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heme-to-phoneme system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글 자소-음소 대응능력의 발달과 글자읽기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Rules and Kulja Reading in Korean-Chinese Children)

  • 윤혜경;박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45-155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eal Hangul acquisition processes in Korean-Chinese children who grow in a horizontal bilingual environment. In this experiment Grapheme substitution/deletion tasks and sensible/non-sensible Kulja reading tasks were administered to 3-, 4-, 5- and 6-year-old Korean-Chinese children growing up in a bilingual environment. Results were that Korean-Chinese children showed similar patterns of Hangul acquisition processes to Korean children but acquired grapheme-phoneme(G-P) correspondence earlier than Korean children. Hangul acquisition rates were 41.7%, 45.7%, 53% and 92.7% at age 3, 4, 5 and 6, respectively. Both Korean-Chinese and Korean children showed higher sensitivity for the final consonant than for the initial and middle consonants. Correlation between phoneme perception and reading was only significant among 6-year-olds in non-sensible Kulja reading tasks. Training in transforming ideographic Chinese to a phonetic system could effect early acquisition of G-P correspondence in Korean-Chinese children.

  • PDF

자연어 처리 기반 한국어 TTS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Korean TTS System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김병창;이근배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6호
    • /
    • pp.51-64
    • /
    • 2003
  • In order to produce high quality synthesized speech, it is very important to get an accurate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and prosody model from text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obust preprocessing for non-Korean characters should also be required. In this paper, we analyzed Korean texts using a morphological analyzer, part-of-speech tagger and syntactic chunker. We present a new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method for Korean using a hybrid method with a phonetic pattern dictionary and CCV (consonant vowel) LTS (letter to sound) rules, for unlimited vocabulary Korean TTS. We constructed a prosody model using a probabilistic method and decision tree-based method. The probabilistic method atone usually suffers from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inherent data sparseness problems. So we adopted tree-based error correction to overcome these training data limitations.

  • PDF

문자소 기반의 한국어 음성인식 (Korean speech recognition based on grapheme)

  • 이문학;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01-60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음성인식기 음향모델의 출력단위로 문자소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음성인식 모델은 한글을 G2P(Grapheme to Phoneme)과정 없이 초성, 중성, 종성 단위의 문자소로 분해하여 음향모델의 출력단위로 사용하며, 특별한 발음 정보를 주지 않고도 딥러닝 기반의 음향모델이 한국어 발음규정을 충분히 학습해 낼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기존의 음소기반 음성인식 모델과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여 DB가 충분한 상황에서 문자소 기반 모델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보인다.

한국어 음성인식 시스템 향상을 위한 동음이철 단위의 중의성 유형 분류 (Ambiguity Types of the Homonymic & Heterographic Units for Improving Korean Voice Recognition System - a Preliminary Research)

  • 윤애선;강미영
    • 음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67-81
    • /
    • 2008
  • The accuracy rate of P2G (Phoneme-to-Graphem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quality of unlimited voice recognition (VR) systems. Few studies were, however, conducted to reduce ambiguities of a phoneme string which can be segmented into a variety of different linguistic units (i.e. morphemes, words, eo-jeols), thus be transformed into more than one grapheme string. This paper is a preliminary research for building a large knowledge base of those homonymic & heterographic units(HHUs), which will provide unlimited Korean VR systems with more accurate P2G information. This paper analyzes 2 main factors generating HHUs: (1) boundary determination of the prosodic unit; (2) its segmentation into linguistic units. In this paper, linguistic characteristics determining variable boundaries of a prosodic unit are investigated, and the ambiguity types of HHU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ir morphological and syntactic structures as well as with the phonological rules governing them.

  • PDF

DP 알고리즘에 의한 발음사전 전처리와 문맥종속 자소별 MLP를 이용한 영어 발음사전 생성기의 개선 (Improvements of an English Pronunciation Dictionary Generator Using DP-based Lexicon Pre-processing and Context-dependent Grapheme-to-phoneme MLP)

  • 김회린;문광식;이영직;정재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1-2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가변어휘 단어 인식기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MLP 기반 영어 발음사전 생성기를 제안한다. 가변어휘 단어 인식기는 인식대상 도메인이 수시로 바뀌는 상황에서 현재의 인식 도메인에 의해 결정되는 임의의 한국어 어휘들에 대해 처리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영어 단어에 대해서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리 정의된 사전에 포함할 수 없는 영어 고유명사와 같은 단어의 발음열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영어 발음사전 생성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자소를 음소로 변환해 주는 문맥종속 다층 퍼셉트론 구조를 제안한다. 각 자소별 다층 퍼셉트론을 훈련하기 위해서는 표준 발음사전으로부터 각 자소에 대응하는 음소 학습용 데이터를 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거리척도를 사용하는 동적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훈련 및 평가를 위한 데이터로는 116,191개 영어 단어의 발음사전을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 각각 30~50개의 히든 노드를 가지는 26개 자소별 MLP와 예외 자소 발음사전을 가지고 표준 발음사전에 대하여 72.8%의 단어 정확도를 얻었으며, 이것은 기존의 규칙 에 기반한 발음사전 생성의 정확도인 24.0% 보다 매우 우수한 결과임을 보여주었다.

  • PDF

지식 기반 프랑스어 발음열 생성 시스템 (A knowledge-based pronunciation generation system for French)

  • 김선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0권1호
    • /
    • pp.49-55
    • /
    • 2018
  • This paper aims to describe a knowledge-based pronunciation generation system for French. It has been reported that a rule-based pronunciation generation system outperforms most of the data-driven ones for French; however, only a few related studies are available due to existing language barriers. We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rench langu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and then describe our knowledge-based pronunciation genera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morphological analysis, Part-of-Speech (POS) tagging, grapheme-to-phoneme generation, and phone-to-phone generation.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word error rate of POS tagging, based on a sample of 1,000 sentences, is 10.70% and that of phoneme generation, using 130,883 entries, is 2.70%.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peech synthesis or speech recognition systems for French.

