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se addition

검색결과 1,566건 처리시간 0.028초

선인장색소 및 유산나트륨이 저 아질산염 소시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Pigment and Sodium Lactate on Nitrite-reduced Sausages)

  • 강종옥;이상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551-5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손바닥선인장 색소 및 유산나트륨이 저 아질산나트륨 소시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아질산염을 부분 대체(저감화)하고자 소시지를 제조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천연 폴리페놀이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 색소 첨가에 따른 소시지의 혈액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항목은 소시지의 적색도(a*), 총세균수, pH, 보수력, 조직분석, 관능검사, 쥐의 증체량 및 혈당이었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항목은 TBA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total, LDL, HDL) 및 중성지방이었다. 즉 TBA 값은 대조구에서,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처리구에서 각각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그러나 처리구 중에서는 T2(30 ppm of nitrite+2% of sodium lactate+0.2% Opuntia ficus indica pigment)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30 ppm의 아질산나트륨, 2%의 유산나트륨, 0.2%의 손바닥선인장 색소의 혼합사용은 아질산나트륨의 통상 첨가량 100ppm(잔존량 70 ppm 이하)을 30ppm으로 줄여도 발색, 저장성 및 풍미에는 별문제가 없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혈중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이 감소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Reductive acetogens isolated from ruminants and their effect on in vitro methane mitigation and milk performance in Holstein cows

  • Kim, Seon-Ho;Mamuad, Lovelia L;Islam, Mahfuzul;Lee, Sang-Su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1호
    • /
    • pp.1-13
    • /
    • 202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in vitro and in vivo effects of reductive acetogens isolated from ruminants on methane mitigation, and milk performance, respectively. Four acetogens, Proteiniphilum acetatigenes DA02, P. acetatigenes GA01, Alkaliphilus crotonatoxidans GA02, and P. acetatigenes GA03 strains were isolated from ruminants and used in in vitro experiment. A control (without acetogen) and a positive group (with Eubacterium limosum ATCC 8486) were also included in in vitro experiment. Based on higher acetate as well as lower methane producing ability in in vitro trial, P. acetatigenes GA03 was used as inoculum for in vivo experiment. Holstein dairy cows (n = 14)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viz. control (without) and GA03 group (diet supplied with P. acetatigenes GA03 at a feed rate of 1% supplementation). Milk performance and blood parameters were checked for both groups. In in vitro,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s and acetate production were higher (p < 0.05) in all 4 isolated acetogens than the control and positive treatment. Also, all acetogens significantly lowered (p < 0.05) methane production in comparison to positive and control groups however, GA03 had the lowest (p < 0.05) methane production among 4 isolates. In in vivo, the rate of milk yield reduction was higher (p < 0.05) in the control than GA03 treated group (5.07 vs 2.4 kg). Similarly, the decrease in milk fat was also higher in control (0.14% vs 0.09%) than treatment. The somatic cell counts (SCC; ×103/mL) was decreased from 128.43 to 107.00 in acetogen treated group however, increased in control from 138.14 to 395.71. In addition, GA03 increased blood glucose and decreased non-esterified fatty acid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solated acetogens have the potential for in vitro methane reduction and P. acetatigenes GA03 strain could be a candidate probiotic strain for improving milk yield and milk fat in lactating cows with lowering SCCs.

일반감자와 유색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neral and Colored Potato)

