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emic control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1초

중환자의 혈당 조절: 최신 업데이트 (Glucose Control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Recent Updates)

  • 이상열
    •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1-85
    • /
    • 2018
  • Proper glucose management in hospitalized patients can improve clinical outcomes. In particular,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are known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mortality from changes in blood glucose due to severe comorbidities. Improving glucose control in ICU patients, therefore, can improve mortality and prognosis. Several studie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blood glucose in the ICU patients have been conducted. Intensive glucose management of surgical ICU patients has been successful. However, studies on medical ICU patients did not demonstrate positive effects of strict glycemic control. There is no independent glucose management goal for neurological ICU patients. However, maintenance of the usual glucose control target of 140-180 mg/dL is recommended for ICU patients. Intravenous insulin infusion is essential for glucose control in ICU patients not consuming a regular diet, and caution should be exercised to prevent hypoglycemia.

유제품 섭취와 당뇨 예방 (Dairy Products Intake and Managing Diabetes)

  • 김민경;최아리;한기성;정석근;오미화;김동훈;함준상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17-22
    • /
    • 2011
  • Milk intake is widely recommended for healthy diet, not only for bone growth and maintenance, but also as a protein, calcium and magnesium sources as part of an adequate diet. Many research suggest that milk and dairy products are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Milk and dairy products are low Glycemic index (GI) and Glycemic load (GL) foods. The GI and GL are useful tools to choose foods to help control blood glucose levels in people with diabetes. The GI and GL of milk are 32~42 and 4~5, respectively, and which are about 1/2 and 1/5 of boiled ric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dairy on T2DM development includes the calcium and vitamin D content in dairy foods and the possible positive effect of high milk and calcium intake on weight control. The role of dairy products on reducing the risk of diabetes can be inferred from the reports that lower serum IGF-1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abetes and the girls with low milk intake had significantly lower IGF-1. Accumulating data from both patients and animal models suggest that microbial ecosystems associated with the human body, especially the gut microbiota, may be associated with several important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obesity,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t was thought that fermented milk containing lots of probiotics can be useful for controling blood glucose levels and preventing complication of diabetes, but sucrose in commercial yogurt should be substituted. There are some reports of oligosaccharide, xylitol, and stevia as a potentially useful sweetener in the diabetic diet.

  • PDF

사춘기에 말기 신질환으로 조기 진행한 소아 제1형 당뇨병성 신병증 1례 (A Case of Diabetic Nephropathy Progressed to End-Stage Renal Disease in an Adolescent with Type 1 Diabetes)

  • 윤지은;권순길;하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242-247
    • /
    • 2009
  • 소아청소년기의 당뇨병은 대부분 제1형 당뇨병으로, 이 때 발생하는 혈관합병증으로서 당뇨병성 신병증은 소아에서 흔하지 않지만 신부전까지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혈당조절이 불량하고 사춘기나 그 이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에 혈관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하므로 소아청소년기의 당뇨병이 청소년기에 당뇨병성 신병증으로 발현하는 경우는 드물고, 더욱이 말기 신질환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혈당 조절이 불량했던 제 1형 당뇨병 소아 환자에서 혈뇨와 단백뇨가 관찰되어 조직 검사를 통해 사춘기 전에 발생한 당뇨병성 신병증을 확인하고 사춘기에 말기 신질환으로 진행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제 1형 당뇨병 소아환자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신병증 1례 (A Case of Diabetic Nephropathy in a Child with Type 1 Diabetes)

  • 정환희;박성신;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250-255
    • /
    • 2008
  •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또는 인슐린 작용의 장애로 발생하는 대사질환이다. 그 중 제1형 당뇨병은 흔히 혈당 조절이 어려우며 눈과 신장을 침범하는 미세혈관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성 신병증은 소아에서 흔하지 않지만 신부전까지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다. 그런데, 많은 연구들에서 당뇨병이 사춘기 전에 발생하는 경우보다 사춘기나 그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에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사춘기 전에 발생한 소아 당뇨병성 신병증은 국내에서 보고된 예가 거의 없는 상태로, 저자들은 여러 차례의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의 과거력이 있으며 혈당 조절이 불량했던 제 1형 당뇨병 소아 환자에서 혈뇨와 단백뇨가 관찰되어 조직 검사를 통해 사춘기 전에 발생한 당뇨병성 신병증을 확진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타입 1형 당뇨 환자에서 급작스런 혈당조절에 의해 발생한 신경염 (Treatment-Induced Neuropathy of Diabetes)

