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에서 분리한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 고찰 및 발현분석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a Glutathione S-Transferase cDNA from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문지영;박은희;공희정;김동균;김영옥;김우진;안철민;남보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9-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대용량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GST유전자의 전장 cDNA를 동정하였다. 북방전복 GST 유전자의 총 길이는 1669 bp로 672 bp의 ORF는 총 223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고 있으며 등전점은 5.69, 분자량은 25.8 kDa으로 예측되었다. 북방전복 GST아미노산 서열은 둥근전복과 지중해 담치와 같은 패류의 GSTA와 가장 유사성이 높았으며 계통수 분석을 통해 GSTA와 하나의 그룹을 이루었다. 북방전복 GST에는 GSTA의 특징을 갖는 두 site (N-말단의 G-site, C-말단의 H-site)가 보존되어 있었고 효소활성과 구조 유지에 중요한 잔기가 종간에 매우 보존되어 있었다. 북방전복 GST 유전자의 mRNA는 관찰된 모든 조직에서 발현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투막, 아가미, 간췌장, 소화관에서 높은 발현이 확인되었다. 북방전복의 GST는 비브리오균을 인위감염 시킨 전복의 간췌장에서 감염 후 1시간 뒤 발현이 급격히 증가했다가 3시간까지 증가한 뒤 감소하였고, 혈구세포에서는 감염 3시간 경과 후 발현 정도가 최고로 증가했다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북방전복 GST는 alpha class GST의 특징을 가지며 병원체 감염에 따른 면역반응 조절에 관여할 것이라 생각되며 병원균 감염에 따른 바이오마커로 활용가능 할 것이라 예상된다.

랫드 간 Epoxide Hydrol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Progesterone의 효과 (Progesterone Effects on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and Glutathione S-transferease mRNA Levels in Rats)

  • 조주연;김상건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3-241
    • /
    • 1996
  •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glucocorticoid suppresses microsomal epoxide hydrolase(EH) gene expression and that EH expression is altered during pregnancy. The effects of progesterone on the expression of rat EH and certain glutathione S-transferase(GST) gen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Northern RNA blot analysis revealed that progesterone was effective in increasing hepatic EH mRNA levels at 12 h to 48 h after treatment with a maximal 9-fold increase being noted at 12 h time point. Nonetheless, multiple daily treatment with progesterone rather caused minimal relative increases in EH mRNA levels. GST Ya and Yb1/2 mRNA levels were also transiently elevated at 12 h after progesterone treatment, followed by gradual decreases from the maximal Increases at day 1, 2 and 5 post-treatment. These changes in EH and GST mRNA levels were noted only at a relatively high dose of progesterone. Furthermore, immunoblot analyses showed that rats treated with progesterone for 5 days failed to show EH or GST induction, indicating that progesterone-induced alterations in EH and GST mRNA levels do not reflect bona fide induction of the detoxifying enzymes. Concomitant progesterone treatment of rats with the known EH inducers including ketoconazole and clotrimazole failed to additively nor antagonistically alter EH mRNA levels. In contrast, dexamethasone substantially reduced ketoconazole- or clotrimazole-inducible EH expres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progesterone stimulates the EH, GST Ya and Yb1/2 gene expression at early times followed by marked reduction in the RNA levels from the maximum after multiple treatment and that the changes in mRNA do not necessarily reflect induction of the proteins.

  • PDF

아시아인종에서 자가면역질환과 GST 유전자 다형성의 메타분석 (Association between the Polymorphism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enes and Autoimmune Diseases in Asian Population: a Meta-analysis)