  • 장혜림;홍주연;김남조;김민하;신승렬;윤경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44-150
    • /
    • 2011
  • 우리나라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일반감자 '수미'와 일반감자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유색감자 6종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성분 및 환원당,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무기질 그리고 색도를 측정하였다. '수미'는 유색감자에 비해 수분 함량이 높았으며, 탄수화물은 '레드'가 18.0%로 감자 중 가장 많았고, 조회분 함량은 모든 유색감자가 '수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단백, 조지방 함량은 '자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섬유 함량은 '블루'가 1.6%로 가장 높았고, 그 함량은 '수미'의 2배였다. 환원당 함량은 유색감자 중 '로즈'와 '블루'가 '수미'의 3배 이상이었으며, fructose와 glucose가 대부분인 '수미'에 비해 유색감자는 sucrose의 함량이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rginine, ${\gamma}$-aminobutyr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유리당은 품종 간 그 함량과 조성이 매우 다양했다. 또한 유기산 함량은 '하령'이 $507.1mg{\cdot}100g^{-1}$으로 가장 높았으며, 무기질은 모든 감자에서 칼륨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Hunter 'L' value는 '자서'에서,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 value는 '블루'와 '자심'에서 높았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b' value는 단면이 노란색을 띄는 '하령'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유색감자는 '수미'에 비해 많은 양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우수한 품질 특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소재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허혈이 유발된 흰쥐 해마에서 Acetylcholine 유리에 미치는 Adenosine 수용체의 역할 (The Role of Adenosine Receptor on Acetylcholine Release from Ischemic-Induced Rat Hippocampus)

  • 최봉규;김도경;강헌;전재민;강연욱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7-138
    • /
    • 1996
  • The effects of adenosine analogues on the electrically-evoked acetylcholine(ACh) release and the influence of ischemia on the effects were studied in the rat hippocampus. Slices from the rat hippocampus were equilibrated with $0.1{\mu}M$ $[^3H]-choline$ and the release of the labelled product, $[^3H]-ACh$, was evoked by electrical stimulation(3 Hz, 2 ms, 5 $VCm^{-1}$ and rectangular pulses for 2 min), and the influence of various agents on the evoked tritiumoutflow was investigated. Ischemia(10 min with 95% $N_2$ + 5% $CO_2$) increased both the basal and evoked ACh release. These increases were abolished by glucose addition into the superfused medium, and they significantly inhibited either by 0.1 & $0.3{\mu}M$ TTX pretreatment or by removing $Ca^{++}$ in the medium. MK-801($1{\sim}10{\mu}M$), a specific NMDA receptor antagonist, and glibenclamide $(1{\mu}M)$, a $K^+-channel$ inhibitor, did not alter the evoked ACh release and nor did they affect the ischemia-induced increases In ACh release. However, polymyxin B(0.03 mg), a specific protein kinase C inhibitor,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ffects of ischemia on the evoked ACh release. Adenosine and $N^6-cyclopentyladenosine$ decreased the ACh release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ischemic condition, though the magnitude of inhibition was far less than those in normal(normoxic) condition. However, the treatment with $5{\mu}M$ DPCPX, a potent $A_1-adenosine$ receptor antagonist, potentiated the ischemia-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voked-ACh release is potentiated by ischemia, and this process being most probably mediated by protein kinase C, and that the decreased effect of ACh release mediated by $A_1-adenosine$ receptor is significantly inhibited in ischemic state.

  • PDF

저항성훈련이 흰쥐 골격근의 GLUT-4 단백질 및 LDH 동위효소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Skeletal Muscle GLUT-4 Protein and LDH Isozyme Expression in Rats)

  • 김연희;이상학;김종오;서태범;김영표;백경아;윤진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32-1540
    • /
    • 2011
  • 본 연구는 7주령의 S D계 흰쥐를 이용하여 12주 동안의 사다리 오르기 저항성 운동 수행 후 가자미근과 비복근 내 GLUT-4 발현량 및 LDH 동위효소들의 변화를 측정하여 당 대사 및 젖산 기전에 대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2주간의 사다리 오르기 저항성 운동은 체중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자미근 및 비복근 조직 GLUT-4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자미근 및 비복근 조직 LDHA B-type 동위효소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간의 저항성훈련은 체중의 감소와 골격근 내 GLUT-4의 증가 그리고 LDH A4 동위효소를 제외한 LDH B-type 동위 효소의 증가와 같은 신체조성의 균형과 당대사능력 및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휴식시간이나 운동 강도의 차이와 근형태별에 따른 유 무산소적 저항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따른 다양한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리, 약학적 관점에서 fibroblast growth factor 21 (FGF21)의 대사 효과 고찰 (The Metabolic Effects of FGF21: From Physiology to Pharmacology)

