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mus mossea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Glomus mosseae와 Bradyrhizobium sp. R938의 동시 접종에 의한 땅콩의 질소고정력 증진효과 (Effect of Dual Inoculation with Glomus mosseae and Bradyrhizobium sp. R938 on the Nitrogenase Activity of Arachis hypogeae L.)

  • 서현창;김창진;김신덕;유익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48-552
    • /
    • 1991
  • Bradyrhizobium sp. R938과 VA 내성 균근균인 Glomus mosseae의 동시 접종이 영호 땅콩의 질소고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포트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땅콩에 Glomus mosseae와 Bradyrhizobium을 동시에 접종한 처리에서 질소고정력이 Bradyrhizobium만을 접종한 것보다 1.5배 증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땅콩을 69일 동안 생육시킨 결과 근류의 크기도 내생균근균의 동시 접종으로 인해 증가되었다. 동시접종처리구에서 근류 하나의 평균 중량은 6.7mg으로, Bradyrhizobium만을 접종한 것보다 1.5배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Bradyrhizobium과 Glomus mosseae의 동시 접종은 양분 흡수의 증진을 통한 질소고정력 증진효과 이외에도 VA 내생균근균으로 인한 호르몬 효과가 있으리라는 점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Glomus mosseae와 Rhizobium meliloti의 동시접종이 알팔파의 생장 및 질소고정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ual Inoculation with Glomus mosseae and Rhizobium meliloti on Growth and Nitrogenase Activity of Medicago sativa L.)

  • 유익동;서현창;김원곤;박동진;조갑연;김창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100
    • /
    • 1993
  • Effect of dual inoculation with vesicular-arbuscular(VA) mycorrhizal fungi, Glomus mosseae, and Rhizobium meliloti R455 on growth, nodulation, and nitrogenase activity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cv. Vernal) were examined in pot experiment. After 63 days growth, shoot length, number of leaf, and leaf size of alfalfa were increased as as result of dual inoculation with Glomus mosseae and Rhizobium meliloti. Total dry weight of alfalfa plant was increased 1.4 times compared to single inoculation with Rhizobium meliloti. Nodule number and mean fresh weight of nodule per plant were also increased due to the mycorrhizal infection.

  • PDF

VA 내생균근균(內生菌根菌)과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으로 이중접종(二重接種)한 사방오리나무와 아까시나무의 생장촉진(生長促進)과 접종(接種)의 상승효과(相乘效果) (Growth Stimulation of Alnus firma and Robinia pseudoacacia by Dual Inoculation with VA Mycorrhizal Fungi and Nitrogen-Fixing Bacteria and Their Synergistic Effect)

  • 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229-234
    • /
    • 1988
  • 내생균근(內生菌根)이 질소(窒素)를 고정(固定)하는 수목(樹木)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시비(施肥)에 따른 균근균(菌根菌)의 효율(效率)을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사방오리나무 유묘(幼苗)를 화분(花盆)에서 Glomus mosseae로 접종(接種)하고 아까시나무를 묘포장(苗圃場)에서 Glomus sp. 와 Gigaspora sp. 로 접종(接種)하여 6개월후(個月後)에 접종효과(接種效果)를 조사(調査)하였다. 시비(施肥)하지 않은 사방오리나무의 경우에 토양훈증후(土壤燻蒸後) G. mosseae로 접종(接種)하여 건중량(乾重量)이 27%, 묘고생장(苗高生長)이 18% 증가(增加)하였고, G. mosseae와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으로 이중접종(二重接種)하여 건중량(乾重量)이 83% 증가(增加)하는 상승효과(相乘效果)를 가져왔다. 시비(施肥)한 사방오리나무의 경우에는 균근접종(菌根接種)이나 이중접종(二重接種)으로 인(因)하여 생장(生長)이 감소(減少)하였다. 아까시나무의 경우에 시비(施肥)하지 않은 묘목(苗木)에서 이중접종(二重接種)으로 인(因)하여 건중량(乾重量)이 25%, 묘고생장(苗高生長)이 23% 증가(增加)하였으며 시비(施肥)한 경우 이중접종(二重接種)으로 묘고생장(苗高生長)이 13% 증가(增加)하였다. 위와같은 실험(實驗)으로 Glomus mosseae는 사방오리나무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고, 균근균(菌根菌)과 근류근(根瘤菌)의 이중접종(二重接種)으로 상승효과(相乘效果)가 나타나며, 균근균(菌根菌)의 효과(效果)는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가 낮을때 더 크게 나타난다고 결론(結論)짓는다.

  • PDF

A study on pearl millet (Pennisetum glaucum L.) plant Biochemical and histochemical changes inoculated with indigenous AM fungi under Barren soil

  • Pal, Ajay;Pandey, Sonali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03-206
    • /
    • 2017
  • The soil organisms that develop beneficial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plants roots and contribute to plant growth are mycorrhizal (AM) fungi. Arbuscular mycorrhizal inoculations change the growth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the host plant and soil. Mycorrhizal root systems do augment the absorbing area of roots from 10 to 100 times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bility of the plants to utilize the soil resources. A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during the kharif seasons at Jaipur, Rajasthan,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indigenous AM fungi i.e. Glomus mosseae, Glomus fasciculatum and Gigaspora decipiens either single and in combination inoculation on biochemical and histochemical changes of Pearl millet (Pennisetum glaucum L.) grown under barren soil conditions. The AM fungus has shown to improve the tolerance of plant to drought stres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M fungi treated plants improved their plants growths, biochemical and histochemical changes as compared to non-mycorrhizal treatments. The AM fungi inoculated plant was found to be attaining maximum plant biochemical and histochemical substances in Glomus mosseae (alone) and also Glomus mosseae + Glomus fasciculatum treatments.

