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e injec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Endoscopic ultrasound-guided coiling and glue is safe and superior to endoscopic glue injection in gastric varices with severe liver disease: a retrospective case control study

  • Kapil D. Jamwal;Rajesh K. Padhan;Atul Sharma;Manoj K. Sharma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1호
    • /
    • pp.65-74
    • /
    • 2023
  • Background/Aims: Gastric varices (GV) are present in 25% of cirrhotic patients with high rates of rebleeding and mortality. Data on endoscopic ultrasound (EUS)-guided treatment in severe liver disease (model for end stage liver disease sodium [MELD-Na] >18 and Child-Turcotte-Pugh [CTP] C with GV) are scarce. Thu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omparison of endoscopic glue injection with EUS-guided therapy in cirrhotic patients with large GV.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the tertiary hospitals of India. A total of 80 patients were recruit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gastroesophageal varices type 2, isolated gastric varices type 1, bleeding within 6 weeks, size of GV >10 mm, and a MELD-Na >18. Treatment outcomes and complications of endoscopic glue injection and EUS-guided GV therapy were compared. Results: In this study, the patients' age, sex, liver disease severity (CTP, MELD-Na) and clinical parameters were comparable. The median number of procedures, injected glue volume, complications, and GV obturation were better in the EUS group, respectively. On subgroup analysis of the EUS method (e.g., direct gastric fundus vs. paragastric collateral [PGC] coil placement), PGC coil placement showed decreased coil requirement, less injected glue volume, decreased luminal coil extrusion, and increased successful GV obturation. Conclusions: EUS-guided treatment is more efficient and safer, and requires a smaller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as compared to endoscopic treatment in severe liver disease patients with large GV. Furthermore, PGC coil placement increases the complete obliteration of GV.

Dural Arteriovenous Fistula of Jugular Foramen with Subarachnoid Hemorrhage : Selective Transarterial Embolization

  • Byun, Jun-Soo;Hwang, Sung-Nam;Park, Seung-Won;Nam, Taek-Ky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5권3호
    • /
    • pp.199-202
    • /
    • 2009
  • We report the case of a 64-year-old man with dural arteriovenous fistula (DAVF) at right jugular foramen, presented as subarachnoid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The malformation was fed by only the neuromeningeal trunk of the right ascending pharyngeal artery and drained into the right lateral medullary veins craniopetally. Complete embolization was attained by selective transarterial glue injection, but patient showed lower cranial neuropathies. A 3-month follow-up angiogram still showed persistent fistula occlusion. Transarterial glue embolization is a feasible method, only if a transvenous access is not possible in case of single channel fistula.

Successful Management with Glue Injection of Arterial Rupture Seen during Embolization of an Arteriovenous Malformation Using a Flow-Directed Catheter: A Case Report

  • Jong Won Hong;Seung Kug Baik;Mi Jung Shin;Han Yong Choi;Bong Gi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1권4호
    • /
    • pp.208-211
    • /
    • 2000
  • We present a case in which an arterial rupture occurring during embolization of an arteriovenous malformation of the left occipital lobe with a flow-directed microcatheter, was successfully sealed with a small amount of glue. We navigated a 1.8-Fr Magic catheter through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and during superselective test injection, extravasation was observed at the parieto-occipital branch. The catheter was not removed and the perforation site was successfully sealed with a small amount of glue injected through the same catheter. Prompt recognition and closure of the perforation site is essential for good prognosis.

  • PDF

기관 스텐트 삽입과 히스토아크릴 주입법으로 치료한 식도 누공 1례 (A Case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Treated by Bronchial Stent Insertion and Endoscopic Histoacryl Injection)

  • 오동준;조주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21-23
    • /
    • 2014
  • 식도암으로 인한 기관지 식도 누공 환자는 음식물을 섭취하면 누공을 통하여 기관지로 음식물이 흡입되어 폐렴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전신쇠약이 동반되고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식도암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기관지 식도 누공의 내시경적 치료는 환자에게 경구 섭취를 가능하게 하고,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장기간의 효과 지속성이나 재발에 관하여는 만족스러운 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향후 새로운 내시경 치료법의 개발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Urgent Intracranial Carotid Artery Decompression after Penetrating Head Injury

  • Kim, Seong Joon;Park, Ik Se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3권3호
    • /
    • pp.180-182
    • /
    • 2013
  • We describe a case of intracranial carotid artery occlusion due to penetrating craniofacial injury by high velocity foreign body that was relieved by decompressive surgery. A 46-year-old man presented with a penetrating wound to his face. A piece of an electric angular grinder disc became lodged in the anterior skull base.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that the disc had penetrated the unilateral paraclinoid and suprasellar areas without flow of the intracranial carotid artery on the lesion side. The cavernous sinus was also compromised. Removal of the anterior clinoid process reopened the carotid blood flow, and the injection of glue into the cavernous sinus restored complete hemostasis during extraction of the fragment from the face.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revealed complete recanalization of the carotid artery without any evidence of dissection. Accurate diagnosis regarding the extent of the compromised structures and urgent decompressive surgery with adequate hemostasis minimized the severity of penetrating damage in our patient.