  • 송박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40-650
    • /
    • 2020
  • 간, 췌장 및 지방 조직에서 많은 수준으로 합성되는 섬유 아세포 성장 인자 21(FGF21)은 FGF19과 FGF23와 함께 FGF 패밀리의 비정형 구성원에 속해 있다. FGF21은 발현 조직에 따라 endo/paracrine특징을 보여주며, 포도당 대사 및 에너지 항상성을 포함하는 많은 종류의 대사 경로를 조절하고 있다.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많은 종류의 스트레스가 조직 별 FGF21의 합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고, 이렇게 증가한 FGF21은 위와 같은 스트레스에 적응하거나 방어하기 위한 세포 내 기전을 활성화 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및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PPARα)가 지방 및 간 조직에서 FGF21의 발현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전사 조절자로 알려져 있다. 지난 10년간의 연구를 통해 약리학적 FGF21 투여는 체중을 감소시키고 비만 마우스 및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 및 지단백질 프로파일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FGF21은 제 2 형 당뇨병, 비만 및 비 알콜 성 지방간 질환(NAFLD)의 치료제로서 큰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조직 별 상이한 FGF21 발현의 역설적 조건 및 생리 약학적 기능의 차이로 인해 FGF21의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수준에 있다. 따라서 본 총설을 통해 FGF21의 조직 특정 기능 및 해당 동작 메커니즘을 포함한 이전 연구들에서 발생하였던 흥미로운 문제를 논의하고, FGF21 아날로그를 이용한 임상 시험의 현 상황을 요약하고자 한다.

위령탕(胃苓湯) 추출물의 사람 유래 신장 메산지움 세포에서의 당뇨병성 신장 손상 개선 효과 (Wiryeongtang attenuates diabetic renal dysfunction in human renal mesangial cells)

  • 윤정주;한병혁;최은식;남궁승;정다혜;김혜윰;안유미;이윤정;강대길;이호섭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1-78
    • /
    • 2016
  • Objectives : Diabetic nephropathy is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and a leading cause of end-stage renal failure in the world. Mesangial cell proliferation is known as the major pathologic features such as glomerulosclerosis and renal fibrosis. Wiryeongtang (WRT) is a well-known traditional herbal formula as therapeutic agents for chronic edema and dysuresia of renal homeostasi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WRT inhibits high glucose (HG)-induced renal dysfunction by TGF-β/Smads signal regulation in cultured mesangial cells.Methods : Inhibitory effect of WRT (10-50 ㎍/ml) on HG-stimulated mesangial cells proliferation and dysfunction were evaluat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Western blot, and RT-qPCR.Results : WRT significantly decreased HG-accelerated thymidine incorporation in human renal mesangial cell in a dose-dependent levels. WRT induced down-regulation of cyclins/CDKs and up-regulation of CDK inhibitor, p21waf1/cip1 and p27kip1 expression. In addition, HG enhanced expression of dysfunction biomarker such as collagen IV and CTGF, which was markedly attenuated by WRT. WRT decreased TGF-β1 and Smad-2/Smad-4 expression, whereas increased Smad-7 expression under HG. Furthermore, WRT inhibited HG-induced inflammatory factors level such as ICAM-1 and MCP-1 as well as NF-κB p65 nuclear translocation and intracellular ROS production.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WRT may alleviate mesangial proliferation and inflammation possibly involved in renal fibrotic process, further diabetic nephropathy through disturbing TGF-β1/Smad signaling and NF-κB/ROS pathway. Thus, WRT might prove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renal dysfunction leading to diabetic nephropathy.