  • 김기훈;임민정;이태임;김주섭;윤서연
    • Clinical Pain
    • /
    • 제19권1호
    • /
    • pp.32-35
    • /
    • 2020
  • Treatment-induced neuropathy in diabetes (TIND) is a reversible neuropathy that occurs in patients with diabetes, usually after a fast improvement in glycemic control. TIND is defined as the sudden onset of neuropathic pain or autonomic dysfunction with a large improvement in glycemic control (glycated hemoglobin [HbA1c] level of ≥ 2% over 3 months). We report the first case of a 24-year-old woman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who developed TIND in Korea. Her HbA1c level had decreased from 16.7% to 7.3% within a 3-month period. She developed acute-onset, severe, and continuous burning pain affecting her back and lower extremities. She was administered tapentadol (50 mg), pregabalin (75 mg), and vitamin B with minerals twice daily for neuropathic pain. She complained of orthostatic hypotension; thus, midodrine (2.5 mg) and anti-embolic stockings were prescribed. She almost completely recovered 6 months after the onset. A physician should be aware of TIND and gradually reduce HbA1c level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IDN. They must also try to provide relief from severe pain or autonomic dysfunction and emphasize on an almost complete recovery.

생식의 섭취가 흰쥐의 혈당 및 혈당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engshik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prague-Dawley Rats)

  • 남동훈;홍성길;장혜은;권영인;문민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62-470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effects of saengshik in Sprague-Dawley (SD) rats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of three commercially available saengshik products (BS, LS, WS) as an alternative diabetic meal. Bloo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at 30, 60, 90, 120, and 150 minutes after the ingestion of experimental materials. In experiment 1, the amount of experimental materials remained the same. We measured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as the area under the blood glucose response curve (AUC), glycemic index (GI), maximum concentration (Cmax), and time to reach maximum concentration (Tmax). AUC and Cmax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GI and Tmax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but wer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carbohydrates were adjusted to the same amount. We measured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the same manner as Experiment 1 and obtained similar results. These hypoglycemic effects appear to be attributed to phytochemicals and dietary fiber found in whole, unrefined gra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engshik exerts hypoglycemic effects by modulation of glucose-related biomarkers.

C57BL/6J Mice에서 단백다당체 함유 차가버섯 균사체의 지질개선 및 혈당조절효과 (Antihyperlipidemic and Glycemic Control Effects of Mycelia of Inonotus obliquus Including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Extract in C57BL/6J Mice)

  • 김민아;정용섭;전계택;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67-673
    • /
    • 2009
  • 본 연구는 단백다당체 함유 차가버섯 균사체 추출물 보강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되어 2형 당뇨 특성을 나타내는 C57BL/6J mice에서 지질수준 개선 및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 대조군 (N-C), 고지방 대조군(H-C), 고지방식이+저농도 균사체 추출물 투여군(M150L, 1 mL/kg bw, ${\beta}$-glucan 1.303 mg), 고지방식이+균사체 추출물 투여군(M150, 2 mL/kg bw, ${\beta}$-glucan 2.606 mg), 고지방식이+고순도 단백다당체 투여군(PP, 200 mg/kg bw), 고지방식이+메시마 투여군(M, 200 mg/kg bw) 6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고환 지방은 차가버섯 균사체 추출물 투여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혈중 중성지방 및 VLDL에서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은 고지방 대조군(H-C)보다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 조직의 중성지방 농도는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 실험군(M150L, M150)이 각각 26.8%, 30.9%, 총 콜레스테롤은 각각 65.5%, 61.9% 낮아져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구당부하 검사 결과 포도당 투여 3시간 후의 혈당이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저농도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L) 4.9%,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 9.5% 감소하였다. 혈당반응면적 또한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낮았다. 혈중 인슐린 및 HOMA-IR 수준은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 실험군(M150L, M150)에서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 중 글리코겐은 고지방 대조군(H-C)에서 글리코겐 합성이 저하된 반면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 실험군(M150L, M150)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중 아디포넥틴은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단백다당체 함유 차가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식이 유도 비만/당뇨 모델인 C57BL/6J mice의 지질수준 개선 및 혈당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를 이용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고혈압·당뇨병 환자의 혈압·혈당 조절에 미치는 의원 기반 만성질환관리사업의 효과 (Effects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Based on Clinics for Blood Pressure or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Type 2 Diabetes Mellitus)