컴포넌트 재사용을 지원하는 컴포넌트 모델 및 프레임워크 (A New Component Model and Framework for Reuse of Components)

  • 임윤선;김명;정승남;정안모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12호
    • /
    • pp.1011-1020
    • /
    • 2007
  • 독립적으로 개발된 상용 컴포넌트들을 소스 코드 수정 없이 조립하여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포넌트간 인터페이스 불일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컴포넌트 모델 및 조립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컴포넌트 모델은 각 컴포넌트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위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는 대신 서비스 요청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독자적으로 정의하여 내장하고 이를 메타데이타로 노출한다. 조립 시에는 컴포넌트들의 요청 및 서비스 제공 인터페이스에 대한 메타데이타를 읽어 글루 컴포넌트 템플릿 코드를 자동 생성하여 인터페이스 정합에 필요한 중재 코드를 삽입하는 구조이다. 또 프레임워크에서 컴포넌트들에 대한 인스턴스를 관리하고 런타임시 의존성 주입 방식으로 조립을 수행하며, 글루 컴포넌트를 미들웨어 서비스 포인트 및 실시간 모니터링 포인트로 활용하는 방안도 제안한다. 이와 한께 본 논문은 제안한 컴포넌트 모델에 따르는 컴포넌트를 개발하고 조림하는 도구를 구현하여, 실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소화기 종양에 대한 내시경적 완화치료 (The Role of Endoscopic Interventions in Palliative Care for the Gastrointestinal Tumors)

  • 김혜강;정대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1-4
    • /
    • 2014
  • Palliative care for cancer aims to relieve the discomfort and pain from the cancer itself and associated conditions. Gastrointestinal cancers originate from the tube like structure of gastrointestinal tract and cause complications such as obstruction, bleeding, adhesion, invasion, and perforation to adjacent organ. Recent advances in interventional endoscopy enables endoscopy physicians to do safe and effective care for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Endoscopic palliation includes stent, hemostasis, nutritional support and targeted drug delivery. Self expandable metallic st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dalities in gastrointestinal palliation. Through the endoscopy or over the wire pre-placed by endoscopy, stents restore the gastrointestinal luminal patency and relieve the obstructive condition. Endoscopic hemostasis is another important palliation in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Epinephrine injection, argon plasma coagulation and thermal cauterization are usual modalities for hemostasis. Histoacryl glue and fibrin glue are also available. Hemostatic nanopowder spray is newly reported effective in benign disease and is supposed to be effective also in cancer bleeding. Enteral feeding tubes including gastro- or jejunostomy and nosoduodenal tubes are placed by using endoscopic guidance. Enteral feeding tubes role as the route of easily absorbable or semi-digested nutrients and effectively maintain both patients calorie requirements and gut microenvironment. Photodynamic therapy is the one of the outstanding medical employments of photo-physics. Especially for superficial cancers in esophagus, photodynamic therapy is very useful in cancer removal and maintaining organ structure. In biliary neoplasm, photodynamic therapy is well known to be effective in cancer ablation and biliary ductal patency restoration. Targeted drug delivery is the lastest issue in palliative endoscopy. Debates and questions are still on the table. In this article, the role of endoscopic interventions in palliative care for the gastrointestinal tumors will be thoroughly reviewed.

  • PDF

골수흡인물 농축액 및 기질유래연골형성 수술 이후 관찰된 거골의 골연골병변의 골유합: 증례 보고 (Bony Union of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after Bone Marrow Aspirate Concentrate and Matrix-Induced Chondrogenesis: A Case Report)