녹각 및 목이버섯의 젖산발효를 통한 GABA 생산 및 항염증활성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GABA production of old antler and Auricularia auricula-judae extract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 권순영;황기;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4-28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젖산발효를 통해서 얻어진 목이버섯과 녹각 추출액 혼합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녹각 추출액의 GABA생성 최적조건에서 probiotics 및 기능성 강화를 위해 목이버섯을 2.5% 첨가하여 $30^{\circ}C$에서 7일간 젖산발효를 하였다. 발효 7일 pH 5.06, 산도 0.77%로 나타났으며 $1.3{\times}10^8CFU/mL$로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고 GABA를 1.4%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이버섯을 첨가했을 때 젖산균 발효물의 물성이 개선되며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각 추출액의 젖산발효물의 세포 생존율을 실험한 목이버섯 2.5% 조건에서 발효 전 6 mg/mL에서 독성이 나타났으나 발효 후 독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 6 mg/mL 농도에서는 $5.58{\mu}M$로 발효 후 NO 생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각 추출액과 목이버섯 혼합물의 젖산균을 이용한 정치배양을 통해 단기간에 고농도의 GABA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젖산 발효물은 세포독성 완화 효과 및 NO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효물은 GABA, probiotic, 식이섬유 등을 함유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석유 탈황용 미생물 분리 및 디젤유에 대한 탈황능 평가 (Isolation of Microorganisms for Petroleum Desulfurization and Evaluation of Its Desulfurization Activity for Diesel Oil)

  • 손호용;장제환;장용근;장호남;류희욱;조경숙
    • 청정기술
    • /
    • 제2권1호
    • /
    • pp.53-59
    • /
    • 1996
  • 석유 탈황을 위한 생물 촉매 개발 및 이를 사용하는 생물학적 공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DBT(Dibenzothiophene)를 모델 화합물로 선정하여, 국내 정유회사 주변의 원유 누출 오염토양으로부터 3 개월간의 연속배양 및 집식배양을 통해 DBT를 효율적으로 탈황, 제거할 수 있는 60 여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선별된 균들 중 A23-3은 DBT를 유일황원으로 성장 가능하면서, 탄소원으로 hexadecane은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DBT와 포도당을 포함한 기본염 최소 배지에서 만족할만한 속도로 DBT를 탈황하였다. 또 yeast extract나 trace metal solution을 첨가한 경우 DBT 제거속도는 약 4.5~6.5 배 정도 증가하였다. 실제의 디젤유를 직접 처리한 경우, DBT 제거속도는 $0.045g\;DBT/g-cell{\cdot}hr$이었다. 특히 이 경우, DBT 이외의 $C_{14}$이상의 heavy aromatic 화합물의 제거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23-3 균주는 저유황, 저방향족 청정 디젤유 생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리라 사료된다.

  • PDF

루틴 첨가가 고지방 식이 랫드의 혈청 지질 농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utin on Major Lipid-Related Parameters in Sera of Rats Fed High Fat Diet)

  • 황의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24-329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serological lipid-related parameters of the rats when they were fed with the high fat diets supplemented with or without rutin for five weeks. Twenty-four Sprague-Dawley male rats ($272.2{\pm}7.2 g$ of body weight)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C) group and two treatment groups. Rats in the C group were fed with the high-fat diet containing 20% lard, 1% cholesterol and 0.5% sodium cholate (w/w) which was modified from the formula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76 (AIN-76) diet. Rats in treatment groups were fed with above diet supplemented with 0.75% rutin (R-0.75) or 1.5% rutin (R-1.5) on the weight to weight basis, respectively. The supplementation of rutin did not induc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inal body weight, gain of body weight, the amount of feed intake and the feed efficiency of rats in both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In addition the values of glucose concentration, total protein, albumin, globulin and albumin/globulin (A/G) rati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values of total cholesterol (TC) and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in sera of rats in both R-0.75 and R-1.5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C group but the significances were showed in only between R-0.75 and C group (p < 0.05 and p < 0.01, respectively). The values of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 in sera of rats in both R-0.75 and R-1.5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in C group but the significances were showed in only between R-1.5 and C group (p < 0.01). The values of atherogenic index(AI) of rats in both R-0.75 and R-1.5 groups were the lower than those in C group (p < 0.01 and p < 0.05, respectively). The values of triglyceride in sera of ra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values of AST and ALT in sera of ra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erefore the supplementation of rutin to high fat diet in rats reduced effectively the serum lipid levels such as TC and LDL-C which were regarded as to cause the cardiovascular diseases, and moreover it elevated effectively HDL-C value which was regarded to protect cardiovascular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