear strength characteries. Two soil specimens with/without fines that is used for construction material of dam were prepared. One was reproduced with wide range of grain size and the other was removed fines below 2mm from the one. The compaction tests proposed by our center were performed to obtain relative density of the specimens, and then each specimen was adjusted two dry density. The large triaxial compression tests were carry out under CD condi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and-gravel soils with low fines content has no effect on shear strength characteries.

  • PDF

사역재료의 동기성토에 관한 실험적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and and Gravel Embankment in Winter Season)

  • 이형수
    • 물과 미래
    • /
    • 제6권2호
    • /
    • pp.12-18
    • /
    • 1973
  • 본 논문은 동기에 사역을 성토하기 위한 가능성을 검토하여 실제시공에 공헌하자는 데에 기 목적이 있다. 평상시의 성토기측은 다음과 같다. 1) 재료의 최대경은 30cm 이하로 하고 사분함유율은 중량비로서 60% 이하여야 한다. 2) 산포두께는 60cm 이하로 하고 각층마다 11ton 진동로 라로 칠회이상 다져서 상대밀도가 60%이상이 되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동기의 사역성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의 평상시 기준에 아래와 같은 조건을 첨가하였다. 3) 사분함유율은 25% 이하로 하고 함수비는 4% 이하로 할 것. 4) 작업중에는 최대의 온도가 최소영하 $7^{\circ}C$이며 평균으로 영하 $3^{\circ}C$로하여 지속작업을 시행할 것 이상과 같은 기준하에서 각종 시험을 실시하고 기결과로서 댐의 안정성을 검토하여 본기준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실제성토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상태정수에 따른 자갈질 흙의 정적거동 (Static Behavior of Gravelly Soil with State Parameter)

  • 허승범;윤여원;김우순;김재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8호
    • /
    • pp.5-14
    • /
    • 2010
  • 최근의 자갈질 지반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상대밀도 혹은 자갈함유량에 바탕을 둔 연구로써 자갈질 지반의 액상화거동에 대하여 일부 연구자들은 상대밀도, 다른 연구자들은 자갈함유량에 상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자갈질 지반의 상대밀도는 자갈함유량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상대밀도만으로 자갈질 흙의 거동을 충분히 표현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밀도와 구속압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상태정수를 도입하고 비배수 삼축압축시험을 통하여 자갈혼합율에 따른 정상상태선(Steady State Line, SSL)을 결정하고 상태정수에 따른 비배수 응력 거동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상태선의 위치는 간극비에 의존하여 자갈 함유율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상대밀도라 할지라도 구속압에 따라 조밀하거나 혹은 느슨한 거동을 보였다. 특히 상대밀도가 80% 이상인 조밀한 시료일지라도 큰 구속압 아래에선 느슨한 거동을 하였다. 그러나 유사한 상태정수를 갖는 자갈질 흙은 비슷한 응력거동을 나타내었다. 이로서 흙의 거동은 상대밀도보다는 상태정수에 근거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태정수와 비배수전단강도는 좋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