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9초

감초 첨가가 동치미의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corice Root(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on Dongchimi Fermentation)

  • 장명숙;문성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44-751
    • /
    • 1995
  • 천연 재료 중의 하나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감초를 동치미에 첨가하므로써 동치미의 맛과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따. 감초 첨가량을 0, 0.5, 1.0, 1.5%로 달리하여 담근 동치미를 $10^{\circ}C$에 저장한 것(A군)과 실온($16{\pm}0.5^{\circ}C$)에서 24시간 숙성 후 $4^{\circ}C$에 저장한 것(B군)을 각각 41일 까지 발효숙성 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pH, 총산 함량, 환원당, 총 비타민 C, 색도), 미생물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실험구에서 점차로 낮아졌는데 감초 첨가구의 pH가 감초를 첨가하지 않은 구 보다 약간 높았다. 총산 함량은 증가함을 보여 A군이 B군 보다 약간 많은 총산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감초 첨가구가 감초를 첨가하지 않은 구 보다 적은 총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A군과 B군 모두 발효 13일에 감초 첨가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A군은 발효 32일에 모든 첨가구에서 크게 감소하였고, B군은 감초를 첨가하지 않은 구와 1.5% 감초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증가된 환원당 함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A군과 B군 모두 감초를 첨가한 구가 감초를 첨가하지 않은 구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약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B군이 A군 보다 총 비타민 C 함량이 약간 높았다. 색도는 A군과 B군 모두 발효의 진행과 함께 점차적으로 명도가 낮아졌는데 감초를 첨가하지 않은 구가 감초 첨가구에 비해서 덜 감소하였다. 젖산균수는 A군과 B군 모두 발효 2일에 크게 증가하여 발효 41일에 크게 감소하였고, B군의 경우는 계속 유지되었다. 감초 첨가구가 감초를 첨가하지 않은 구 보다 젖산균수가 더 많았다.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숙성일이 지남에 따라 A군 보다 B군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0.5% 감초 첨가구를 가장 좋아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10^{\circ}C$에 저장한 것(A군) 보다 실온($16{\pm}0.5^{\circ}C$)에서 23시간 숙성 후 $4^{\circ}C$에 저장한 것(B군)이 약간 우수했으며, 이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감초를 첨가한 구가 많은 총 비타민 C 함량이나 젖산균수를 나타냈고,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0.5% 감초 첨가구를 가장 좋아하였다.

  • PDF

"금궤요략심전.분돈기병맥증치제팔(奔豚氣病脈證治第八)"에 대한 번역연구 (Translational Study for "Treatise on Bundon Disease in Chapter 8 of the Essence of the Synopsis of the Golden Chamber")

  • 이선란;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28
    • /
    • 2008
  • After translating the contents of "Treatise on Bundon Disease in Chapter 8 of the Essence of the Synopsis of the Golden Chamber"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f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and speculate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nts of Ui(尤怡)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s the causes of bundon(奔豚) disease, which means gas rushing like a running piggy from the lower abdomen to the throat, they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cases belongs to miscellaneous diseases (雜病) and into the cases of suffering from cold diseases(傷寒). If it was diagnosed as miscellaneous disease, terror and fear(驚恐) could be regarded as its cause and if it was diagnosed as cold disease, insufficiency of heart Gi(心氣) due to the excessive sweating and the invasion of exterior coldness could be regarded as its cause. As the pathogenesis of this disease, the pathogenic factors of liver and kidney could be found. Since the liver and Soyang meridian(少陽經) are subjected to the exterior and interior relation in case of the pathogenic factor of liver, alternate attacks of chills and fever(寒熱往來) could be characteristic for the disease. If this disease was caused by the pathogenic factor of kidney, there are two cases. One is the palpitation under the umbilicus(欲作奔豚: 臍下動悸) developed by the lack of heart Gi(心氣) and the other is gas rushing like a running piggy from the lower abdomen to the throat which could be developed by the exterior cold disease which invade into the interior and reach into the kidney when the heart Gi(心氣) was insufficient. In its treatment, bundon disease caused by the pathogenic factor of liver could be treated with Bundontang(奔豚湯), and the understanding of Ui(尤怡) on Pinellia ternata Breitenbach(半夏) having the effect of perspiration in the prescription is quite unique concept. In case of bundon disease caused by the pathogenic factor of kidney, treatment is focused to treat exterior coldness by applying moxibustion(灸) and Gyejigagyetang(桂技加桂湯), and in case of the palpitation under the umbilicus(欲作奔豚: 臍下動悸), its pathogenic factor of kidney is controlled with Cinnamomum louerii Nees(桂技), Polia cocos Walf and the spleen Gi(脾氣) is cared by using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et. De Candolle(甘草) and Zizyphus jujuba Mill(大棗). Especially, Ui(尤怡) emphasized Cinnamomum louerii Nees(桂技) as the medication to treat the pathogenic factor of kidney.

