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ves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1초

소아에서 요추천자 후 발생하는 요통과 수술용 장갑과의 관계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Relationship of Surgical Glove and Back Pain after Lumbar Puncture in Children)

  • 한성룡;최완석;이해정;김현석;이주석;조경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3호
    • /
    • pp.310-314
    • /
    • 2005
  • 목 적 : 수술용 장갑의 분말이 아이들에서 요추천자 후 요통의 원인인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병원 소아과에서는 1997년 이전에는 수술용 장갑에 대한 특별한 처치 없이 요추천자를 시행하였으며, 1998년 이후부터 분말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요추천자를 시행하였기 때문에 1997년까지와 1998년 이후로 자연적인 대조군이 이루어 졌다. 뇌수막염의 대유행이 있었던 1997년 7월부터 9월까지와 2001년 5월부터 10월까지 마산삼성병원 소아과에서 뇌수막염을 진단 받고 입원한 3세에서 14세 사이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요추천자 후 요통의 비율을 각각 조사하였다. 결 과 : 수술용 장갑에 분말을 제거하지 않은 1997년에는 164례 중 41례(25.00%)에서 요추천자 후 요통이 발생한 반면 분말을 제거한 2001년에는 149례 중 8례(5.36%)에서만 요통이 발생하였다(P<0.001). 결 론 : 수술용 장갑의 분말이 아이들에서 발생하는 요추천자 후 요통의 주요한 원인임을 짐작할 수 있었고 앞으로 요추천자시 수술용 장갑의 분말을 제거한 후 시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동차 조립공정에서 공기압력식 진동공구의 국소진동평가 (Assessment of Vibration Produced by Pneumatic Hand Tools Used in Automobile Assembly)

  • 김선술;백남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an automobile assembly line located in Kyonggi-do, Korea from January 16 to February 28, 199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worker exposures to hand-arm vibration and the performance of gloves for reduction of vibration. The exposure to vibration was measured using to the ISO 5349(1986) method. Vibration acceleration and frequency spectra for each tool were determined on-line replicating actual working conditions and analyzed together with exposure time for evaluating individual worker exposure. Eight pneumatic hand tools, 60 workers exposured to hand-arm vibration, and three pairs of glove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ominant frequencies of vibration for all tools(n=8) measured in this study ranged from 250 Hz to 800 Hz. 2.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eration between dominant frequencies and free running speed (p>0.05). 3. Total predicted exposure times of using impact, hammer type did not exceed 40 minutes, but metal finish task, using grinder and sander exceeded 40 minutes. Total exposure time affected significantly the frequency-weighted, 4 hr equivalent acceleration. 4. Predicted prevalence and observed exposure period data were compared in workers(n=60), according to ISO 5349. In this results, 23(50.0 %) and 24(48.07 %) persons exceeded the mean latency periods for vibration-induced white finger(VWF) at 10 % (n=46) and 50 % (n=52) standard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ISO equation, mean latent periods for VWF were 3.23, 4.72 years at 10 %, 50 % standards, respectively. 5. Reduction of vibration by gloves was evaluated. Since impact pneumatic tools produced low frequency vibrations, conventional gloves did not provide any protection. Gloves A and C amplify somewhat the signal at frequency below 400 Hz; the attenuation increases progressively by frequency to reach 18 dB ($7.94{\times}10^{-6}m/s^2$) at 1,000 Hz, slightly worsening Glove B did not provide any protection and made the situation slightly worse. However, since they make the hands warm, the occurrence of vibration-induced white fingers may be reduced.

  • PDF

치과 임상실습에서의 장갑의 미생물 오염 차단 효과 (Effectiveness of Glove for the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the Dental Clinical Practice)

