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fosinate-ammonium S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고추 밭 잡초 관리를 위한 제초제 체계 처리법 개발 (Study for Sequential Application of Herbicide to Establish an Efficient Weed Control in Red Pepper Field)

  • 민이기;소윤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13-218
    • /
    • 2016
  • 고추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잡초 방제를 위한 약제처리 체계와 약제 살포 방법을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제초제를 2회 체계 처리 방법이 효율적이었다. 1) 바랭이가 우점하는 포장에서는 잡초 발아 전 토양 처리제인 pendimethalin를 정식 후에 1차 처리하고 약 20~30일 후 바랭이가 3~5엽기일 때 화본과 선택성 제초제 fluazipfop-P-butyl EC와 pendimethalin EC를 혼용하여 2차 체계 처리를 하면, 2차로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를 살포할 경우와 비교하여 약해의 우려 없이 80일간 효율적으로 잡초를 방제 할 수 있었다. 2) 화본과 잡초 외에 방동사니과와 광엽잡초들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과 토양 처리제 pendimethalin EC를 혼용해서 잡초 초장이 20 cm 정도 자랐을 때 1차 처리하고, 30일 후 다시 잡초가 재생하여 20 cm 이하로 자랐을 때 glufosinate-ammonium SL을 2차로 체계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3)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의 휴간 처리 시 약액의 비산에 의한 고추 약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추 초장이 18 cm 정도로 낮을 경우(정식 20일 후) 약제살포 노즐의 높이를 15 cm 이하로 하여 살포하면 약해는 거의 없었다. 정식 후 40일경에는 고추 초장이 40 cm 이상인 경우 살포 높이를 30 cm 이하로 조절하여 처리하는 것이 약해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이 제초효과 및 과실생산에 미치는 영향 (Weed Control Efficacy and Production of Fruit according to Several Weed Control Methods in an Apple Orchard)

  • 장일;강지은;김향미;박용석;이정득;서상재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04-110
    • /
    • 2015
  •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제초효과 및 과실 생산량, 약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시험처리는 부직포피복구, 초생재배구, 기계제초구, 제초제(GFA, Glufosinate ammonium SL 18%) 2회 및 3회 처리구와 무처리구를 두어 200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반복실험하였다. 시험 결과 처리별 방제효과는 부직포피복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GFA 3회 처리 98.7%, 기계예초 95.1%, GFA 2회 처리 81.5%, 초생재배 5.8% 순이었다.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과실 생산량은 GFA 3회 처리 27.2 Kg으로 시험구 중 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GFA 2회 처리 26.2 Kg, 기계제초구 25.3 Kg, 부직포피복구 24.1 Kg, 초생재배구 20.4 Kg, 무처리 13.3 Kg 순이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잎, 과실에서 약해 발생은 없었다.

충북지역 포도원 잡초방제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ield and the Grape Growth each of Weed Control Methods on at the Vineyard in Chungbuk Province)

  • 이기열;김선국;이재웅;이윤상;이석호;홍의연;박용석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26
    • /
    • 2013
  • 본 시험은 충북지역 포도원 잡초방제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1년까지 포도연구소(충북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소재)에서 3년생 캠벨얼리가 구당 2주가 식재된 포도원에서 18개 구획(구획당 가로 3.5 m, 세로 5.5 m)에서 수행되었다. 제초제처리구는(Glufosinate ammonium SL 18.0%, Paraquat dichloride SL 23.1%)를 각각 3회 살포, 부직포 피복구, 들묵새 초생재배구, 기계제초구(3회), 무처리구로 포도의 생육 및 수량 및 7~8월 우점잡초와 처리별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잡초는 총 16종으로 생육초기인 5월 하순경에는 명아주, 크로버가 우점하였고, 생육중기인 7월 중순에는 망초, 피, 명아주가 우점하였으며 생육후기에도 망초, 피, 명아주가 우점하였다. 3차 방제 후 10일차 방제효과는 부직포 100%, 들묵새 95.3%, 기계제초 81.9%, glufosinate ammonium 가 98.1%, paraquat dichloride 처리가 90.4%로 나타났다. 캠벨얼리의 생육은 주간경, 절간장, 절간경, 엽장, 엽폭 그리고 신초장을 개화전과 수확 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제초제 처리구와 기계제초구에서 전반적으로 생육이 좋았다. 수량은 1주당 glufosinate ammonium, paraquat dichloride 3회 처리구에서 각각 12.7 kg, 12.3 k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제초제가 줄지렁이 치사에 미치는 영향평가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Some Herbicides on Mortality of Earthworm (Eisenia fetida))