  • 송태훈;서진수;최준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48-153
    • /
    • 2023
  • Traditionally, arthroscopic microfracture and autologous osteochondral autograft transplantation have been the primary surgical treatments for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On the other hand, recent advancements have introduced alternative approaches, such as autologous chondrocyte transplantation, matrix-derived autologous chondrocyte transplantation, intra-articular injection of concentrated bone marrow aspirate concentrate, and the use of fibrin glue to address chondral defects. Furthermore, some studies have explored a combination of bone marrow aspirate and matrix-derived chondrogenesis. In light of these developments, this report presents a case study of a young male patient in his early twenties with a relatively large osteochondral lesion exceeding 1.5 cm2 on the medial talar dome. Instead of removing the osteochondral lesion, a surgical approach was employed to retain the lesion while addressing the unstable cartilage in the affected area. This approach involved a combination of bone marrow aspirate concentrate and matrix-derived chondrogenesis. The treatment yielded favorable clinical outcomes and ultimately successfully induced the bony union of osteochondral lesions. This paper reports the author's experience with this innovative approach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슬러지의 인자 확인 및 형성 방지법의 제안 (Study of the Sludge Formation Mechanism in Advanced Packaging Process and Prevention Method for the Sludge)

  • 김지원;제갈석;김하영;김민상;김동현;김찬교;추연룡;이능히;윤창민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1호
    • /
    • pp.35-4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정 중에 배관과 드레인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형성 인자 및 메커니즘을 확인하고 계면활성제를 활용한 슬러지 방지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정은 기존의 컨벤셔널 패키징 공정과 다르게 전공정(Fabrication)에서 진행되는 공정들이 동일하게 적용되기에 폐액이 발생할 수 있는공정들이 다수 존재한다. 상세히는, 캐리어 웨이퍼 본딩, 포토, 현상, 및 캐리어 웨이퍼 디본딩 공정에서 다량의 폐액들이 발생하게 된다.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정의 폐액에서 슬러지가 형성되는 주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6종의 화학 소재들인 Bonding glue, HMDS, Photoresist, PR developer, Debonding cleaner 및 수분을 활용하여 혼합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검은색의 고체 슬러지가 형성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HMDS의 가수화/탈수 반응을 통한 Sludge seed의 제공 및 PR과의 소수성-소수성 결합을 통해 슬러지가 성장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슬러지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3종의 계면활성제들인 CTAB, PEG 및 샴푸를 슬러지의 주요 인자들과 함께 혼합한 결과, 슬러지가 형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계면활성제의 탄소꼬리들이 PR과 소수성-소수성 결합하여 HMDS 기반의 Sludge seed와의 반응 및 슬러지의 형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면활성제의 드레인 투입을 통해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슬러지의 형성 억제를 진행하여 드레인과 배관에서의 막힘과 같은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토의 급성 뇌경색에서 관류 및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Acute Cerebral Infarction in a Rabbit Model: Perfusion and Diffusion MR Imaging)

  • 허숙희;임남열;정광우;윤웅;김윤현;정용연;정태웅;김정;박진균;강형근;서정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7권2호
    • /
    • pp.116-123
    • /
    • 2003
  • 목적 : 가토 모델을 이용한 급성 허혈성 뇌경색에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과 관류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여섯 마리의 순계 가토의 경동맥에 히스토아크릴글루와 리피오돌 및 텅스텐 파우더를 동맥내 주입하여 뇌경색을 유발한 후 1시간 내에 고식적인 T1 및 T2 강조영상, 그리고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과 관류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하였다. 관류자기공명영상은 측내실 수준과 대뇌기저핵의 1cm 상방에서 각각 얻었고, 이 영상을 특수 영상 소프트웨어로 후처리하여 뇌혈류 용적 , 뇌혈류양 및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을 포함한 관류 영상을 획득하였다. 뇌경색 부위는 각각의 관류 지도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으로 평가하였다. 뇌경색 부위와 반대편 정상 부위에서 조영제 평균 통과시간 차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 모든 가토에서 T2 강조영상상 비정상 신호강도는 없었으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고신호강도의 뇌경색 병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적 뇌혈류용적, 뇌혈류양 및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을 포함한 관류자기공명영상에서 모두 관류 결손을 인지할 수 있었다. 뇌혈류양과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관류결손지역으로 나타난 면적의 비교는 6예 중 4예에서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가 뇌혈류양 지도보다 면적이 크게 나왔으며, 2예는 같았다.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의 관류결손 면적이 뇌혈류양 지도보다 작게 나온 경우는 없었다. 또한 뇌혈류양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병변의 면적보다 3예에서 넓게 나타났고, 3예에서 같게 나타났다.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병변의 면적보다 모두 크게 나타났다.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이 뇌혈류양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보다 크면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와 같은 경우가 3예, 뇌혈류양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이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와 같으며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가 3예, 그리고 평균 조영제 통과시간 지도에서 병변의 면적이 뇌혈류양 지도의 병변의 면적보다 크면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면적이 가장 적은 경우가 1예 있었다. 결론 :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과 관류자기공명영상은 가토에서 초급성 뇌경색을 진단하고 뇌혈류 역학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