  • 정선주;김정인;김지연;반세희;엄지영;정문진;임도선;정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37-545
    • /
    • 2014
  • 치과 임상실습에서의 손의 수세와 장갑착용의 미생물 차단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세하지 않고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 비누와 데톨로 수세한 후 장갑을 착용한 경우로 구분하여 손과 장갑의 일반 세균 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세하지 않고 장갑을 착용한 손과 장갑에서는 $9.938{\time}10^3CFU/ml$, 비누로 수세한 후 장갑을 착용한 손과 장갑에서는 $9.44{\time}10^3CFU/ml$, 데톨로 수세한 후 장갑을 착용한 손과 장갑에서는 $6.58{\time}10^2CFU/ml$의 일반 세균이 검출되었다. 비수세의 경우 가장 많은 수의 일반 세균이, 비누로 수세한 경우에는 비수세와 유사한 일반 세균 수가 검출되었으나 데톨로 수세한 경우의 일반 세균 수는 급격히 감소하여 비누로 수세하는 것은 병원성 미생물 차단에 효과적이지 않지만 데톨로 수세하는 것은 일반 세균 수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세하지 않고 장갑을 착용한 경우와 수세한 후 장갑을 착용한 모든 경우에서 일반 세균 수가 감소하여 장갑의 미생물 차단 효과가 명확하게 보여졌다. 비누와 데톨로 수세 후 장갑을 착용한 경우 일반 세균 수는 장갑 착용 3시간이 경과하여도 변화가 적었지만 수세하지 않고 장갑 착용한 경우 처음 장갑을 착용한 3시간 이후부터 일반 세균의 수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적어도 장갑 착용 3시간 이후부터는 같은 환자의 시술 중이라도 새로운 장갑으로 교체를 하는 것이 미생물 감염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신선 고추의 수확, 선별 및 유통 단계에서의 미생물 모니터링 및 미생물 오염 저감화 방법 모색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Through Monitoring of the Harvesting, Sorting, and Distribution Stages of Fresh Hot Pepper)

  • 김솔아;이정은;박현진;이상대;문효영;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0-6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수확 및 유통 단계에서 미생물 오염 수준과 그 발생원인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온도는 냉장 보관 보다 상온 보관일 때 미생물 오염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냉장 보관이 미생물 오염 예방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소형 플라즈마를 이용하였을 때 초기 균 수 대비 5일차에서 일반세균 3.0 log CFU/g 감소, 대장균군, 효모/곰팡이는 불검출로 나타났고 플라즈마 발생장치 없는 경우 5일차에 대장균군이 2.1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어 소형 플라즈마 발생장치가 보관 및 유통과정 중의 미생물의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확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발생원인 중 하나인 작업자의 장갑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현장에서 쉽게 수행 가능한 냉장 유통 방법과 신선 고추의 수확 후 보관 및 유통 중에 소형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한다면 고추의 미생물 오염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추 이외에도 다른 신선농산물의 수확, 선별 단계나 유통단계에 미생물의 오염을 예방 또는 저감화 하는데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지역 식육판매업소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및 위생관리수준 평가 (Evaluation of the microbial contamination status and sanitation practice level in butcher's shops in Seoul)

  • 전해창;김지은;손장원;채희선;진경선;오재효;신방우;이정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09-416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of meat processing in butcher's shops in Seoul from January to November in 2010. A total of 695 samples (112 cotton work gloves, 342 utensils and equipments, 241 meat samples) were collected and the environmental hygiene of 89 butcher's shops was investigated. The aerobic plate count (APC), E.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were tested in the samples. As a result, the level of count on APC ranged $0{\sim}2.2{\times}10^6\;CFU/cm^2$ from the utensils & equipments, $1{\times}10^2{\sim}2.7{\times}10^8$ CFU/glove from the cotton work gloves and $1{\times}10^2{\sim}9.3{\times}10^6$ CFU/g from the meat samples. The level of count on E. coli ranged $0{\sim}2.5{\times}10^3\;CFU/cm^2$ from the utensils, $0{\sim}8.6{\times}10^4$ CFU/glove from the cotton work gloves and $0{\sim}1.4{\times}10^5$ CFU/g from the meat samples, respectively.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spp. were detected in 11 samples and 2 samples from the cotton work gloves, utensils & equipments, respectively. The 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SOP) was applicated at 49 butcher's shops. In order to improve sanitation of meat in butcher's shops, in this study, applications of SSOP, systemic sanitation education for employees, hygenic control of utensils & equipments, and continuous monitoring for microorganisms will be required.

