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by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5초

Assessment of In Vitro Oocyte Maturation in Two Gobiid Fish Species, Chasmichthys dolichognathus and Tridentiger trigonocephalus after Exposure to Benzo[a]pyrene

  • Hwang, In-Joon;Baek, Hea-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3호
    • /
    • pp.223-230
    • /
    • 2011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re ubiquitous environmental contaminants derived from incomplete combustion of carbons and crude oi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nzo[a]pyrene (B[a]P), a representative PAHs on in vitro sex steroid hormone production and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using isolated oocytes of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and chameleon goby (Tridentiger trigonocephalus). Oocytes in diameters of 0.8-0.9 (end vitellogenic stage) and 0.9-1.0 mm (germinal vesicle migratory stage) from longchin goby and 0.5 mm (fully vitellogenic stage) from chameleon goby were used. In GVBD assay, B[a]P at 10 nM stimulated GVBD in the oocytes of 0.8-0.9 mm from longchin goby. B[a]P at 1 nM stimulated GVBD in the oocytes with diameter 0.5 mm from chameleon goby. In steroid production from oocytes of longchin goby, B[a]P at 100 nM decreased testosterone (T) production, B[a]P at 1,000 nM increased estraiol-17 (J (E2) production and 10 and 100 nM increased $17,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 production in the oocytes with diameter 0.8-0.9 mm. B[a]P at 1,000 nM increased E2 production, 100 and 1,000 nM increased $17{\alpha}20{\beta}P$ production in the oocytes with diameter 0.9-1.0 mm. In steroid production of oocytes from chameleon goby, B[a]P at 1,000 nM increased $E_2$ production. B[a]P at 10 nM increased $17{\alpha}20{\beta}P$ production. In the ratio of $E_2$ to T ($E_2$/T), B[a]P at 100 and 1,000 nM increased $E_2$/T in the oocytes of longchin goby. B[a]P at 100 nM also increased $E_2$/T in the oocytes of chameleon gob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P have not only weak estrogenic effects but progestogenic effects on oocyte maturation.

해초생태계에 서식하는 4 우점어종의 성장에 따른 먹이의 변화에 관한 연구 (Ontogenetic Food Habits of Four Common Fish Species in Seagrass Meadows)

  • 허성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3
    • /
    • 1986
  • 미국 Texas 남쪽 해안에 위치한 Redfish Bay의 해초생태계에 우점종으로 나 타나는 4어종인 darter goby(Gobionellus bolesoma), pinfish(Lagodon rhomboides), code goby(Gobiosoma robustum), 그리고 Gulf pipefish(Syngnathus scovelli)에 대 한 성장에 따른 먹이 선택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가장 우점종인 darter goby는 비교적 다양한 먹이를 먹는 잡식성 어류로 amphipods, copepods, polychaetes, filamentous algae, diatoms 그리고 detritus등이 주된 먹이였다. 이 종 은 성장에 따른 먹이 선택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반면에 pinfish, code goby 및 Gulf pipeifish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 종류가 크게 달라졌다. pinfish의 경우, 4단계 의 먹이 선택의 변화를 보이는데, 초기에는 육식성으로 주로 copepods를 섭식하였 으나, 조금 성장하면 주된 먹이가 amphipods로 바뀌며, 조금 더 성장하면 잡식성으 로 변해 filamentous algae, diatoms, amphipods 그리고 aolychaetes등의 다양한 먹 이를 먹으며, 그후 더욱 성장하면 seagrass와 seagrass위에 붙어있는 algae 그리고 그들의 debris를 주로 먹는 초식성으로 먹이 습성이 바뀌었다. code goby 와 Gulf popefish 는 비교적 적은 종류의 동물성 먹이에만 의존하는 육식성 어류들이었다.또한 두조은 비슷한 성장에 딸느 먹이 선택의 변화를 보이는데,초기에는 주로 copepods 를 섭이하였으나 성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보다 큰 amphipods로 먹이 선택이 바뀌었다.

