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vernment-sponsored R&D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정부 R&D지원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동남권 지역산업진흥사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Government-sponsored R&D on the Participating Firms' Performance)

  • 윤윤규;고영우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1호
    • /
    • pp.29-53
    • /
    • 2011
  • 본 논문은 동남권역(부산, 울산, 경남) 제조업의 기업패널데이터(2000~06)를 사용하여 "4+9 시 도 지역산업진흥사업" 가운데 정부의 기술개발과제 지원이 참여기업의 고용 및 경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기술개발과제 참여의 순효과(ATT)를 선택편의없이 추정하기 위해 성향점수짝짓기(PSM) 방법을 적용한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동남권 지역 산업진흥사업의 기술개발과제는 과제유형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과제종료 이후 수년에 걸쳐 참여기업의 고용과 R&D에 대체로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CT 중소기업 정책융자금 수요와 지원기업 성공사례 연구 : ICT 융자사업 중심으로 (Demand on Government Sponsored Loan and Successful Case Study on ICT SMEs : Focused on 'ICT Government Sponsored Loan Project')

  • 고경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13-220
    • /
    • 2017
  • 본 연구는 ICT 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유일하게 융자금을 지원하고 있는 ICT 융자사업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융자금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특정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융자지원 받은 기술개발과제의 연구배경 및 연구성과, 파급효과, 기대효과, 에피소드 등을 살펴봄으로써 융자금 지원이 실제적으로 얼마나 ICT 중소기업의 기술적 경제적 성과 제고에 도움을 주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ICT 분야의 중소기업들은 더 많은 규모의 정책융자금을 요구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자금조달이 기술개발 성공의 핵심요인이자 가장 어려운 과제라는 응답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술경쟁력을 지닌 ICT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필요자금을 융자해 주고 나아가 개발된 기술을 사업화함으로써 영세한 기업재정의 건전성을 회복할 수 있는 자금지원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수요기업 중심의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술이전 활성화 방안: K 연구원 사례를 중심으로 (A Measure on Technology Transfer Activation o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Focusing on Companies in Demand: Focusing on the Cases in the K Research Institute)

  • 황현덕;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18-337
    • /
    • 2015
  • 정부의 R&D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이나 사업화 성공률은 투자에 비해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사례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기술이전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K 연구원에서 실시한 3가지 유형의 기술이전 프로그램(수요기업 중심모델, 보유기술 중심모델, 컨소시엄 중심모델)의 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원의 보유기술을 기업에 홍보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기술이전 마케팅보다 잠재적인 수요기업 발굴을 통한 기술이전 방법이 기술이전에 더 효과적임을 설명하였다. 또한, 수요기업의 니즈를 고려한 R&D 사전기획이 기술이전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전략적 R&D 기획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공동연구수행체제 및 참여기업의 기술획득전략-유형별 기업화성과 분석- (Technology Sourcing Strategies and Cooperative Patterns in Vertical Cooperative R&D Projects)

  • 이철원;배종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1-34
    • /
    • 1995
  • Since 1982, the government of Korea has actively promoted vertical cooperative R&D programs betwee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GRIs) and private firms. A number of firms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because cooperative R&D could lower the risk and could contribute to rapid commercialization of many technologie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vertical cooperative R&D projects by the modes of cooperation between GRIs and industrial firms, and analyzes the performance of participating firms' technology sourcing strategies for commercial utilization of cooperative R&D results at the project performed from 1982 to 1989 under the Government-Industry Cooperative R&D Program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MOST) in Korea. The cooperative R&D projects a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two criteria, i.e.,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firms, and the breadth of cooper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firm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cooperative R&D pro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commercial success, cooperation between GRIs and industrial firms should not be limited to R&D stage only. The breadth of cooperation should be extended to commercialization stage. Small- and medium-sized firms participating in vertical cooperative R&D projects in Korea usually lack internal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at are needed to commercialize the results of cooperative R&D. Three different technology sourcing strategies - exclusive cooperative R&D strategy, in-house development augmented cooperative R&D strategy, and licensing-in supplemented cooperative R&D strategy - are empirically derived through cluster analysis of the relative usage rates cooperative R&D and of other supplementary technology acquisition method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irms participating in vertical cooperative R&D projects should try to utilize other supplementary technology acquisitio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commercial utilization of the vertical cooperative R&D results.

