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echoma longitub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금전초(金錢草) 추출물(抽出物)이 고지방식이(高脂肪食餌)로 유발한 비만(肥滿) 흰쥐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Glechoma longituba on Rats Fed High Diet)

  • 이훈규;변준석;변성희;김상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72
    • /
    • 2002
  • This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ody weight-regulatory effects of Glechoma longituba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Control group rats were fed with high fat diet and administered normal saline for 8weeks. Experimental groups rats were fed with high fat diet and administered extract of Glechoma longituba for 8 weeks. And observed that, body weight of rats an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phospholipid in serum of ra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decrease of body weight of rats in GL group, but thes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efficacy. 2.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of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in GL group. 3. There were decrease of serum triglyceride level in GL group, but thes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efficacy. 4. There were decrease of serum free fatty acid level in GL group. but thes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efficacy. 5.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of serum phospholipid level in GL group. According to above mentioned results, Glechoma longituba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and its complications.

  • PDF

연전초(連錢草)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시킨 흰쥐의 당뇨에 미치는 영향 (Antidiabetic Effect of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 in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 이경진;함인혜;부영민;김호철;최호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5-180
    • /
    • 2008
  • Objecitivies : While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GL) has been known as a antiinflammatory, antidiabetic and antihypertension medicine in korea traditional medicine, there has been only a few researches about it in Korea. Thus, we examined antidiabetic effect of GL in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Methods : To verify the effects of GL on serum glucose, creatinine, BU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hroug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some rats were injected 1 time with 55mg/kg streptozotocin intraperitoneally to induce diabetes, and other rats were injected with buffer I.P. as control group. Results : GL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the amount of serum glucose, BUN, creatinine, and triglyceride level in diabetics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Conclusions : According to above result, Glechoma longituba wa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 PDF

긴병꽃풀속(Glechoma L., 꿀풀과)의 잎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Leaf Epidermal Microsturcture in Glechoma L. (Nepetinae, Lamiaceae))

  • 장태수;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9-254
    • /
    • 2007
  • 개박하아족(subtribe Nepetinae)에 포함되는 긴병꽃풀속(Glechoma L.) 5분류군과 근연분류군(Agastache속, Dracocephalum속, Marmoritis속, Meehania속, Nepeta속 Glechomanthe절)의 잎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Marmoritis속, Nepeta속 Glechomanthe절,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Korea)에서는 기공이 잎의 양면에 모두 존재하는 양면기공엽(amphistomatic type)이나, 나머지 분류군들은 배축면에만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으로 밝혀졌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12.50-28.75{\times}9.17-21.25{\mu}m$로 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Marmoritis pharicus ($12.50-15.83{\times}9.17-11.25{\mu}m$)가 가장 작은 공변세포를 갖고 있고, G. hederacea var. longituba (Korea: $28.75-28.88{\times}21.25-21.38{\mu}m$)가 가장 큰 공변세포를 가졌다. 기공 복합체의 경우는 대부분 불규칙형 (anomocytic)과 불균등형(anisocytic)이나, Agastache속, Dracocephalum속에서 교차형(diacytic)이 나타났다. 표피세포는 표피상납질(epicuticular wax)이 판 모양(platelet)으로 잘 발달 되지 않은 표면을 보이는 분류군과 발달된 표면(stripe)을 보이는 분류군으로 구분된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잎의 향축면과 배축면, 그리고 주맥에 분포하는 모용은 5가지의 종류가 나타났다. 모용은 비선모와 선모로 나뉘는데, 그 중에서 선모의 경우 방패형선모(subsessile gland), 긴 두상선모(long stalk capitates glandular trichome), 짧은 두상 선모(short stalk capitates glandular trichome)는 모양과 밀도, 분포위치에서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나 분류학적인 유연관계에 유용한 형질임을 제시해 주었다.

Gynodioecy and floral dimorphism of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ian. (Lamiaceae) in Korea

  • Jang, Tae-Soo;Hong, Suk-Py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2-208
    • /
    • 2011
  •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on the careful investigation of Glechoma longituba flowers collected from four populations in Korea to clarify their precise sexual systems. All floral characters of this taxon were examined by using a stereo microscopy. The nutlet size and production were compared between two distinct morphs (i.e., hermaphrodites and females), and pollen viability test of hermaphrodite and intermediate phenotype (i.e., individuals with a mixture of females and perfect flowers) was also observed by light microscopy (LM). All of the investigated floral characters of G. longitub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sexual morph to another. Hermaphroditic plants were larger than the female ones in corolla width and length, calyx length, filament length, anther length, and style length (all P < 0.0001, respectively). However, the nutlet width of the female plants was larger than those of the hermaphrodites (P = 0.013). Nutlet production of females was higher than hermaphrodites in Na-Ju population [H (Hermaphrodite): ca. 17.76%, F (Female): ca. 37.45%], but in Mun-San populatio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sexual morphs (H: ca. 57.52%, F: ca. 53.16%). We hav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ertile pollen grain of hermaphrodite and sterile pollen grain of intermediate phenotype based on pollen size and viabilit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ompensation (flower size dimorphism, seed set, and pollen viability) is one of the main mechanisms in order to maintain female plants in gynodioecious G. longituba.