  • 나영은;방혜선;한민수;안용준;윤성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92-395
    • /
    • 2006
  • 농경지에 과거에 사용했거나 사용 중인 9종의 제초제가 농경지에 서식하는 지렁이에게 악영향이 있는지 알기위하여 추천사용량, 2배량 및 4배량을 기준으로 토양표토처리법, 침지법, 여지접촉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토양표토처리법에서 처리양과 제초제 종류와 관계없이 무처리와 비교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침지법의 4배량에서 phamid WP는 34%, alra EC는 64%의 치사율을 나타냈고, 여지접촉법의 추천사용량에서 phamid WP는 33%, 2배량에서 phamid WP는 37%, alra EC는 80%, triclopyr EC는 10%, 4배량에서 phamid WP는 96%, alra EC는 80%, triclopyr EC는 37%, glyphosate SL는 47%, Paraco SL는 37%, pyributicarb WP는 10%, Glufosinate-ammonium SL는 33%의 지렁이 치사율을 나타냈다.

배 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에 따른 제초효과와 배나무생육 (Weed Control Efficacy and Growth of Pear Tree according to Several Weed Control Method in Pear Orchard)

  • 장일;김향미;박용석;이정득;김성민;최진호;이중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3-29
    • /
    • 2013
  • 일반적으로 과수원에서는 배의 생육기 동안 제초방법에 따라 연간 2~4회정도 제초하게 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잡초방제 방법 중 제초제 사용이 가장 생력적이고,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것이 사실이나 장기적인 측면에서 생태적 및 생물적 잡초방제를 할 필요가 있다고 하여 배 과원에 비선택성 제초제 GLU 540 g a.i. $ha^{-1}$를 매년 2회, 3회 처리, 부직포, 기계 예취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최적의 잡초방제방법을 구명하고 방제방법이 과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 과원에서는 주름잎, 쑥, 갈퀴덩쿨, 쇠뜨기, 뚝새풀 등이 생육기 중 우점하였다. 처리방법에 따른 방제효과는 생육초기 1번 부직포 피복처리가 시기와 상관없이 방제효과가 100%로 가장 높았으며 GLU 540 g a.i. $ha^{-1}$ 3회 처리, GLU 540 g a.i. $ha^{-1}$ 2회 처리, 기계 예취 순으로 잡초방제가가 높았다. 수관 하부 제초방법에 따른 수체 생육은 GLU 540 g a.i. $ha^{-1}$ 2회, 3회 살포한 처리에서 간주비대량과 신초의 생장량이 높고, 신초의 발생개수가 많았으며 부직포 피복, 기계 예취, 무처리와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GLU 540 g a.i. $ha^{-1}$를 3회 처리하여 시기별 방제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6월보다 8월에서 방제효과가 증대되었다. 잡초방제 방법차이 및 제초제 2회 처리와 3회 처리 간의 차이는 없었다. 시험기간 동안 제초제 처리에 따른 배나무에 약해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뽕밭에서 발생하는 잡초 양상 (The Weed Flora of Korean Mulberry Fiel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송희근;서현아;최경미;지상덕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85-94
    • /
    • 2015
  • 소면적으로 재배하고 있는 뽕밭의 문제잡초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경기 수원, 전북 부안을 중심으로 2014년 5월, 7월, 9월에 3회에 걸쳐 뽕밭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였다. 뽕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7과 153초종으로 국화과 37종, 벼과 17종, 마디풀과 14종, 메꽃과 10종, 배추과 8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68종, 월년생 39종, 다년생 46종이었다. 지역별 발생잡초를 보면, 수원에서는 31과 91초종, 전주는 19과 50초종, 그리고 부안에서는 32과 114초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개망초, 흰명아주, 돌피, 깨풀, 닭의장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44초종으로 전체의 28.8%를 점유하였으며, 개망초, 흰명아주, 미국 자리공, 망초 순으로 우점도가 높았다. 특히 외래잡초 중 개쑥갓은 미국, 캐나다, 독일 등에서 트리아진계 제초제 저항성 잡초로 일부 농가에서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루포시 네이트암모늄액제에도 방제가 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발생한 잡초를 대상으로 PCA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 뽕밭을 대표하는 잡초군락은 한련초 군락과 쇠별꽃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