발음열 자동 생성기를 이용한 한국어 음운 변화 현상의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Korean Phonological Variations Using a Grapheme-to-phoneme System)

  • 이경님;정민화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656-66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발음열 자동 생성기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음운 규칙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발음열 자동 생성기는 한국어 음운 변화 현상에 대해 형태음운론에 기반 한 언어학적 분석과 문교부 표준어 규정의 표준 발음법에서 유도된 필수 및 수의적 음소 변동 규칙과 변이음 규칙의 단계적 적용 모델을 사용해서 구현되었으며, 특히 연속음성 인식을 위한 학습용 발음열과 인식용 발음사전 생성의 최적화를 목표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어휘 연속음성 인식기의 음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만들어진 삼성 PBS(Phonetically Balanced Sentence) 음성 데이터 베이스의 60,000문장에 적용된 발음열 생성기의 음소 변동규칙들의 분포 및 그 통계를 사용해서 한국어 음운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적용된 빈도수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필수음소 변동규칙의 경우는 연음법칙, 경음화, 격음화, 장애음의 비음화순으로, 수의적 음소 변동규칙의 경우는 초성 ㅎ 탈락, 중복 자음화, 동일 조음위치 자음탈락 순으로 음운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적용 규칙들의 통계적 자료를 기반으로 한국어 음운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음성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1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낱말 해독,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자소 지식 (Korean first graders' word decoding skills,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automatized naming, and letter knowledge with/without developmental dyslexia)

  • 양유나;배소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51-60
    • /
    • 2018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word decoding skills, phonological awareness (PA),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skills, and letter knowledge of first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and those who were typically developing (TD). Eighteen children with DD and eighteen TD children, matched by nonverbal intelligence and discourse abil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Word decoding of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Pae et al., 2015) was conducted.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wor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whether the word has meaning, whether the syllable has a final consonant, and the position of the grapheme in the syllable. Letter knowledge asked about the names and sounds of 12 consonants and 6 vowels. The children's PA of word, syllable, body-coda, and phoneme blending was tested. Object and letter RAN was measured in seconds. The decoding difficulty of non-words was more noticeable in the DD group than in the TD one. The TD children read the syllable initial and syllable final position with 99% correctness. Children with DD read with 80% and 82% correctnes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D group had more difficulty in decoding words with two patchims when compared with the TD one. The DD group read only 57% of words with two patchims correctly, while the TD one read 91% correc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coda PA, phoneme level PA, letter RAN, object RAN, and letter-sound knowledg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onfirms the existence of Korean developmental dyslexics, and the urgent need for the inclusion of a Korean-specific phonics approach in the education system.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위한 음성 및 문자 공용 인식시스템의 구현 (An On-line Speech and Character Combined Recognition System for Multimodal Interfaces)

  • 석수영;김민정;김광수;정호열;정현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16-22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음성과 온라인 문자를 단일시스템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음성 문자 공용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CHMM(Continuous Hidden Markov Model)은 음성인식과 온라인 문자인식을 위해 매우 유용한 도구로 잘 알려져 있으나, 인식을 위해서는 각각을 독립 시스템으로 구현하고 있어 추가적인 메모리와 계산량을 요구한다. 제안한 공용인식 시스템은 음성인식과 문자인식을 결합하기 위하여 이들을 동일한 CHMM모델로 구성한 후 상태단위로 지속정보를 제어하는 OPDP(One Pass Dynamic Programming) 알고리즘을 통하여 음성과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확률 통계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음성은 MFCC(Mel Frequency Cepstrum Coefficient) 파라미터, 문자는 위치 변화량 파라미터와 비트맵 파라미터를 사용하였으며, MLE(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추정법을 이용하여 음소와 자소를 결합한 115개의 3상태 9천이 CHMM모델을 구성하였다. 공용인식기의 실험결과 음소 인식률 51.65%, 음성 단어 인식률 88.6%, 자소 인식률 85.3%, 필기체 단어인식률 85.6%를 나타내어 공용인식의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어 TTS 시스템에서 딥러닝 기반 최첨단 보코더 기술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State-of-the-Art Vocoder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in a Korean TTS System)

  • 권철홍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509-514
    • /
    • 2020
  • 기존의 TTS 시스템은 텍스트 전처리, 구문 분석, 발음표기 변환, 경계 분석, 운율 조절, 음향 모델에 의한 음향 특징 생성, 합성음 생성 등 여러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딥러닝 기반 TTS 시스템은 텍스트에서 스펙트로그램을 생성하는 Text2Mel 과정과 스펙트로그램에서 음성신호을 합성하는 보코더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한국어 TTS 시스템 구성을 위해 Tex2Mel 과정에는 Tacotron2를 적용하고, 보코더로는 WaveNet, WaveRNN, WaveGlow를 소개하고 이를 구현하여 성능을 비교 검증한다. 실험 결과, WaveNet은 MOS가 가장 높으며 학습 모델 크기가 수백 MB이고 합성시간이 실시간의 50배 정도라는 결과가 나왔다. WaveRNN은 WaveNet과 유사한 MOS 성능을 보여주며 모델 크기가 수십 MB 단위이고 실시간 처리는 어렵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WaveGlow는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방법이며 모델 크기가 수 GB이고 MOS가 세 방식 중에서 가장 떨어진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TTS 시스템을 적용하는 분야의 하드웨어 환경에 맞춰 적합한 방식을 선정할 수 있는 참고 기준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