  • PDF

고온고압증기멸균이 우황청심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Steam Sterilization on Woohwangchungsimwon)

  • 조창영;이인희;이재웅;김은지;이진호;김민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2
    • /
    • 2015
  • Objectives To check marker content for appropriate quality control of Woohwangchungsimwon sterilized to ensure microbiological safety and to observe antioxidant activity for any changes in efficacy. Methods To measure any effects of sterilization on the effective compounds, 8 ingredients of Woohwangchungsimwon were screened for any changes in marker content using HPLC-DAD. Using the colorimetric method on the microplate reader any changes in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levels were observed.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DPPH, ABTS, and FRAP. Results Of the ingredients of Woohwangchungsimwon, 8 were subject to quantit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21.6 mg and 1.93 mg of Glycyrrhizin was found in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pre and post sterilization, respectively. Decursin found in Angelica gigas Nakai increased from 0.16 mg to 0.29 mg after sterilization. Bilirubin found in Gallstone of Bostaurusvar. domesticus increased from 0.24 mg to 0.33 mg. Cinnamic acid found in Cinnamomum cassia Blume increased from 0.02 mg to 0.05 mg. Ginsenoside Rb1 found in Panax ginseng C. A. Meyer decreased from 0.02 mg to 0.14 mg. Paeoniflorin found in Paeonia lactiflora Pallas increased from 1.05 mg to 1.13 mg. Amygdalin found in Armeniacae Amarum Semen increased from 2.68 mg to 2.83 mg. L-muscone found in Musk increased from 0.63 mg to 0.76 mg. As for total phenolic compound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here was a 1.22 and 4.15-fold increase. DPPH and ABTS increased by 20.45% and 20.69%, respectively. FRAP activity was 2.78 times more active post stabiliz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steam sterilization, a method used to ensure microbiological safety of Woohwangchungsimwon, does not affect marker content; in other words, does not affect quality of the Woohwangchungsimwon. It could also be seen that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 increased after sterilization. An antioxidant activity tes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ity of antioxidants.

생쥐 대장 카할세포의 자발적 탈분극에서 한약의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Effects of Herbal medicines in Pacemaker Potential of Colonic Intestinal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n mice)

  • 최나리;정해정;최우균;김병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9
    • /
    • 202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pacemaker potentials of large intestinal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 in mice. Methods : We made the ICC culture in large intestine in mice and used the electrophysiological method to record pacemaker potentials. Also we used MTT assay to check cell viability and examined the ICC protein expression by western blot. Results : 1.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GF) (50-15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58.95 ㎍/ml. Angelica gigas (AG) (50-2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77.22 ㎍/ml. Poncirus fructus (PF) (10-1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13.39 ㎍/ml. Citrus unshiu S. Marcov. (CU) (10-5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139.80 ㎍/ml. Gardenia jasminoides J. Ellis (GJ) (100-5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78.70 ㎍/ml. Coptis chinensis (CC) (100-1000 ㎍/ml) induced pacemaker depolarization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EC50 is 138.10 ㎍/ml. Scutellaria baicalensis (SB) (10-100 ㎍/ml) had no effects on pacemaker potentials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IC50 is 18.34 ㎍/ml.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AM) (10-100 ㎍/ml) induced pacemaker hyperpolarizations and decreased frequenc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IC50 is 18.54 ㎍/ml. 2. PF, SB and AM had no effects on cell death in large ICC. 3. PF increased the ANO1 and c-kit protein expression and SB and AM increased the c-kit protein expression in large ICC.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F, SB, and AM are likely to be the optimal combination of herbal medicines that can be used to treat diseases such as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such as irritable bowel syndrome.