  • PDF

밀어 (Rhinogobius brunneus)와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의 흡반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ucture of the Sucker of Common Freshwater Goby (Rhinogobius brunneus) and Triden Goby (Tridentiger brevispinis))

  • 김택영;손성원;최병진;박창현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1호
    • /
    • pp.57-66
    • /
    • 2002
  • 본 연구는 좌 우의 배지느러미가 양쪽으로 합쳐져서 흡반을 형성하는 망둥어과(Cobiidae) 어류인 밀어 (Rhinogobius brunneus)와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의 흡반의 형태 및 구조를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밀어 흡반의 외부형태는 첨부는 규칙적인 실타래 모양의 조밀한 굴곡을 형성하고 있으며, 중부와 기저부는 첨부에 비하여 조밀하지는 않으나 벌집모양의 규칙적인 구조를 갖는다. 세포의 경계와 세포 표면 내에 이랑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구조물 사이에 점액분비세포(mucous cell)의 개구부(openings)가 다수 관찰되었다. 내부구조는 초생달모양의 지느러미살을 중심으로 조밀한 섬유층과 상피표면을 향하는 방사상의 성긴 탄력성 섬유층과 입방형 또는 원추형 상피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다. 민물검정망둑의 흡반의 외부형태는 첨부는 실타래 모양의 굴곡을 가지나 규칙적이지 않다. 중부와 기저부는 밀어와 같이 벌집모양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구조물 사이에 점액분비세포의 개구부가 관찰되었으나 밀어에 비해 적다. 내부구조는 밀어 에서와 같이 지느러미살을 중심으로 조밀한 섬유층이 관찰되지만 방사상의 성긴 탄력성 섬유층은 관찰되지 않으며 편평상피 또는 다각형의 상피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밀어에 비하여 흡반의 두께가 얇다.

갯벌을 이용하는 풀망둑(Acanthogobius hasta)과 쉬쉬망둑(Chaeturichtys stigmatias)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Gavelin Goby (Acanthogobius hasta) and Fine Spot Goby (Chaeturichtys stigmatias) in the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 서인수;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165-179
    • /
    • 2006
  • Food habits of the gavelin goby Acanthogobius hasta and the fine spot goby Chaeturichtys stigmatias populations were investigated in the Jangbong tidal flat near Incheon, Korea. Samples were taken monthly from November 1999 to January 2001. The gut contents of 248 gavelin gobies and 139 fine spot gobies were analyzed. The diet of the gavelin goby was dominated by the gammaridean amphipod Chitinomandibulum emargicoxa, the crabs Macrophthalmus japonicus and Ilyoplax pingi, the shrimp Exopalaemon carinicauda, the bivalve Raetellops pulchella and the macro-algae Porphyra tenera. On the other hand, the fine spot goby mainly feed on the shrimps Crangon affinis, Latreutes mucronatus, E. carinicauda and Alpheus japonicus, the gammaridean amphipods C. emargicoxa and Synchelidium miraculum, and the bivalve R. pulchella. A comparison between frequencies of occurrence and abundance of food items in the gut showed that crustaceans (gammaridean amphipods, crabs and shrimps) and bivalves were important foods for the two gobies. Howev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gut contents were different between two species, though this was probably due to differences in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gobies and their prey items. In conclusion, both the gavelin goby and the fine spot goby, despite being the related species and co-inhabiting the similar part of the tidal flat, had quite distinct food habits and low dietary overlap (Schoener's index: 0.4). These indicated that the two gobies are or were partitioning resources in space and time for maximum uitilization of available food.

Histology and morphometry of the skin of the trident goby Tridentiger brevispinis (Perciformes, Gobiidae)

  • Hyun‑Tae Kim
    • Applied Microscopy
    • /
    • 제52권
    • /
    • pp.8.1-8.7
    • /
    • 2022
  • The Korean trident goby, Tridentiger brevispinis, lives in adverse habitats that can easily become hypoxic due to low precipitation, regional dry periods, and high amounts of solar radiation. Histological and morphometric studies revealed the goby's specialized skin (35.4-150.0㎛ in thickness), consisting of an epidermis and dermis. The thicker epidermis comprises an outermost surface layer (having taste buds, stratified fattened cells, mucous cells, pigment cells, and stratified polygonal cells), middle layer (having stratified polygonal cells), and stratum germinativum (stratified columnar cells). In particular, the dermis has scales, well-developed vascularization, and a few blood capillaries just above the basement membrane, and a reduced diffusion distance was present in the lateral body. Consequently, adaptations such as thicker epidermis, well-developed vascularization, few blood capillaries, and a reduced diffusion distance may provide cutaneous respiration for survival in poorly oxygenated water during the periodic dry season.

