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bal Citizenship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1초

글로벌 시민성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Geography Education)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2-180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 긴요해지고 있는 글로벌 시민성교육을 지리 교과와의 관련성의 측면에서 탐색한 것이다. 먼저 글로벌 시민성이라는 개념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이것이 교육적 차원에서 중요하게 된 이유를 세계화라는 시대적 변화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지리 교과를 통한 글로벌 시민성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것으로서 이는 지리 교과의 핵심개념인 장소, 공간, 스케일, 상호의존성의 논의에 토대하여 전개하였다. 그 후 지리 교과를 통한 글로벌 시민성교육을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위 영역의 범주를 설정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분류 체계들을 귀납적으로 검토하여 지식과 이해, 기능, 가치와 태도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한 것이다. 셋째, 글로벌 시민성을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인 측면으로서, 즉 지리수업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계획하기 위해 사전에 고려해야 할 것들을 목적, 내용, 방법 측면에서 논의하고, 수업 전략을 쟁점 중심 접근과 소비자로서 저항의 지리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리를 통한 글로벌 시민성교육에서 경계해야 할 유의점을 비판적 글로벌 시민성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 PDF

세계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초등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 and its Effects on Fostering the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권보은;유난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351-368
    • /
    • 202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implement a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 and assess its effects to enhance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DDIE model was employed for learner needs analysis, instructional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is was followed by assessments of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and class satisfactio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re ideas associated with an area of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 four practical problems were designed: What actions should I take for the rational management of living resources? What actions should I take to ensure consciousness of the need to respect diversity in daily life? What actions should I take to maintain a safe and healthy living environment? What actions should I take to make sustainable choices? Based on these four practical problems, four lesson topics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both the voyeur's and the critical perspectives, resulting in a total of 8 sessions. The subsequent delivery of an 8-session clas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home economics yield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global citizenship competencies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act) of 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mediately after the ses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focus on the core ideas of the revised 2022 curriculum, thereby offer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대학생 해외자원봉사활동 참여학생의 세계시민의식 변화 (Changes in the Global Citizenship of Participants in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 송병철;김민경;오창석;신수진;한진아;김수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7-168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on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one-group pre-posttest design. The study's subjects wer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7th World Friends Korea Youth Volunteer Corps in 2018. Among them, 158 stud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tool for measuring global citizenship was comprised of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willingness to practi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to p<.05. Results : Among the study's participants, there were 123 females (77.85 %). By grade, there were the most juniors, with 68 (43.04 %). There were 53 (33.55 %) seniors, 28 (18.35 %) sophomores, and eight freshmen (5.06 %). Among all participants, 52.53 % had experienc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63.92 % had experience in activitie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Because of analyzing the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before and after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skill" increased the most, from 3.51±.65 points to 4.34±.56 points (p< .001). Due to analyzing changes in global citizenship before and after overseas volunteerism,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reshm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with 1.17± 1.23 (p=.011) and 1.41±1.22 (p=.008), respectively. Participants with global citizenship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change in attitude (p=.018).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university brought a positive change to global citizenship. Providing opportunitie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activiti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future will maximize the effects of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to improve global citizenship.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s global citizenship)

  • 박환보;유나연;장세정;유혜영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31-53
    • /
    • 2016
  • 이 연구는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개인수준과 학교수준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에 있어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제시민교육연구(ICCS) 2009 자료를 토대로 2수준의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학생이 양성평등, 타문화 출신자에 대한 평등 인식, 이민자에 대한 평등인식에 있어서 남학생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시험언어의 차이에 따라서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 수준의 차이점이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과 직업지위는 대체로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 수준에 영향을 미쳤고, 청소년의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관심 정도에는 부모의 영향력이 매우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학교수준에서는 교사학생관계와 학생참여의 가치가 세계시민의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추진하는데 있어 학교풍토 변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교육과정의 재개념화 (Re-conceptualization of the Geography Curriculum Towards Global Citizenship)

  • 김갑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55-472
    • /
    • 2016
  • 본 연구는 세계 시민성 함양과 관련하여 보다 정의로운 지리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개념화에 관한 것이다. 우선, 세계 정의의 관점에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비판적 세계 시민성의 의미와 한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후기 구조주의적 세계 시민성 관점이 세계 '타자'에 대한 정치적, 윤리적 책임을 강조함으로써 세계 정의를 보다 더 잘 지원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둘째, Carr의 논쟁적 교육과정이라는 이론적 분류법에 근거하여 교육과정을 3가지 주요 교육과정 관점들로 해체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교육과정 관점들이 정의 지향 세계 시민성 함양에 있어 윤리성 및 정치성의 관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이론적으로 논의한다. 셋째, 예측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세계의 '타자'를 보다 공평하게 고려할 수 있는 후기 구조주의 교육과정 관점을 논의한다. 끝으로, 세계 정의를 지향하는 세계 시민성을 함양할 미래 지리교육과정 구성의 함의를 이론적으로 논의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공감능력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Influenc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mpathy and Global Citizenship in Nursing Students)