신선한 딸기의 생산 및 유통 단계에서의 미생물 모니터링 및 미생물 오염 방지 또는 저감화 방법 모색 (Microbial Monitoring and Exploring Ways to Prevent or Minimize Microbial Contamination a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ges of Fresh Strawberries)

  • 김솔아;이정은;김고운;김수환;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85-492
    • /
    • 2017
  • 이 연구는 수확 및 유통 단계에서 딸기의 미생물 오염 수준을 확인하고 수확 단계에서 사용 된 작업자 장갑을 교체하고 유통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딸기에 대한 미생물 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수확 단계에서 일반세균의 오염 수준은 토양 평균 $7.12{\pm}0.61{\log}_{10}CFU/g$, 장갑 평균 $6.06{\pm}1.80{\log}_{10}CFU/g$, 딸기 평균 $3.28{\pm}0.98{\log}_{10}CFU/g$, 용수 평균 $3.08{\pm}0.55{\log}_{10}CFU/g$ 순으로 높았다. 수확 단계의 딸기에서 평균적으로 $3.3{\log}_{10}CFU/g$의 일반세균이 검출되었으며, 저온 및 상온에서 각각 분포 된 딸기에서 $1.85{\pm}0.21{\log}_{10}CFU/g$$2.6{\pm}0.21{\log}_{10}CFU/g$수준의 일반세균 수가 확인되어 수확단계보다는 감소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업자의 장갑 교체 및 냉장 유통 조건에 따라 딸기의 일반세균은 작업자의 장갑을 교체하지 않고 처리 한 딸기와 실온에서 유통 한 딸기의 일반세균 수준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확인되었다. 교체 된 장갑을 재활용하기 위해 시판 소독제 clorox로 세척하는 것과 삶아서 세척하는 것은 사용 후 작업자의 장갑에서 오염 된 미생물을 제어하기 위한 효과적인 세척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수확 단계에서 장갑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현장에서 쉽게 수행 할 수 있는 냉장 유통 조건이 딸기의 미생물 오염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plementation of Smart Glove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 Park, Myeong-Chul;Kim, Tae-S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101-106
    • /
    • 2018
  • Most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can not use both hands freely because they carry a cane. And unnecessary contact with people around you during walking can occur. Other guides include guide dogs, but the price and maintenance cost are expensive and difficult to man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glove, which prevents unnecessary contact when blind people use the cane, detects the obstacle ahead by using the ultrasonic sensor, and informs the presence of the obstacle by using the servo motor. 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oximity touch module on the fingers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connected by Bluetooth when the finger touches each other. It is designed to allow you to use text or phone calls when you are lost or in an emerg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tool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life for the visually impaired.

우레탄 폼 제조 사업장 작업자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피부노출 평가 (Assessment of Worker's Diisocyanates Skin Exposure at Polyurethane Foam Manufacturing Companies)

  • 정지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7-64
    • /
    • 2013
  • Objectives: Skin exposure to diisocyanates may b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respiratory sensitization to leading asthma.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xtent of worker's diisocyanates skin exposure and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in polyurethane foam manufacturing companies. This study provides data on diisocyanates skin exposure, surface diisiocyantes contamination of foams and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 protective gloves in five polyurethane foam manufacturing companies. Materials and methods Colorimetric SWYPE pads ar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diisocyanates on surfaces of workers skin and polyurethanes foams. Results: The forearms, necks and faces of workers in polyurethane foam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with diisocyanates. Heavy contamination with uncured diisocyanates at large block foams surfaces were found. Personal gloves of workers for skin protection showed significant penetrations by diisocyanates. Conclusions: We found that all workers in polyurethane foam manufacturing companies could be exposed to diisocyanates by skin exposure. Also further researches which would better quantify skin exposure are needed.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작업장의 인간공학적 평가:심리육체적 접근방법 (Ergonomic evaluation of screw driver-using workstations: Psychophysical approach)

  • 박희석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1-62
    • /
    • 1996
  • This research utilized the psychophysical methodology, where secrw drivers a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 the location and orientation of work objects, and ii) wearing gloves, on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at various body parts. The validity of the psychophysical methodology in determining a preferred work pace was also studied. The subjects drove screws with a screw driver into thick wooden sheet at three vertical and three horizontal locations. They drove serews for 3 minutes at each location and assessed the condition using the psychophysical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vertical loc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iscomfort ratings. Driving screws at elbow height on the vertical surface and with the lower arm close to the body on the horizontal surface were the work locations with the smallest ratings of perceived discomfort. Wearing glov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ducing the pain of the hand. From the experiment in which a comfortable work pace was identified using 20 minute psychophysical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the psychophysical method is sensitive to workers perception of the physical stress when the upper limbs are employed. This was confirmend by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physical results and EMG measur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