한국산 어류에 기생하는 포자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txosporidian parasites from Korean fishes)

  • 김영길;박성우;최민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5-110
    • /
    • 2002
  • 한국산 어류에 감염된 포자충의 종류와 병해를 조사 할 목적으로 2001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양식중인 정읍산 메기와 만경강 하구의 기수 구역에 서식하는 자연산 문절망둑을 조사하였다. 이 들 어류에서 지금까지 한국 미기록종인 포자충의 감염이 확인되었다. 즉 메기의 장 상피조직에서 Myxobolus miyairii Kudo, 1919가, 문절망둑의 피하 근육조직에서 Henneguya tridentigeri Ozaki & Ishizaki, 1941가 검출되었다. 메기에 기생 된 M. miyairii는 장 상피조직에 42-77 (56) $\mu{m}$ × 59-93(73) $\mu{m}$크기의 백색 영양체가 무수히 관찰되었고, 포자의 길이는 11.0-12.0(11.3) $\mu{m}$이었다. 어체 기생율은 86.7-90%이었으나, 감염어는 별다른 병변을 발견할 수 없었다.

남해 도암만에서 새우조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Fish Assemblages Collected using a Beam Trawl in a Sheltered Shallow Water of Doam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김종빈;강창근;장대수;김영혜;조규대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307-316
    • /
    • 2003
  • 천해 내만 해역인 남해 서부의 도암만 어류군집 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1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조망어구(beam trawl)를 이용하여 매월 중순경 최간조시에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총 33과 53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 주둥치(Leiognathus muchalis),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의 3종이 전체 채질개체수의 67.4%를 차지하였으며, 생체량에서는 꼼치(Liparis tanakai),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이 50.8%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다.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은 가을과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던 반면, 출현종수와 다양도 등의 일변량 지수값들은 대체로 봄과 여름에 높았다. 주요 14종의 월별 출현빈도에 의한 종간 집괴분석 결과 이 해역의 어류군집이 계절별로 출현양상을 달리하는 3개의 무리로 구분될 수 있음을 보였다: 1)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출현하는 주거종에 속하는 도화망둑, 문절망둑, 개서대(Cynoglossus robustus) 및 반지(Setipinna taty)와 가을에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비늘양태(Onigocia spinosa), 돛양태 (Repomucenus lunatus), 주둥치, 2) 여름에 높은 출현빈도를 보인 노랑촉수(Upeneus japonicus), 갈치 (Trichiurus lepturus) 및 실망둑(Cryptocentrus filifer), 3) 겨울과 봄에 주로 출현하는 종으로 꼼치(Liparis tanakai), 풀미역치(Erisphex pottii),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및 동갈양태 (Repomucenus richardsottii). 어류군집의 계절에 따른 뚜렷한 분리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회유종들의 계절에 따른 일시 출현이 나타난다 하더라도, 전체 어류군집 조성이 출현 개체수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주거종에 의해 크게 지배를 받아 비교적 안정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Infections with Zoonotic Trematode Metacercariae in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from Coastal Areas of Republic of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Cho, Shin-Hyeong;Ju, Jung-Won;Lee, Soon-Won;Seok, Won-Se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3호
    • /
    • pp.259-265
    • /
    • 2018
  • To investigate the infection status of zoonotic trematode metacercariae in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from coastal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 we examined total 344 gobies from 21 localities with an artificial digestion method from 2013 to 2017. The metacercariae of Stictodora lari were most frequently detected in 45.3% goby from 7 localities, i.e., Taean-gun (Chungcheongnam-do), Gochang-gun (Jeollabuk-do), Muan-gun, Shinan-gun, Haenam-gun (Jeollanam-do), Hadong-gun and Goseong-gun (Gyeongsangnam-do). Their infection rates were 90.0%, 66.7%, 46.7%, 8.0%, 3.3%, 26.7%, and 86.7% and intensities were 1,090, 6.2, 1.6 1.0, 2.0, 2.0, and 7.2 metacercariae per fish infected respectively. Heterophyopsis continua metacercariae were found in 38.2% goby from 6 localities, i.e., Gochang-gun, Muan-gun, Shinan-gun, Gangjin-gun, Boseong-gun (Jeollanam-do) and Goseong-gun, and their intensities were relatively low, 1-21 metacercariae. Stictodora fuscata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61.3% goby from 4 localities, i.e., Taean-gun, Gochang-gun, Hadong-gun and Goseong-gun. Their infection rates were 90.0%, 53.3%, 5.9%, and 73.3% and intensities were 1,081, 3.1, 3.0, and 10.2 metacercariae per fish infected respectively. Heterophyes nocens metacercariae were found in 55.0% goby from Muan-gun and Shinan-gun. Total 3 metacercariae of Isthmiophora hortensis were detected in 2 (8.0%) gobies from Shinan-gun. Total 15 metacercariae of Centrocestus armatus were detected in 5 gobies (33.3%) from Gyeongpo-ho (ho means lake) in Gangneung-si, Gangwon-do.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yellowfin goby, A. flavimanus, acts as the infection sources of zoonotic intestinal flukes in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than in 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Shoalgrass와 turtlegrass에 棲息하는 小型魚類 個體群들의 季節的 變動에 관한 硏究 (Seasonal Variations in Populations of Small Fishes Concentrated in Shoalgrass and Turtlegrass)