식물(植物) 군락(群落)에서 VA 내생균근(內生菌根) 발견(發見)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 Found from the Soils of Plant Communities)

  • 가강현;이상선;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91-197
    • /
    • 1990
  • 접합내생균근은 세 식물군락(차풀, 솔새, 억새)의 토양에서 분리되었다. 분리된 포자는 형태학적으로 분류 동정한 결과 4속 8종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기술하는 종(種)은 2속 6종이다 ; Glomus aggregatium, Gl. ambisporum, Gl. geosporum, Gl. mosseae, Scutellospora coralloided, and Sc. heterogama.

  • PDF

금산의 인삼 재배 토양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의 다양성 (Diversi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Cultivated Field Soils of Korean Ginseng)

  • 길리종;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삼(Panax ginseng C. A. Mey.) 재배 토양에서 수지상균근균(AMF)의 포자를 분리하여 동정하고 재배기간 별 AMF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충남 금산지역의 재배 기간 1~5년의 인삼 재배지에서 토양을 채집하였다. 인삼 재배지에 분포하는 AMF의 포자를 분리하여 형태 및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한 결과, Acaulospora longula, Archaeospora trappei, Glomus caledonium, Glomus etunicatum, Glomus intraradices, Glomus mosseae, Glomus sp., Paraglomus occultum, Paraglomus brasilianum Scutellospora heterogama 등 총 5속 10종이 동정되었다. 연구 결과 재배기간이 오래 될수록 토양 내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의 종 다양성지수와 균등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그러나 A. trappei 는 재배 기간이 오래될수록 상대수도가 증가하였다.

수지상균근균이 인삼 (Panax ginseng C. A. Mey.)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Growth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 Seedlings)

  • 길이종;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1-9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5 종의 수지상균근균을 인삼(Panax ginseng C. A. Mey.)의 묘에 처리하여 인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수지상균근균 5종(Glomus mosseae, Glomus intraradices, Glomus etunicatum, Acaulospora longula, Acaulospora trappei)의 접종원을 발아 후 60일이 지난 인삼묘에 접종하여 120일간 키운 후 인삼의 건조중량, 지상부의 크기 및 엽록소 형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지상균근균을 접종한 인삼의 생장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접종한 수지상균근균의 균주(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Glomus intraradices가 다른 종에 비해 인삼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엽록소형광 값은 모든 종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VA내생균근이 뽕나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Growth Stimulation of Mulberry Trees in Unsterilized Soil under Field Conditions with VA Mycorrhizal Inoculation)

  • 김중채;최연홍;문재유;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10
    • /
    • 1984
  • 뽕나무에 VA mycorrhizae의 1종인 Glomus mosseae, Mosse and frappe를 접종하여 소독을 하지 않은 토양에 심어 6월간 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VA mycorrhizae 접종 뽕나무는 전체 조장은 15%, 조경은 19%, 뽕잎량은 30%가 더 많았다. 나. VA mycorrhizae접종 뽕나무의 뽕잎 성분은 질소는 12%, 인산은 10%, CaO는 10%가 더 많았고 $K_2$O는 차이가 없었으며 MgO는 20%가 더 많았다. 다. VA mycorrhizae접종 뽕나무 뿌리는 질소는 20%가 더 적었고 인산은 21%가 더 많았다.

  • PDF

Sequence Analyses of PCR Amplified Partial SSU of Ribosomal DNA for Identifying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Plant Roots

  • Tae, Moon-Sung;Eom, Ahn-Heum;Lee, Sang-Sun
    • Mycobiology
    • /
    • 제30권1호
    • /
    • pp.13-17
    • /
    • 2002
  • The genomic DNAs were extracted from roots of Glycine max and Sorghum bicolor, and compared with those from spores of two arbuscular mycorrhizal(AM) fungi, Glomus mosseae and Scutellospora heterogama. The partial small subunit(SSU) of ribosomal RNA genes were synthesized and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the fungal specific primers, AM1 and NS31. By the recent molecular techniques, the presence of another AM fungal DNA were confirmed in the roots of two plants, and three sequences of rDNA fragments amplified were identified to be close to those of G. caledonium, G. fasiculatum and G. proliferum. The two AM fungi, both, were found to colonize at the cortical layers of plant roots collected in the fields, together.

Effect of Organic Farming on Spore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Glomalin in Soil

  • Lee, Ji-Eun;Eom, Ahn-Heum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272-276
    • /
    • 2009
  • In this study, eight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s in a central area of South Korea. Spore communi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and glomalin, a glycoprotein produced by AMF, were analyzed. Spores of Glomus clarum, G. etunicatum, G. mosseae, G. sp., Acaulospora longula, A. spinosa, Gigaspora margarita, and Paraglomus occultum were identified at the study sites,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While Acaulospora longul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soils at organic farms, Paraglomus occultum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soils at conventional farms.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number in AMF communities found in soils from organic farm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soils from conventional farms. Glomalin was also extracted from soil samples collected at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s and was analyzed using both Bradford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The glomalin content in soils from organic farm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soils from conventional far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gricultural practices significantly affect AMF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