  • 정원;임준;오대규;임정수;고광필;김윤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2호
    • /
    • pp.108-115
    • /
    • 2013
  • 본 연구는 인천시 만성질환관리사업을 통해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혈압 및 혈당이 조절되었는지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2010년 1년 간 참여의원에 등록한 11,501명을 대상으로 인천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교육과 필수검사에 따라 혈압과 혈당이 조절되었는지를 1년간의 추적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혈압의 경우 등록 시점에서 혈압 조절이 안 된 군은 1년 후 교육이 혈압조절에 효과가 있는 반면, 등록 시점에서 혈압조절이 잘 된 군은 1년 후 필수검사가 혈압 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과 교육 및 필수검사와의 관련성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고혈압 환자의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서는 교육과 필수검사의 활성화가 중요하며 이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에서 한식 섭취가 혈청 GGT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herence to Korean diets on serum GGT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 정수진;채수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5호
    • /
    • pp.386-399
    • /
    • 2018
  • 본 연구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한식 섭취가 12주간의 경과 과정에서 4차례의 방문(0주, 4주, 8주, 12주)을 통해 측정한 혈청 GGT, 혈압 및 glycemic control data, 심혈관계 위험지표 및 식이섭취의 변화를 비교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대상자는 평균 연령은 $61.8{\pm}1.9$세로 한식군 (21명)의 경우 건강한 한식을 1일 3끼씩 12주간 제공된 식사를 섭취하였고, 대조군 (당뇨병 식이 가이드라인에 따른 관리교육을 받은 자) 20명은 평소 섭취하던 당뇨조절 식사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였다. 2.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두군 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맥박수는 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07). 3. 당화혈색소 (HbA1c)는 한식군에서 연구 참여 전과 후 각각 $6.8{\pm}.2%$, $6.1{\pm}.2%$로 감소하고 대조군은 각각 $6.8{\pm}.2%$, $6.5{\pm}.2%$로 감소되어 한식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폭이 컸다 (p = 0.004). 4. 혈청 GGT는 한식군에서 연구 참여 전과 후 각각 $28.8{\pm}4.5IU/L$, $19.8{\pm}3.2IU/L$로 감소하고 대조군은 각각 $30.0{\pm}4.1IU/L$, $33.9{\pm}5.0IU/L$로 증가되어 한식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01). 5.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경향이었으나 두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free fatty acid는 한식군에서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02). 6. 신체계측 지표인 체중 (p = 0.002), 체질량지수 (p = 0.002), 체지방량 (p < 0.001), 체지방율 (p < 0.001)은 연구 참여 전에 비해 연구 참여 12주 후에 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7. 치료약물의 변화량은 두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한식군에서 대조군보다 많은 수의 환자가 실제로 고혈압, 당뇨병 및 고지혈증 치료 약물을 감량할 수 있었다. 8. 한식군은 연구 참여 동안에 전곡류의 밥, 채소류인 나물류, 김치 및 전통 콩발효식품 등의 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01). 9. 한식군은 동물성식품에서 유래한 동물성 단백질 (p < 0.001), 지질 (p < 0.001) 및 콜레스테롤 (p = 0.034)의 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총칼로리(p < 0.001), 엽산 (p < 0.001), 식이섬유 (p < 0.001), 나트륨(p < 0.001), 칼륨 (p < 0.001), 비타민 A, C, E (p < 0.001) 및 비타민 B류 (p < 0.001)의 섭취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적극적인 전곡류로 만든 밥을 중심으로 한 한식 섭취는 당뇨병 및 고혈압 환자에서 대사성질환 및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인 혈청 GGT, 맥박수, 혈당조절 지표 및 비만지표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정도에 대한 인식과 HbA1C 값 비교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stimation for diabetic control and the HbA1C value in diabetic patients)

  • 조현정;류진환;예성호;김유일;허봉렬
    • 한국건강관리협회지
    • /
    • 제4권1호
    • /
    • pp.39-48
    • /
    • 2006
  • Background : Diabetes mellitus is chronic condition which needs patients' understanding of disease status and effort for disease control. We investigated whether the patients' estimation for blood glucose control was reliable or not comparing with their HbA1C value, Method: Among people who visited one health promotion center in Seoul from 1995 to 2003,those who answered as having diabetes mellitus on self reported questionnaire were identified. Subsequent question was whether his or her diabetes was well controlled or not. We compared these replies with their HbA1C values. When their HbA1C values were below7% with answering not well controlled, we analyzed if there was any variable which can predict the discrepancy. And the same analyze we did for the opposite situation. Result: A total of 1193 patients were eligible. Those who answered as well controlled formed32.9% of the group with HbA1C values above 7%. In the cases with well controlled though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is discrepancy, Conclusion: Considerable proportion of diabetic patients' estimation for diabetic control status was not matched with glycemic control guideline.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more efforts for patient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essent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