  • 김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48-663
    • /
    • 2017
  • 아시아인종에서 GSTM1/GSTT1 유전자 다형성과 자가면역질환과 관련된 감수성을 검증하기 위해, 2015년 12월까지 EMBASE, Google, KISS, MEDLINE, PubMed에 발표된 18편의 논문들을 메타분석에 인용하였다. GSTM1/GSTT1 유전자의 null, present 유형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인구에서 GST 다형성과 자가면역질환 사이에 연관성이 발견되었다(GSTM1, OR=1.334, 95% CI=1.137-1.567, p=0.000, GSTT1, OR=1.212, 95% CI=1.012-1.452, p=0.037). 아시아인종에서 자가면역질환, 특히 vitiligo와 아토피 피부염(p<0.05)에서 GSTM1 유전자와의 연관성이 있었고, RA와 SLE에서 GSTT1 유전자와의 연관성은 없었다(p>0.05). GSTM1 null 유형과 GSTT1 present 유형은 아시아인종에서 자가면역질환과 연관이 있었다(p<0.05). 자가면역질환과 GSTM1-GSTT1 다형성 조합 null 유형의 빈도는 대조군보다 높았다. 이와 같이, GSTM1-GSTT1 다형성 조합 null 유형이 아시아인종에서 자가면역질환의 위험 인자가 될 수 있다.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항산화 효소 유전자들의 발현 특징 (Transcriptional Response of Major Antioxidant Enzyme Genes to Heat Stress i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 조영선;이상윤;방인철;김동수;남윤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7-165
    • /
    • 2006
  • 우리나라 주요 담수 어종인 미꾸라지를 ecotoxicogenomic 연구 모델 어류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어종이 고온 스트레스 자극에 노출되었을때 야기되는 산화성 스트레스를 검출하고자 항산화 효소(antioxidant enzyme; AOE)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주요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S-transferase (GST) 및 glutathione peroxidases (GPXs)의 transcript들을 특이적으로 정량화할 수 있는 semi-quantitative RT-PCR, real-time PCR 또는 northern blot분석을 통해 $23^{\circ}C$에서 $32^{\circ}C$까지 설정된 실험어의 간 조직내 AOE유전자들의 mRNA level을 분석하였다.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본 어종의 AOE들은 일반적으로 증가된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내었고, 특히 SOD (2배)와 plasma GPX (3배) 유전자가 가장 유의적인 mRNA 증가를 나타내었다. GST의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증가량을 나타내었고 CAT의 경우 고온자극에 반응하지 않았다. 본 어종은 $29^{\circ}C$ 이상에서 AOE 유전자의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고 $32^{\circ}C$에 노출되었을 때 1일째부터 SOD와 plasma GPX mRNA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저온조건에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지방체 유전자 발현 변화 (Transciptomic Analysis of Larval Fat Body of Plutella xylostella under Low Temperature)

  • 김광호;이대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6-306
    • /
    • 2019
  • 온도는 곤충의 발달, 성장, 생식에 중요한 요인이며, 또한 곤충의 생존에 직접적 관련있는 물리적 요인이다. 변온동물인 곤충은 생존을 위해 기후변화에 반응을 해야 하며, 저온과 같은 취약한 환경하에서도 다양한 생존전략을 발달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저온에 대한 적응에 기여하는 유전자를 동정하기 위해 배추좀나방 유충의 지방체를 저온과 상온에 노출시켜 전사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온전사체에서는 chitinase, 표피단백질, Hsp23, chytochrome, Glutathione S transferase, phospholipase 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 반면,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UDP-당전이효소, trehalase, trehalose transporter는 오히려 발현이 감소하였다. 저온에 곤충이 노출되었을 때, 대사중심인 지방체의 유전자 발현의 변화가 곤충의 온도 적응을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화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로 형질 전환된 현삼의 내병성 특성 (Pathogene Resistance of cotton GST cDNA in Transgenic Scrophularia buergeriana Misrule)

  • 강원희;임정대;이성호;유창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97-304
    • /
    • 2001
  • 현삼의 기내배양에서 TDZ처리가 비교적 재분화에 효율적이었고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발하기 위하여 선발표지 유전자로 사용되는 NPTII gene이 항생제 kanamycin에 대한 저항성은 50 mg/L가 적당하였다. 선발배지에서 자란 현삼 식물체에서 DNA를 추출하여 PCR 분석을 통하여 특정 유전자 Gh-5 gene을 검정한 결과 형질전환되지 않은 식물체에서는 볼수가 없는 988 bp의 band가 형질전환된 식물체에서는 관찰되어 GST 유전자가 현삼의 염색체 안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효율 증진을 위하여 선발과정에서 암상태를 30일까지 유지할 경우 높은 형질전환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처리는 오히려 형질전환 효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5).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GST의 활성이 형질전환 되지 않은 식물체의 2배로 나타났고 유도체의 적정 처리 농도는 50$\mu$M이며 유도체 처리 시간에 따라서는 12시간까지는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그 이상의 시간에서는 활성이 저하됨이 확인되었다. Fungus 피검균인 Asperigillus awamori에서 6, 12시간 처리 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그 이상의 시간처리에서는 명확한 균사 억제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특히 12시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Cladosporium herbarum에서 형질전환된 식물체의 활성이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6시간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피검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는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6, 12시간 처리에서 비슷하게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다. 박테리아 피검균 Bacillus subtillis에서는 50$\mu$M 이하의 유도체 처리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일반인구에서 유전자 다형성이 요중 1-hydroxypyrene 및 2-naphthol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enetic Polymorphisms on Urinary Excretion of 1-Hydroxypyrene and 2-Naphthol)

