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peptid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7초

ppGalNAc T1 as a Potential Novel Marker for Human Bladder Cancer

  • Ding, Ming-Xia;Wang, Hai-Feng;Wang, Jian-Song;Zhan, Hui;Zuo, Yi-Gang;Yang, De-Lin;Liu, Jing-Yu;Wang, Wei;Ke, Chang-Xing;Yan, Ru-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653-5657
    • /
    • 2012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lycopeptide-preferring polypeptide GalNAc transferase 1 (ppGalNAc T1 ) targeted RNA interference (RNAi) on the growth and migration of human bladder carcinoma EJ cells in vitro and in vivo. Methods: DNA microarray assay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ppGalNAc Ts(ppGalNAc T1-9) expression in human bladder cancer and normal bladder tissues. We transfected the EJ bladder cancer cell line with well-designed ppGalNAc T1 siRNA. Boyden chamber and Wound healing assays were used to investigate changes of shppGalNAc T1-EJ cell migration. Proliferation of shppGalNAc T1-EJ cells in vitro was assessed using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and soft agar colony formation assays. Subcutaneous bladder tumors in BALB/c nude mice were induced by inoculation of shppGalNAc T1-EJ cells and after inoculation diameters of tumors were measured every 5 days to determine gross tumor volumes. Results: ppGalNAc T1 mRNA in bladder cancer tissues was 11.2-fold higher than in normal bladder tissues. When ppGalNAc T1 expression in EJ cells was knocked down through transfection by pSUPER-shppGalNAc T1 vector, markedly reduced incorporation of [3H]-thymidine into DNA of EJ cells was observed at all time points compared with the empty vector transfected control cells. However, ppGalNAc T1 knockdown did not significantly inhibited cell migration (only 12.3%). Silenced ppGalNAc T1 expression significantly inhibited subcutaneous tumor growth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injected with empty vector transfected control cells. At the end of observation course (40 days), the inhibitory rate of cancerous growth for ppGalNAc T1 knockdown was 52.5%. Conclusion: ppGalNAc T1 might be a potential novel marker for human bladder cancer. Although ppGalNAc T1 knockdown caused no remarkable change in cell migration, silenced expression significantly inhibited proliferation and tumor growth of the bladder cancer EJ cell line.

최근 10년 동안 일개 대학병원 상처 배양에서 분리된 포도알균의 항생제 내성 변화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Antimicrobial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Wound Isolates in a South Korean University Hospital for the Past 10 Years (2006, 2016))

  • 홍성노;김준;성현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35-342
    • /
    • 2016
  • 일반적으로 지역사회 관련 경로로 감염되기 쉬운 S. aureus는 대부분이 MSSA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CA-MRSA가 증가하고 있다. 항생제와 glycopeptides의 지속적인 남용은 VISA, VRSA가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일개 대학병원의 상처에서 분리한 황색 포도상 구균의 항생제 감수성 패턴과 항생제 내성의 유병률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항생제 내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에 따라 항생제 내성률이 증가하였다. 2006년 항생제 내성률은 penicillin, oxacillin, erythromycin, gentamicin, clindamycin, tetracycline, ciprofloxacin, fusidic aci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lindamycin, rifampicin에서 각각 97.7%, 60.5%, 57.4%, 48.8%, 41.1%, 44.2%, 44.2%, 14.7%, 13.2%, 3.9% 나타났으며, 2016년 항생제 내성률은 penicillin, oxacillin, erythromycin, gentamicin, clindamycin, tetracycline, ciprofloxacin, fusidic aci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lindamycin, rifampicin에서 각각 95.9%, 62.6%, 55.7%, 28.6%, 50.3%, 34.7%, 38.8%, 34.0%, 2.7%, 8.2%로 나타났다. Vancomycin, linezolid, quinupristin/dalfopristin, teicoplanin 는 항생제 감수성에서 100%를 나타내었다. 특히, fusidic acid는 2006년에 비하여 2016년에 내성이 19.3% 증가하였고, 감수성이 12.4%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미생물 및 항생제 변화의 주기적인 검토와 이해를 통해 적절한 항생제 감수성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방선균 유래 이차대사 생합성 유전자 분석용 DNA Microarray 제작 및 해석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DNA Microarray for the Screening of Biosynthetic Genes of Secondary-Metabolites formation in Streptomyces)