동충하초균주로 발효한 감초의 주요성분 함량 변화 및 NO 생성 억제 효과 (Changes in Cordycepin and Liquiritigenin Content and Inhibitory Effect on NO Production in Fermented Licorice and Dongchunghacho)

  • 왕자옥;이매;이커;손병구;강점순;이용재;박영훈;김선태;정재철;이영근;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7-66
    • /
    • 2017
  • 약용식물의 발효는 새로운 식품의 소재 개발이 가능하나, 발효 균주는 대부분 이스트, 유산균, 박테리아 등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초와 번데기 단독 또는 감초에 발효원인 번데기를 20%와 50%로 첨가한 혼합물의 배지에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tenuipes)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를 이용하여 고체배양방법을 확립하였다. 동충하초 발효물을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식용 가능한 용매인 에탄올 95%, 70%, 50%, 25% 및 물로서 추출한 다음 동충하초로부터 생성된 cordycepin과 감초의 지표성분인 liquiritin, liquiritigenin과 glycirrhizin의 함량 및 NO생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Cordycepin함량은 감초에 번데기를 50%로 혼합한 배지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주을 접종하여 발효한 발효물을 70% EtOH추출하였을 경우에 가장 많았으며, 번데기를 첨가하지 않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발효물 추출물보다 함량이 33배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추출용매의 극성이 70% EtOH보다 높거나 낮아지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발효원으로서 번데기의 첨가는 cordycepin의 함량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Liquiritin의 함량은 발효하지 않은 감초보다 눈꽃 동충하초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로 발효한 모든 추출물에서 감소하였다. Liquiritigenin의 함량은 눈꽃 동충하초로 발효한 추출물이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보다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쥬의 발효 추출물은 발효하지 않은 감초 추출물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두 균주 모두 번데기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iquiritigenin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감초에 번데기의 첨가량 또는 추출 용매의 극성이 증가하면 liquiritin과 glycyrrhizin의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ordycepin 함량은 C. militaris 균주로 liquiritigenin은 P. tenuipes로 발효시에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liquiritin과 glycyrrhizin은 감소하였다. 감초를 동충하초로 발효시에 번데기의 첨가는 주요 성분의 변화를 현저하게 유도하였다.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은 NO생성 억제효과가 증가하였으며, 고극성 용매 추출물에서 그 효과가 현저하였다. 감초의 발효시에 생성된 cordycepin과 liquiritin, liquiritigenin 및 glycyrrhizin의 함량은 발효원으로서 첨가되는 번데기, 추출용매의 극성, 발효 균주의 종류 등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충하초 균주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말선초 약초원의 형성 과정과 조경사적 의미 고찰 (The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Physic Garden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 김정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0-70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약초원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조경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초학 연구가 이루어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의료체계 속에서 약초원과 관련한 기록을 찾아보았다. 약초원은 여말선초인 13~15세기에 발달하였다. 지역성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자연관의 영향으로 토산 약초를 뜻하는 향약(鄕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고려 말 문인들이 약포(藥圃)를 가꾼 경향이 발견되며, 향약 조사 발견 재배 탐구 등 관련 정책이 시행된 조선 초 종약전(種藥田)이라는 이름의 약초원이 조성된 사실이 확인된다. 내의원과 혜민서와 같은 중앙의료 기구 부속 시설이었던 종약전은 15세기 중반에 실재했던 것으로 확인되고 조선 건국과 함께 설립되어 조선 후기에 쇠퇴한 것으로 추정된다. 종약전은 약현, 율도, 여우도, 사아리 등 한양 도성 밖 여러 곳에 있었고, 그 규모는 18세기 초 당시 약 16만 제곱미터였다. 형개, 지황, 감초 등을 포함한 수십 종이 종약전에서 재배되었고, 내의원에서 파견된 의관과 관노비 수십 명에 의해 종약전이 운영되었다. 종약전은 새로운 약초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라는 사회적 배경 측면에서 르네상스시대 의과대학의 약초원과 공통점을, 약초의 종류 위치 기능 등의 측면에서 중세 유럽의 성곽과 수도원 내 약초원과 유사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약포와 종약전의 구체적 공간 형태를 밝히지 못한 점에서 한계를 가지나, 우리나라에서 약초원이라는 정원 유형이 여말선초 향약을 중심으로 한 의학의 발달과 함께 나타났으며 공동체의 치료제 재배를 위한 실용정원으로 기능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