  • 황문영;조병만;문성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99-511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enetic polymorphisms, such as glutathione S-transferase ${\mu}1(GSTM1)$, glutathione S-transferase ${\Theta}1\;(GSTM1)$, glutathione S-transferase ${\pi}l (GSTP1)$, aryl hydrocarbon N-acetyltransferase 2 (NAT2), cytochrome P450 2E1 (CYP2E1), cytochrome P450 1A1 (CYP1A1) on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1-hydroxypyrene (1-OHP) and 2-naphthol in general population with no occupational exposure to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Study subjects were 257 men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in Susan. A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detailed data about age, smoking, drinking, body fat mass, intake of fat etc. Urinary l-OHP and 2-naphthol concentration were analyzed by HPLC system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A multiplex PCR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genotypes for GSTM1 and GSTT1. The polymorphisms of GSTP1, NAT2, CYP1A1 and CYP2E1 were determined by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method. Urinary 1-OHP concentration was higher in deleted genotype of GSTM1, increased as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increased. Urinary 2-naphthol concentration was also rely on the age and smoking. Neither genetic polymorphism nor drinking-related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urinary 2-naphthol concentration.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s of urinary PAHs metabolites in the subjects, but the geometric mean of urinary 1-OHP and 2-naphthol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higher value compared to median value. These data suggest that in general population occupationally not exposed to PAHs, urinary concentration of PAHs metabolites is influenced by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deleted genotype of GSTM1 in 1-OHP and smoking in 2-naphthol.

한국인 구강 편평세포암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와 CYP1A1 유전자의 다형성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CYP1A1 GENES IN KORE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차인호;권종진;박광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8권5호
    • /
    • pp.364-371
    • /
    • 2002
  • Many chemical compopunds are converted into reactive electrophilic metabolites by the oxidative(Phase I) enzymes, which are mainly cytochrome P-450 enzyme(CYPs). Phase II conjugating enzymes, such as glutathione S-transferase(GST), usually act as inactivation of enzymes. Genetic polymorphisms have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susceptibility to cancer of the lung, bladder, breast and colorectal. Many of the polymorphic genes of carcinogen metabolism show considerably different type of cancer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as well as individuals within the same group. The aim of this study is (1) to establish the frequencies of genetic polymorphisms of GSTM1 and CYP1A1 in Kore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CC), (2) to associate oral SCC with the risk of these genetic polymorphisms.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GSTM1 and the CYP1A1 genes among 50 Korean oral SCC were analyz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omozygote and the mutant type of CYP1A1 MspI polymorphisms may be associated with genetic susceptibility to oral SCC in Korean. A combination of the GSTM1 null type with the homozygote(m1/m1), and the mutant(m2/m2) type of CYP1A1 MspI polymorphisms showed a relatively high risk of oral SCC in Korean. In the smoking group, the GSTM1 wild genotype may be the high risk factor of oral SCC in Korean. These data coincide with the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different susceptibility to cancer of genetic polymorphisms exist among different ethnic group and different types of human cancer.

HL6O 세포주의 분화 시 감소 특성을 보이는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클로닝 (Cloning of a Glutathione S-Transferase Decreasing During Differentiation of HL60 Cell Line)