  • 고진희;강명주;김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08-11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공감능력, 세계시민의식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B시, U시와 S시에 소재한 3,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 ANOVA, Pearson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계시민의식은 다문화수용성(r=.48, p<.001), 공감능력(r=.58,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공감능력, 다문화수용성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40%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글로벌 역량이 중요시되고 있는 간호교육 현장에서 세계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지속적이고 실천적인 프로그램 및 다양한 학습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따른 초등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내용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ystem in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권보은;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81-98
    • /
    • 2023
  •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함에 따라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따른 초등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내용체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분석, 설계, 개발 및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이 요구되는 교육적 흐름을 밝히기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교육부 발표 자료, 세계시민교육 관련 미래 교육 문서를 분석하여 국가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은 세계시민역량이 반영된 가정과교육에서 실천적 행동을 통해 궁극적인 목표인 개인과 사회의 웰빙을 이루는 것이 목표'임을 관계적으로 보여주는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목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항구적 문제로 "생활환경과 관련한 지속 가능한 선택을 위해 세계시민으로서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할까?"를 설정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2022 개정 초등학교 가정과교육과정에서 '생활환경과 지속 가능한 선택' 영역의 핵심아이디어 네 개를 분석하여 하위관심사와 실천적 문제를 각각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 단계에서는, 가정과 세계시민교육 목표 프레임워크에서 근거한 네 가지 내용요소 도출 기준에 따라 내용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세계시민역량 관련 문서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가정과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 필요성을 분석하여, 가정과 세계시민교육의 기반이 되는 교육방향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의과대학생의 디지털윤리-리터러시, 다문화수용성, 세계시민의식이 문화적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dical Students' Digital Ethics-literacy,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Global Citizenship on Cultural Competency)

  • 제남주;박미라;윤지원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95-205
    • /
    • 2024
  •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digital ethics-literacy,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global citizenship of medical students' on cultural competenc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he medical students of J city of Province of G, collecting data from first of October to 15th of October 2023.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consist of 178 questions which were 9 questions of general properties, 70 questions of digital ethics-literacy, 35 question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3qustions of global citizenship and 33 questions of cultural competenc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ore of digital ethics-literacy was 2.67±0.85(out of 5), the sco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3.62±1.08(out of 6), the score of global citizenship was 3.72±0.75(out of 5), and the score of cultural competency was 3.49±0.71(out of 5).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global citizenship. The global citizenship was the factor affecting significantly on cultural competency. The power of explication was 20.8%. The education for accepting and understanding cultural diversity and offering opportunity of domestic and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s so that global citizenship could be improved. There is also a need of development of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ing direct and indirect digital media education which can perform medical service for various multicultural recipient on the medical site not an one-shot instiiled displine.

Direc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Age of Infodemic : A Case Study of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 Jisu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1호
    • /
    • pp.82-91
    • /
    • 2023
  • In 2020 when the COVID-19 pandemic began in full-scale, the WHO Director-General warned of the dangers of an infodemic. The infodemic is a phenomenon in which false information spreads rapidly like an epidemic and causes chaos, and it was noted that the COVID-19 pandemic is not just limited to health problems, but also linked to a variety of issues such as human rights, economic inequality, various discrimination, hate speech, fake news, global governance etc.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to connect this global situation with school classe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analyzing how the infodemic spreads on Korean social media with the case of the recent global COVID-19 pandemic.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rate of negative emotions was higher than positive ones in the emotions that generate infodemic, while anxiety and anger were focused among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the infodemic tended to spread widely with the feelings of anger rather than anxiety, and the feelings of anger led to advocating aggressive policies against certain country and regions. Therefor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required to focus on a sense of duty and responsibility as a citizen, not on the level of national identity based on an exclusive sense of belonging. Furthermor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needs to lead to presenting a blueprint for education in a way that can enhance the awareness of the global community for joint response to global challenges and realize common prosperity based on sustainability and justice.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Primary Geography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2009 Revised School Curriculum)

  • 이동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949-96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2009 개정 초등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으로는 세계에 관한 부분을 다룬 5~6학년군 지리영역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선정하였으며, 한글 텍스트의 내용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KrKwic 및 의미연결망 분석도구인 UciNet/NetDraw를 활용하여 관련 개념의 출현빈도 및 의미연결망, 연결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9 개정 초등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은 세계시민성 함양 등 세계시민교육의 이상과 요소를 반영하고는 있지만, 교육과정상의 세계에 대한 단원들은 세계나 세계공동체 등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보다는 주로 국가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상에서의 출현빈도가 낮았을 뿐만 아니라, 세계와 관련된 주요 개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지 못한채 사실상 고립되다시피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환경 및 지속가능개발, 갈등, 협력 등 세계시민교육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높은 개념들 역시 세계시민교육적인 관점과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세계화 시대에는 국가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존의 국가 경계가 투과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국경을 넘어선 세계공동체적 관점이 중요시되는만큼 지리교육 역시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세계시민교육적 요소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논의를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 반영함으로써, 국가뿐만 아니라 세계공동체 또한 중요시되는 세계화 시대에 보다 높은 적합성을 갖는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