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4초

형질전환된 담배 세포 현탁배양을 이용한 hGM-CSF 생산에서 ultrasound가 미치는 영향

  • 명현종;이기용;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284-28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hGM-CSF를 생산하는 형질전환된 담배세포배양에서 ultrasound가 세포생장과 hGM-CSF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의 생장은 ultrasound에 노출된 직후 약간의 저해를 보이지만 2일후에 정상의 세포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hGM-CSF는 ultrasound에 노출된 직후 증가하고 그 이후 감소하다 배양후반에 증가를 보였다. 세포내부에서 생산되는 hGM-CSF는 ultrasound 처리 이후 전반적으로 대조구보다 많이 생산됨을 보였다. 총 생산된 hGM-CSF는ultrasound에 노출 시킨 배양 6일째 $34.9\;{\mu}g/L$로 최대였으며 대조구보다 31.5%의 증가를 보였다.

  • PDF

형질전환된 담배세포의 고정화를 통한 hGM-CSF 생산에 관한 연구

  • 노윤숙;이상윤;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289-292
    • /
    • 2003
  • 형질전환된 담배세포배양을 이용한 hGM-CSF 생산에 있어 고정화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Alginate bead를 이용한 고정화 세포의 경우 hGM-CSF 생산이 6일째 $3.35\;{\mu}g/L$로써 현탁세포 $6.01\;{\mu}g/L$의 약 50%에 미쳤고 polyurethane foam 내 고정화 한 경우는 세포 생장은 낮았으나 hGM-CSF 생산량은 6일째 $6.67\;{\mu}g/L$로 가장 높았다. 높은 비 생산량을 보이는 polyurethane foam내 고농도로 세포를 포집시킨 후 세포 재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이용하여 연속공정에 적용할 경우 더 높은 hGM-CSF의 생산이 기대된다.

  • PDF

항암화학요법에 의하여 골수억제가 수반된 진행암 환자에서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rhGM-CSF)의 용량과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 노재경;라선영;이경희;이혜란;정현철;김주항;김병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30-330
    • /
    • 1994
  • 항암화학요법후 가장 심각한 부작용의 하나는 중성구 감소에 의한 감염이다. 본원에서는 rhGM-CSF을 이용한 제 I상 임상연구에서 150-500$\mu$g/M$^2$/day가 biologically active dose임을 보고한 바 있다. 연자들은 연세암센터에 내원하여 진행성 악성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 시행후 골수억제가 예상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GM-CSF 용량에 따른 안전성 및 독성을 검토하고 백혈구 감소증 및 감염의 예방, 치료효과를 분석하여 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위한 2상 연구덜 대상환자의 동의를 얻은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는 37명 (여 26, 남 11)이었고, 항암제는 Adriamycin, Cisplatin, VP-l6 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적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500$\mu\textrm{g}$/M$^2$/day을 12명, 250$\mu\textrm{g}$/M$^2$/day을 12명, 350$\mu\textrm{g}$/M$^2$/day을 13명의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첫번째 항암요법에는 rhGM-CSF을 투여하지않고 (비투여기) 두번째 항암요법에서는 항암요법후 익일부터 10일간 연속, 매일 1회 피하주사하여 (투여기), rhGM-CSF 투여기와 비투여기의 백혈구 감소중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PDF

항암화학요법에 의하여 골수억제가 수반된 진행암 환자에서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rhGM-CSF)의 용량과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 노재경;라선영;이경희;이혜란;정현철;김주항;김병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06-306
    • /
    • 1994
  • 항암화학요법후 가장 심각한 부작용의 하나는 중성구 감소에 의한 감염이다. 본원에서는 rhGM-CSF을 이용한 제 I상 임상연구에서 150-500$\mu$g/M$^2$/day가 biologically active dose임을 보고한 바 있다. 연자들은 연세암센터에 내원하여 진행성 악성종양으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시행후 골수억제가 예상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GM-CSF 용량에 따른 안전성 및 독성을 검토하고 백혈구 감소증 및 감염의 예방, 치료효과를 분석하여 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위한 2상 연구를 대상환자의 동의를 얻은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는 37명 (여 26, 남 11)이었고, 항암제는 Adriamycin, Cisplatin, VP-16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적임상사용권장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1500$\mu\textrm{g}$/M$^2$/day을 12명, 250$\mu\textrm{g}$/M$^2$/day을 12명, 350$\mu\textrm{g}$/M$^2$/day을 13명의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첫번째 항암 요법에는 rhGM-CSF을 투여하지않고 (비투여기) 두 번째 항암요법에서는 항암요법후 익일부터 10일간 연속, 매일 1회 피하주사하여 (투여기), rhGM-CSF 투여기와 비투여기의 백혈구 감소증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PDF