  • 김재철;박인규;이규보;손상균;김문규;김정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51-157
    • /
    • 1999
  • 목적 : HL60 세포주에서 PMA(phorbol 12-myrisate 13-acetate) 및 DMSO(dlmethyisulfoxlde) 에 의해 분화가 유도될 때 감소되는 특성을 보이는 K872 클론에 대한 염기 서열, 조직 분포, 단백 분리 등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QIA plasmid extraction kit(Qiagen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사람의 모유두 세포 pBluescript phagemid cDNA library로부터 K872 클론을 추출하였다. Sanger's dideoxy nucleotide chain-termin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추출한 K872 클론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BLAST(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s) 프로그램으로 유전자은행의 염기 서열과의 상동성을 검색하였다. K872 클론으로 만든 probe로 다양한 인간 조직 및 암세포주로부터 분리한 RNA에 대하여 nothern blot을 시행하였다. His-Patch Thifusion expression system을 이용하여 대장균 배지에 0.1mM IPTG(Isopropyl-$\beta$-thlogalactopyranoslde) 를 첨가해서 결합단백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였다. 결합단백이 함유된 용출액을 SDS-PAGE에 걸어서 발현된 단백을 확인하였다. 결과 : K872 클론은 675개의 코딩 영역과 280개의 코딩과 관련없는 영역으로 구성된 1006개의 염기로 구성됨을 관찰하였다. 해독틀로 추정되는 부분은 시작 코돈을 포함하여 길6개의 아미노산을 형성하고 단백 산물의 분자량은 25,560 Da으로 추정되었다. 추정 아미노산 배열은 쥐의 glutathlone S-transferase kappa 1(rGSTKl) 의 아미노산 배열과 70$\%$의 상동성을 보였다. nothern blot에 따른 발현 양상은 심장, 수의근, 말초혈액 백혈구 등의 조직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방사선 내성과 관련지어 볼 때 대장암 및 흑색종 세포주에서 발현이 높았던 점은 특기할 만하였다. 결론 : 상동성 검색 결과 K872 유전자는 항암제 및 방사선 내성과 관련이 있는 rGSTK1에 대한 사람의 상동유전자로 사료되며 향후 이와 관련한 기능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건강한 성인의 glutathione S-transferase M1과 T1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한식에서의 식물성 식품군과 한식의 DNA 손상 감소 효과 (Effects of lymphocyte DNA damage levels in Korean plant food groups and Korean diet regarding to glutathione S-transferase M1 and T1 polymorphisms)

  • 김현아;이민영;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10-24
    • /
    • 2017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glutathione S-transferase (GST)M1 및 T1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한식에서 주로 섭취하는 식물성 식품군과 한식 식단의 DNA 손상 감소효과를 측정하여 유전적 민감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59명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GST genotype을 분류하였으며 그 중 17명을 선발하여 DNA 손상 감소효과를 Come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DNA damage relative score로 나타냈다. 제 5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한국인이 많이 섭취하는 식물성 식품을 10가지 식품군 (감자류, 견과류, 곡류, 과일류, 김치류, 두류, 버섯류, 오일류 채소류 해조류)으로 분류 후, 각 식품군별 총 섭취량의 1% 이상을 섭취한 84종의 식품을 한식 식물성 식품으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한식 식단 (Korean diet)은 한국영양학회에서 발행한 [2010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1주일 표준식단 (2,000 kcal/day)을 사용하였다. GSTM1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한식 식물성 식품군의 Tail moment로 본 DNA 손상 감소효과는 곡류와 오일류에서만 GSTM1 wild type보다 mutant type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비해 DNA 손상 감소 효과를 % DNA in tail과 Tail moment로 본 결과, 견과류 과일류 채소류 버섯류 김치류 해조류에서 GSTT1 mutant type에 비해 wild type에서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GSTM1과 GSTT1의 combined genotype에 따라 한식 식물성 식품의 DNA 손상 감소효과를 본 결과, 과일류, 김치류, 버섯류, 채소류, 해조류는 1군 (GSTM1+/GSTT1+) 및 3군 (GSTM1-/GSTT1+)에서, 오일류는 3군 (GSTM1-/GSTT1+)에서 DNA 손상 감소 효과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감자류, 견과류, 곡류, 두류, Total은 DNA 손상 감소 효과가 2군 (GSTM1+/GSTT1-) 및 3군 (GSTM1-/GSTT1+)에서 유의하게 높아 식품군에 따라 GS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DNA 손상 감소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식 식단은 DNA 손상의 세 가지 지표인 % DNA in tail, Tail moment, Tail length로 측정해본 결과 GSTM1의 경우 wild type에서 mutant type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GSTT1의 경우는 genotype에 따라 DNA 손상이 달라지는 경향은 있었지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한식에서 주로 섭취하는 식물성 식품군에서는 식품에 따라 부분적으로 GSTM1은 mutant type에서, GSTT1은 wild type에서 DNA 손상 보호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GSTM1과 GSTT1의 combined genotype에 따른 DNA 손상 보호효과는 식품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한식 식단에서는 DNA 손상 보호효과가 GSTM1 wild type에서 mutant type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GSTT1 genotype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식 식물성 식품군 및 식사패턴의 항산화 기능 우수성을 증명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나아가 개인별 유전자에 따른 항산화 맞춤영양연구를 시작하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GS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한식과 한식 식물성 식품군의 유전적 민감도를 더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대상 인원을 늘려 수행하는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