  • 남수정;강대경;이기형;김종희;강상순;장용근;홍순광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5-111
    • /
    • 2005
  • 다양한 균주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신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방법이며, 신물질을 발견하는 비율도 계속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 균주들을 대상으로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한 target-directed screening기술의 개발은, 학문적 뿐만 아니라 산업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분리된 방선균각각의 유전체를 대상으로 microarray 분석을 통해,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 생산균주 및 생합성 유전자를 확보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기존에 알려진 생리활성물질 생합성 유전자들을 확보하여 DNA chip을 제조하였으며, 유전체 염기서열이 밝혀진 S. coelicolor 균주를 대상으로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전체적으로 유전자 상동성이 높을수록 반응감도도 높은 편이었으나, 이러한 상환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유전자들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probe 유전자의 G+C 비율$(\%)$을 서로 비슷하게 구성하거나, 반응조건을 최적화 시킨다면 DNA chip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NA microarray를 통한 생리활성물질 발굴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 본 연구에서 시도하고 있는 방법은 발굴 target과 대상을 지정하고 시도되기 때물에, 효율면에서 무작위 스크리닝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높을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와 같은 접근방법을 최적화 시킨다면, 방선균뿐만 아니라 다른 미생물부터 생리활성물질 및 생합성유전자 스크리닝에도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개 대학병원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한 포도알균 항생제 내성 경향 차이 (Differences in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by Clinical Specimen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 홍성노;김준;성현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5-92
    • /
    • 2018
  • 황색포도상구균의 유병률에 대한 정보와 항생제 내성 리스트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의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의 어느 병원 임상 검체에서 얻은 황색포도상구균 균주의 빈도와 항생제 저항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람 양성구균 1,746 개의 균은 S. aureus으로 확인되었다. S. aureus은 객담(N=565, 32.4%), 기관내 흡인(358, 20.5%), 상처(329, 18.8%), 혈액(137명, 7.8 %), 고름(59 %, 3.4 %)이었다. 객담, 기관 내 흡인, 상처, 혈액, 소변 및 고름에서 스크리닝 된 1,282개의 S. aureus 균주 모두 글리코 펩타이드 옥시 졸리 디논(리네 졸리드) 및 스트렙토그라민(퀴뉴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에서 모두 민감성이 나타났다. 황색 포도상 구균은 기관 내 흡인과 비교하면 소변, 혈액, 고름, 상처 및 객담에서 내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기관내 흡인 검체에서 분리 된 황색포도상 구균의 경우 특히 내성의 빈도가 높았다. 결과적으로, 임상 표본에 따라 황색 포도상 구균의 항생제 저항성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a Korean ginseng berry on the immunosenescence of aged mice

  • Kim, Miseon;Yi, Young-Su;Kim, Juewon;Han, Sang Yun;Kim, Su Hwan;Seo, Dae Bang;Cho, Jae Youl;Shin, Song Seo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4호
    • /
    • pp.447-454
    • /
    • 2018
  • Background: Korean ginseng has been widely evaluated to treat human diseases; however, most studies on Korean ginseng have focused on its root. In this study, polysaccharides [acidic-polysaccharide-linked glycopeptide (APGP) extracted with 90% ethanol and hot water] were prepared from Korean ginseng berries, and their effect on immunosenescence was explored. Methods: The effect of APGP on thymic involu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ize of thymi dissected from aged mice. The effect of APGP on populations of immune cells, including natural killer (NK) cells, dendritic cells, age-correlated CD11c-positive B cells, and several subtypes of T cells [CD4-positive, CD8-positive, and regulatory (Treg) T cells] in the thymi and spleens of aged mice was analyzed by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analysis. Serum levels of interleukin (IL)-2 and IL-6 were evalua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alysis. Profiles of APGP components were evaluat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Results: APGP suppressed thymic involution by increasing the weight and areas of thymi in aged mice. APGP increased the population of NK cells, but showed no effect on the population of dendritic cells in the thymi and spleens of aged mice. APGP decreased the population of age-correlated CD11c-positive B cells in the spleens of aged mice. APGP showed no effect on the populations of CD4- and CD8-positive T cells in the thymi of aged mice, whereas it increased the population of Treg cells in the spleens of aged mice. APGP further decreased the reduced serum levels of IL-2 in aged mice, but serum levels of IL-6 were not statistically changed by APGP in aged mice. Finally, HPLC analysis showed that APGP had one major peak at 15 min (a main type of polysaccharide) and a long tail up to 35 min (a mixture of a variety of types of polysaccharid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PGP exerted an anti-immunosenescent effect by suppressing thymic involution and modulating several types of immune cells.

전북대학교병원 입원환자에서의 항생제 사용 실태 (Use of Antimicrobi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npatients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송재호;김정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2호
    • /
    • pp.225-232
    • /
    • 2000
  • 목 적 : 올바른 항생제의 사용을 위해서는 우선 항생제 사용 실태의 파악과 함께 검사실의 확충, 의료진의 협조 등 다양한 노력과 보완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적절한 항생제 사용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항생제 사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 법 : 전북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 총 1,83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항생제의 사용 여부, 종류, 사용 기간, 용량, 항생제의 투약 시작 시기 및 투여 목적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조사 대상 환자 1,833명 중 입원 기간 중 항생제를 사용한 환자는 1,231명으로 67.2%였으며, 계별로 살펴보면 내과계는 전체 1,014명 중 497명(49.0%)이 항생제를 사용하였고, 외과계는 819명 중 734명(89.6%)에서 항생제를 사용하였다. 전체 항생제를 사용한 환자 1,231명 중 706명(57.4%)에서 예방 목적으로 사용하였고, 525명(42.6%)에서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항생제를 사용한 환자의 경우 사용된 항생제의 갯수를 살펴보면 총 1,231명 중 1가지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는 125명(10.2%)이었으며, 2가지를 사용한 경우는 311명(25.3%), 3가지를 사용한 경우는 562명(45.6%), 4가지 이상을 사용한 경우는 233명(18.9%)으로, 70% 이상의 환자에서 3가지 이상의 항생제가 사용하였다. 사용 항생제의 종류는 ${\beta}$-lactam, aminoglycoside, quinolone, macrolide, 항진균제, metronidazole, clinda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glycopeptide, 그리고 fosfomycin 등으로 아주 다양하였다. 전체적인 그룹별 사용률을 보면 ${\beta}$-lactam은 57.0%, aminoglycoside는 34.5%, quinolone은 3.6% 그리고 기타 그룹은 4.9%로, ${\beta}$-lactam과 aminoglycoside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 론 : 대부분의 환자에서 2가지 이상의 항생제의 병합요법이 보편화되어 있다는 점은 진지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임상적으로 전신 세균 감염이 확실한 경우에도 원인 병원체를 찾아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한 경우도 상당수 있어 이에 대해서도 검사실과 함께 적극적인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 환자의 예방적 화학 요법에 대해서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