Morphologic Evidence of Anti-Tumor Specificity of T Cells Activated by Denritic Cells Derived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Thyroid Cancer Patients

  • Lee, Dae-Heui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6권4호
    • /
    • pp.243-247
    • /
    • 2012
  • Recent studies suggest that immunization with autologous dendritic cells (DCs) results in protective immunity and rejection of established tumors in various human maligna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DCs are generated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Ns) by using cytokines such as F1t-3 ligand (FL),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IL-4, and TNF-${\alpha}$, and whether cytotoxic T cells activated against the thyroid cancer tissues by the DCs. Peripheral blood was obtained from 2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DCs were established from PBMNs by culturing in the presence of FL, GM-CSF, IL-4, and TNF-${\alpha}$ for 14 days. At day 14, the differentiated DCs was analyzed morphologically. The immunophenotypic features of DCs such as CDla, CD83, and CD86 were analyzed by immunofluorelescence microscopy. At day 18, DCs and T cells were incubated with thyroid cancer tissues or normal thyroid tissues for additional 4 days, respectively. DCs generated from the PBMNs showed the typical morphology of DCs. Activated cytotoxic T lymphocytes (CTLs) were observed also. DCs and the CTLs were attached to the cancer tissues 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DCs activated the CTLs, which able to specifically attack the thyroid cancer. This study provides morphologic evidence that the coculture of T cells/cancer tissues activated the T cells and differentiated CTLs. The CTLs tightly adhered to cancer tissues and lysed cancer tissues vigorously. Therefore DCs could be used as potential vaccines in the immunotherapy.

수지상세포에서 GM-CSF의 항암제유도 세포사멸 방지효과에 관한 연구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protects dendritic cells from anticancer drug-induced apoptosis)

  • 주홍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07-613
    • /
    • 2003
  • Dendritic cells (DCs) play an essential role in a variety of immune reactions involving $CD4^+$ T cells and have been used to enhance tumor-specific immune responses. Immunosup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includes the downregulation of function and number of DCs. Although DCs have been studied, the apoptosis of Des induced by anticancer drugs for chemotherapy remains largely uncharacterized.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M-CSF protects DCs from 5-fluorouracil (5-FU) or mitomycin C-induced apoptosis. After 6 - 10 days culture, DCs were characterized by specific surface marker, CD11c and MHC class II. MTT assay revealed that GM-CSF significantly enhanced the viability of DCs treated with 5-FU or mitomycin C. The percentage of dead cells of DCs was determined by cell size using FACScan and GM-CSF was clearly effective. However, GM-CSF did not increase the expression of MHC class II on viable DCs gated, suggesting that GM-CSF may differentially regulate critical factors involved in the function of DC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poptosis, annexin V-FITC staining was performed. 5-FU induced the apoptosis of DCs and GM-CSF significantly protects DCs from 5-FU-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 this study that GM-CSF has an anti-apoptosis effect on DCs may provide patients with cancer with clinical benefits to overcome the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the decrease of number and functional insufficiency of DCs.

수성이상계를 이용한 재조합 hGM-CSF의 in situ 분리

  • 표세홍;명현종;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21-32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hGM-CSF를 생산해 배지 내로 분바하도록 유전자 조작된 Nicotiana tabacum 세포를 수성이상계 내에서 배양하여 in situ recovery를 시도하였다. 특히 식물세포 자체의 생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일반 배지에서 회수한 단백질에 비해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는 수성이상계 시스템을 선정하였다. 6% (w/w) PEG 20,000과 10% (w/w) dextran 2.000,000 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 세포 농도가 18.6 g/L 로, 일반배지를 사용하는 경우 (15.7 g/L)에 비해 저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적 단백질인 hGM-CSF의 생산에 있어서도 위의 시스템의 경우 dextran-rich phase인 아랫 상으로 분배됨으로 인해 회수가 쉬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생산량 또한 일반배지에서의 생산량 (1.5 ng/mL)에 비해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hGM-CSF의 회수를 위한 in situ recovery 시스템에 있어서 수성이상계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Cultivation of Transgenic Nicotiana tabacum Suspension Cells in Bioreacters for the Production of mGM-CSF