  • 허성회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4-55
    • /
    • 1984
  • 아열대 seagrass 어류군집의 계절적 변동을 결정하기 위해, 미국 Texas 남쪽 해안에 위치한 Redfish Bay의 seagrass meadow에서 서식하는 소형어류개체군들의 밀도를 1982~1983년동안 매달 조사하였다. 23과 40종에 속하는 총 10223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평균밀도는 shoalgrass에서 약 15마리/$m^2$ 이었고 turtlegras 에서 약 6마리/$m^2$ 이었다. Darter goby, pinfish, code goby 그리고 Gulf pipefish가 일년을 통해 양 meadows는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들 네 어종은 총채집된 개체수의 약 85%를 차지하였다. Darter goby는 얕은곳에 위치한 shoalgrass에서 가장 흔한 어종이었으며 약간,은 곳에 위치한 turtlegrass에서는 pinfish와 code goby가 가장 흔한 어종이었다. 어류의 종구성과 밀도의 계절적 변화는 이들 두 아열대 seagrass meadows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어류의 최대밀도는 봄에 나타난다. 어류밀도는 여름에 감소하나 가을에 다시 증가한다. 최소밀도는 겨울에 나타난다. 네 우점종은 각기 서로 다른 계절적 밀도변화 양상을 보인다. 이들 사이에는 약간의 중첩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종들로부터 1~3개월 분리된 최대밀도 시기를 보인다. 이같이 분리된 최대밀도 시기를 보이는 주요 어종의 계절적 개체수변화 양상은 높은 어류밀도를 지닌 아열대 seagrass meadows에서의 이들 주요 어종의 공존을 가능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좀구굴치 ( Micropercops swinhonis ) 의 산란습성 및 초기 난발생 (Breeding Habits and Egg Development of the Goby, Micropercops swinhonis)

  • Kim, Ik-Soo;Byung-Jik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77-486
    • /
    • 1996
  • The freshwater goby, Micropercops swinhonis ($G\"{u}nther$) was studied on the spawning behavior and egg develeopment at the two areas of Chollabukdo, Korea from March to May 1995. Egg mass attached to a layer under stones and the inner wall of waterplant, Cyperus. Spawning behavior was divided in to 1) premating stage: selecting spawning sites and formation of territory by male, 2) mating stage: enticement with zigzag-like dance and intermittant shaking of head by male and fertilization, 3) postmating stage: fanning, guarding and cleaning the nest by male. The eggs were transparent and spherical in shape, measuring $0.9\times1.4mm$ with yellowish yolk sac and many oil globules. Hatching began in about ten days after fertilization at water temperature $16~20^{\circ}C$.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3.8~4.0 mm in total length with 30 myomeres and their mouths and anuses were opened. Melanophores appeared at the air-bladder and the ventral side of caudal region.g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