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titud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2초

아동과 청소년의 공감 및 죄책감과 도움행동 간의 관계에서 감사의 매개적 역할 (The Mediating Role of Gratitude in the Influe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mpathy and Guilt on Helping Behavior)

  • 한지영;김정민;김재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6호
    • /
    • pp.69-8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moral emotions - empathy, guilt and gratitude - and helping behavior.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empathy, guilt, gratitude and helping behavior were administered to 938 students in the 4th, 5th, 7th, 8th, 10th and 11th grades atten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en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Win 12.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by gender, empathy, guilt and helping behavior differed significantly, also, by grade, empathy, guilt, gratitude and helping behavior differed significantly. In addition, relig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gratitude and helping behavior. Secondly, variables influencing helping behavior were found to differ by developmental stage. The variable influencing the help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empathic concern. For middle school students, guilt was found to influence their helping behavior, while for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taking was found to be the key variable. Thirdly, gratitud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mpathy(or guilt) and helping behavior.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 전원희;차경숙;이기령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6-28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36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through December 2013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at surveyed the level of gratit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Subjective happines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titude (r=.41,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55, p<.001).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titude (r=.53,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37, p<.001). Significant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included gratitude (${\beta}=.38$,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beta}=.28$, p<.001) and major satisfaction (${\beta}=.17$, p=.002).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9.3% of subjective happiness. Significant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cluded gratitude (${\beta}=.42$, p<.001), academic achievement (${\beta}=.15$, p=.006),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beta}=.16$, p=.008) and major satisfaction (${\beta}=.12$, p=.035).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5.3%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gratitud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구성원의 감사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Employee's Gratitude Disposi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Focus on Multi-mediated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 김창동;오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86-70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의 감사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의 다중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80부를 분석하였으며, CFA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 SPSS 25.0와 AMOS 25.0, 부트스트랩 방식의 Macro Process 3.0을 활용하여 가설검증 하였다. 검증 결과 조직구성원의 감사성향은 조직시민행동, 조직지원인식,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의 다중매개효과도 확인이 되었다. 조직구성원의 감사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구성원 개인특성인 감사성향이 조직지원인식의 유의한 선행변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에서 긍정심리 요소인 감사성향을 증진하는 것이 구성원 직무 태도 및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유신념이 감사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와 인지적 정서 조절을 매개 (The Effect of Savoring Belief on Gratitude: Positive Affec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 이은성;이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20-532
    • /
    • 2018
  • 본 연구는 향유신념과 감사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향유신념과 감사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향유신념과 감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 모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및 성인 485명을 대상으로 향유신념, 감사, 긍정정서, 인지적 정서조절을 측정하고,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향유신념, 긍정정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감사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향유신념과 감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과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마음 챙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 김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9-145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성인의 직업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감사성향, 마음챙김,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사이버대학교와 대학원에 재학 중인 8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성향과 마음챙김,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 정적 상관이 유의미 하였다. 또한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 챙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가 정적인 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간접효과와 총 효과 또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마음 챙김이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사와 마음챙김을 경험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감사의 매개효과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Gratitude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Insomnia)

  • 김경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609-628
    • /
    • 2021
  • 본 연구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감사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도와 전라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서 대학생 330명에게 지각된 스트레스, 불면증, 자기자비, 감사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SPSS Macro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불면증이 높았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면증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및 감사가 각각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자기자비와 감사의 이중매개 경로를 거쳐 불면증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불면증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더불어 자기자비와 감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 Professionalism)

  • 이해정;좌승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1-38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4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384명을 연구대상으로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의 인식 수준은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창의적 인성을 매개로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의적 인성 중 집요성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고,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적응, 생활만족 및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atitude enrichment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life satisfaction &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 임경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7-1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적응과 생활만족 및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69명(실험집단: 34명, 통제집단: 35명)을 대상으로 감사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학교적응, 생활만족도, 정서행동문제를 측정하였다.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공변량분석한 결과 감사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정서행동문제 감소에는 의미있는 효과가 없었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돕기 위하여 예방 및 발달적 차원에서 감사증진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감사교육을 보편화하여 실시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Daily Dynamics of Grateful Mood, Emotional Support from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ross Seven Days among Korean Adolescents

  • Chung, Grace H.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43-51
    • /
    • 2016
  • Even though gratitud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virtue to possess for successful adulthood, little is known about what cultivates gratitude and its benefit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By examining gratitude as a daily mood, this study asked (1) whether adolescents' daily grateful mood varied as a function of daily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2) whether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varied as a function of daily grateful mood within person across seven days. The sample consisted of 70 adolescents in 8th grade recruited from a public middle school. Participants completed daily diary checklists online each evening for seven days. On days when adolescents perceived greater parental emotional support from mother or father than they typically did during the week, they rated their grateful mood to be higher than other days. With more emotional support from father, adolescents reported more grateful mood not only on that day, but also the following day. While this result highlights the important role that parents play in adolescents' experience of grateful mood, emotionally supportive behaviors of fathers appear particularly promising for cultivating gratitude. Further, daily grateful mood on a given day accounted for the significant variance i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not only on the same day, but also the following day.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고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감사성향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the Happiness in Senior Nursing Students)

  • 전원희;이기령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4-44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improving happiness under the influence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gratitude disposition in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5 senior students in B and D metropolitan cities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between November 1 and November 30,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 for happiness was above-average. Happiness significantly differed by satisfaction with nursing,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and reason for entering nursing school.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happiness included gratitude disposition, social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of nursing among subscales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45.5% of happiness. Conclusion: To improve the happin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ors ne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gratitude disposition and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as well as 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that strengthen social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