긴병꽃풀 추출물의 oxazolone-유도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Ameliorative effects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extract on oxazolon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 김대용
    • 대한융합한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22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atopic properties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extracts (GHE) in murine atopic dermatitis model. Methods: BALB/c mouse ear stimulated with oxazolone (OX) for 4 weeks, then 1% GHE was topically applied every two days for 3 weeks to mouse. Ear thickness was measured by a digital thickness gauge. The ears tissues were collected and subjected to hematoxylin-eosin (H&E) and toluidine blue (TB) staining. Results: Treatment with GHE successfully alleviated th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such as erythema, horny substance, and swelling. The infiltration of lymphocytes and mast ce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following GHE treatment. Conclus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ed that GHE possessed the potential to be a novel immunomodulatory drug against atopic dermatitis.

  • PDF

New Finding of Golovinomyces salviae Powdery Mildew on Glechoma longituba (Lamiaceae), Besides Its Original Host Salvia spp.

  • In-Young Choi;Lamiya Abasova;Joon-Ho Choi;Young-Joon Choi;Hyeon-Dong Shin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39-243
    • /
    • 2023
  • The Golovinomyces biocellatus complex is known to consist of powdery mildew from the Golovinomyces genus, associated with host plants from the Lamiaceae family. Recent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have resolved the taxonomic composition of this complex, and Golovinomyces biocellatus sensu stricto is considered to be a pathogen of Glechoma species, globally. However, this paper presents a new finding of Golovinomyces salviae on Glechoma longituba, besides its original host species of Salvia. This information was inferred by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from the multi-locus nucleotide sequence dataset of intergeneric spacer (IG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large subunit (LSU) of rDNA, and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gene. Further, the asexual morphology of this fungus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RAW 264.7 세포에서 긴병꽃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in RAW 264.7 Cells)

  • 이진영;유단희;정용성;주성현;채정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9-4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긴병꽃풀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대식세포(Raw264.7)에서 긴병꽃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0{\mu}g/ml$ 농도에서 95.8%의 생존율을 보였고, 특히 $1,000{\mu}g/ml$의 농도에서 37.4%의 Nitric oxide (NO)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Western blot과 RT-PCR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대조군인 Vit. C와 비교하였을 때 긴병꽃풀 추출물에서 iNOS와 COX-2의 mRNA 발현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긴병꽃풀 추출물의 항염증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 및 B16F10 세포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n Ethyl Acetate Fraction from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 염현지;오민정;채정우;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2-231
    • /
    • 2022
  • 본 연구는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의 미백 및 항염증 활성 검증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자공여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각각 89.6%, 88.7%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은 22.3%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멜라노마 세포와 대식세포에 대해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을 처리한 모든 구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의 단백질 및 mRNA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한 western blot과 RT-PCR의 농도구간은 25, 50, 100 ㎍/ml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미백관련 인자 MITF와 TRP-2의 단백질 발현 억제율이 대조군인 kojic acid에 비해 우수하였고, tyrosinase에 대해서는 100 ㎍/ml에서 29.1%의 가장 낮은 발현량을 보여 매우 뛰어난 mRNA 발현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o-inflammatory cytokine인 IL-1β, IL-6 및 TNF-α의 단백질 및 mRNA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IL-6와 TNF-α의 인자가 같은 농도의 대조군인 Vit. C에 비해 높은 단백질 및 mRNA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이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화장품에 천연 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미세구조학적 형질 및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긴병꽃풀속(꿀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Glechoma L. (Lamiaceae) based on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and n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 장태수;이중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32
    • /
    • 2014
  • 꿀풀과에 속하는 긴병꽃풀속(Glechoma)내 5종에 대한 화판과 악편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여 기재하고 그 분류학적 유용성을 판단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공복합체는 조사된 모든 분류군의 악편에서 분포하였으며, 공변세포의 길이는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다. 긴병꽃풀속 분류군들의 화판과 악에 분포하는 모용은 5 종류(단세포 비선모, 다세포 비선모, 짧은 자루 두상 선모, 긴 자루 두상 선모, 방패형 선모)로 나타났으며, 모용의 종류, 분포, 밀도가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긴병꽃풀속은 분포지역에 따라 3개의 분계조(유럽-미국, 중국-한국, 일본)로 분리되었다.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G. longituba는 단계통군을 이루었고, 이탈리아의 특산종인 G. sardoa와 미국 및 유럽에 분포하는 G. hederacea는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G. hirsuta는 유럽의 분계조와 자매군 관계를 이루었으나, 일본에 분포하는 G. grandis는 나머지 분류군들의 상호 유연관계에서 통계적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긴병꽃풀속내의 종간 한계 설정에 있어 화판 및 악의 미세형태형질의 연구보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인 연구가 유용한 방법임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본 속내 계통 분류학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외부 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계통학적 유용성이 보다 높은 DNA 구간을 추가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