  • PDF

국가출연연구기관의 지식자산 모델 (Intellectual Capital of Government Sponsored R&D Institutes)

  • 김명순;유제훈;고재상;이영덕
    • 기술혁신연구
    • /
    • 제8권1호
    • /
    • pp.197-216
    • /
    • 2000
  •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knowledge-based management perspective for knowledge companies and to find a way to measure intellectual capital of R&D organizations. Based on the state-of-the-art findings from business sectors, the intellectual capital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human capital, structural capital, and customer capital. The fourth capital, infrastructural capital, is add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for government sponsored R&D organizations, of which the main objectives are to foster technological innovation nationwide and to support its diffusion eff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offer basic concept of under what categories they can be classified, which also can be used further to find the right indicators of intellectual capital specific to each organization by combining the items found in this study.

  • PDF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인력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직공정성 매개효과 검증 (A Study on The Effects of R&D Personnel's Job Characteristics at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 이승연;박수경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69-991
    • /
    • 2018
  • 본 논문은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인력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정부출연연구소 25곳에 근무하는 연구직 3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자율성과 피드백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직무특성 중 자율성만이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인력을 대상으로 직무특성을 발견하고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를 실증분석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EA 효율성을 결정하는 입력-출력변수 식별 : 정부지원 R&D 과제 효율성 평가를 위한 실례 (Identification of DEA Determinant Input-Output Variables : an Illustration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Government-Sponsored R&D Projects)

  • 박성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4-99
    • /
    • 2014
  • In this study, determinant input-output variables are identified for calculat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efficiency scores relating to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In particular, this study proposes a systematic framework of design and analysis of experiments, called "all possible DEAs", for pinpointing DEA determinant input-output variables. In addition to correlation analyses, two modified measures of time series analysis are developed in order to check the similarities between a DEA complete data structure (CDS) versus the rest of incomplete data structures (IDSs). In this empirical analysis, a few DEA determinant input-output variables a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 typical public R&D performance evaluation logic model, especially oriented to a mid- and long-term performance perspective. Among four variables, only two determinants are identified : "R&D manpower" ($x_2$) and "Sales revenue" ($y_1$). However,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input variable "R&D funds" ($x_1$) is insignificant for calculating DEA efficiency score even if it is a critical input for measuring efficiency of a government-sonsored R&D projec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a priori. In this context, if practitioners' top priority is to see the efficiency between "R&D funds" ($x_1$) and "Sales revenue" ($y_1$), the DEA efficiency score cannot properly meet their expectations. Therefore, meticulous attention is required when using the DEA application for public R&D performance evaluation, considering that discrepancies can occur between practitioners' expectations and DEA efficiency scores.

R&D인력의 경력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 : 연령과 창의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D Professional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Age and Creative Behavior)

  • 차종석;박오원
    • 기술혁신연구
    • /
    • 제26권4호
    • /
    • pp.122-145
    • /
    • 2018
  • 본 연구는 R&D인력이 경험하는 경력정체를 구조적 정체와 직무내용 정체로 구분하여 조직몰입과 관계를 규명하면서, 추가적으로 개인의 연령 및 창의적 행동특성이 경력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국내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근무하는 418명의 R&D 인력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구조적 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는 연령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즉, 주니어 R&D인력일수록 구조적 정체가 조직몰입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내용 정체는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즉, 창의적 행동특성이 강한 R&D인력의 경우에 직무내용 정체와 조직몰입의 부정적 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R&D인력의 경력정체 이슈에 관한 이론적인 함의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National R&D Invest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Areas

  • Kim, Heung-K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19-125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to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national R&D investment in IT(Information Technology) areas in terms of paper, patent and commercialization, and seeking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R&D investment. This is because the government has focused the national R&D investment on IT areas for some time. For that purpose, we gather data on investments,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for the government sponsored R&D projects in IT areas through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From which, we summarize the investment and performance in terms of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for each IT area, evaluate efficiency per R&D investment for each IT area, and compare the efficiencies among IT areas. Finally, we drive implications for efficiency enhancement and strategic R&D budget allocation for each IT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