  • Lee, Sang-Yoon;Won Hur;Cho, Gyu-Heon;Kim, Dong-Il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1호
    • /
    • pp.72-74
    • /
    • 2001
  • Transgenic Nicotiana tabacum cells were cultivated for the production of murine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mGM-CSF) in both a stirred tank bioreactor and an airlift bioreactor with draft tube. Cell growth and mGM-CSF production in the airlift bioreactor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achieved in the stirred tank bioreactor. In the airlift bioreactor, 9.0g/L of cells and 2.2ng/mL of mGM-CSF were obtained (11.0g/L and 2.4ng/mL, respectively in shake flasks). Although the lag period was prolonged and mGM-CSF production was lowered by 33% in the stirred thank bioreactor as compared to the control culture, the maximum cell density was increased up to 12.0g/L due to better mixing by agitation at the higher cell density.

  • PDF

진행암환자에서 rh GM-CSF(recombinam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의 제 1 상 및 약동학 연구 평가를 위한 Protocol 개발 연구

  • 노재경;최진혁;노형근;김범수;한지숙;김병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95-95
    • /
    • 1993
  • 대상환자는 15예로, 14예에서 평가가능하였다. 남녀비는 8:6, 중앙연령 32세(10-70세)이었고, 대상질환은 악성골육종 7예, 악성임파종 2예, 위암2예, 폐암 2예, 그리고 자궁악성육종 1예였다. CSF 50 ug/$m^2$ 3예, 100 ug/$m^2$ 3예,150 ug/$m^2$ 3예, 250 ug/$m^2$ 3예,350 ug/$m^2$ 3예, 500 ug/$m^2$ 6예, 700 ug/$m^2$ 용량 3예에서 시행되었다. 1주기 시행한 환자는 7예, 2주기 5예, 3주기, 4주기 각각 1예씩이었다. 부작용은 50-150ug/$m^2$에서 WHO grade I의 발열, 전신쇠약, 식욕부진 등이 관찰되었으나 grade II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250 ug/$m^2$ 이상의 용량에서도 grade II의 발열이 관찰되었을 뿐 다른 중증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최고용량인 700 ug/$m^2$ 에서도 grade II의 발열외의 중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각 용량에 따른 백혈구 증가율(%투여제2일/투여제1일)은 130-500% 이었다. 시행된 약동태는 CSF 투여 2-4 시간 후 최고치 (0.42-15.4 ng/ml)를 나타내고 투여 12시간까지 0.2-2 ng/ml의 농도로 지속되었다. 소변내 CSF 배설량은 총투여량의 1% 미만이었다. CSF중화항체는 전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PDF

항암화학요법제에 의하여 골수억제가 수반된 진행암환자에서 rh GM-CSF(recombinam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의 제 1 상 및 약동학 연구

  • 노재경;최진혁;노형근;김범수;한지숙;김병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68-68
    • /
    • 1993
  • 대상환자는 15예로, 14예에서 평가 가능하였다. 남녀비는 8:6, 중앙연령 32세(10-70세)이었고, 대상질환은 악성골육종 7예, 악성임파종 2예, 위암2예, 폐암 2예, 그리고 자궁악성육종 1예였다. CSF 50 ug/$m^2$ 3예, 100 ug/$m^2$ 3예,150 ug/$m^2$ 3예, 250 ug/$m^2$ 3예, 350 ug/$m^2$ 3예, 500 ug/$m^2$ 6예, 700 ug/$m^2$ 용량 3예에서 시행되었다. 1주기 시행한 환자는 7예, 2주기 5예, 3주기, 4주기 각각 1예씩이었다. 부작용은 50-150ug/$m^2$에서 WHO grade I의 발열, 전신쇠약, 식욕부진등이 관찰되었으나 grade II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250 ug/$m^2$ 이상의 용량에서도 grade II의 발열이 관찰되었을 뿐 다른 중증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최고용량인 700 ug/$m^2$ 에서도 grade II의 발열 외의 중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각 용량에 따른 백혈구 증가율(%투여제2일/투여제1일)은 130-500% 이었다. 시행된 약동태는 CSF 투여 2-4 시간후 최고치 (0,42-15.4 ng/ml)를 나타내고 투여 12시간까지 0.2-2 ng/ml의 농도로 지속되었다. 소변내 CSF 배설량은 총투여량의 1% 미만이었다. CSF 중화항체는 전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