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ze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9초

폐도자기를 활용한 도자기 유약 개발 (Development of ceramic glazes utilizing wasted porcelains)

  • 이제일;이병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7-9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도자기 제조업체가 밀집되어 있는 경기도 이천, 여주 지역에서 발생되는 백자, 청자, 본차이나 폐도자기를 도자기 유약용 원료로서 재활용하여 도자기 제조에 적합한 도자기 유약를 개발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폐백자분에는 규석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규석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맑고 투명한 백자 유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폐청자분에는 $Fe_2O_3$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청자유약제조에 적합하였다. 폐본차이나분에는 $P_2O_5$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부드러운 느낌의 유백유약제조에 적합하였다. 이와같이 폐도자기를 사용하여 도자기 유약를 제조함에 의해 매립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자원의 재활용, 특히 일부 수입되고 있는 도자기 원료의 대체원료로서의 활용도 기대되어 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각종 황동 Scrap를 사용한 Ceramic 안료 개발 (Development of Ceramic Pigment using Brass Scrap)

  • 김준호;전옥현;서만철;이병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97-204
    • /
    • 2007
  • Ceramic pigments were developed by using 4 kinds of Brass scraps. Each Brass scraps were mixed with same weight-ratio of Husk ash, and fine-ground by Rotate ring mill(RRG-120, Armstech industrial. co. Ltd, Korea) after firing at $900^{\circ}C$, $1000^{\circ}C$ and $1100^{\circ}C$. As a result, analysis of particle size of synthetic pigments by particle size analyser, they are $3{\mu}m$ as average. The resulting pigment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XRD, FT-IR, SEM Structure of the crystals are Zn2SiO4,, and ZnO, Cu2O, CuO, and cristobalite are existed and particles' shape are plate or needle. As a result of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by XRF, synthetic pigments have high SiO2 and CuO content and have SnO2, ZnO and NiO, too. 1wt%, 3wt% and 5wt% pigments were added in each lime glaze, lime-barium glaze and lime-magnesia glaze, and fired at oxidation and reducing atmosphere to figure hue in glazes out.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lor, chroma and brightness by UV, colors of glazes fired at oxidation atmosphere turned into green from sky blue, and colors of glazes fired at reducing atmosphere turned into pink and red.

아연 결정유약의 제조 및 분산이 결정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nufacturing and dispersion of zinc crystalline glaze on crystal formation)

  • 이지연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240-246
    • /
    • 2021
  • 도자 생산현장에서 아연결정유약을 제조하여 사용할 때 조성원료에 따라 유약의 결정생성이 불안정하고, 특히 결정이 잘 생성되는 유약도 습식제조 후 시간이 경과하면 결정생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예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산화아연(ZnO)과 하소아연(calcined ZnO), 프리트 3110, 그리고 규석을 출발 물질로 3성분계 실험을 통하여 아연결정 조성을 선택하고 선 연구된 소성 조건을 사용하였다. 유약을 제조하고 1일~24주까지 습식으로 보관하면서 침수 과정에서 아연이 아연결정유의 결정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원료 입도 및 침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입도분석, XRD, Raman Spectroscopy 그리고 SEM 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결과, 산화아연은 습식으로 유약 사용 시 willemite 결정 생성 및 성장이 우수하지만 유약을 보관하는 동안 ZnO가 물과 반응하여 Zn(OH)2를 생성하고 응집되면서 유약내 ZnO량이 감소되어 willemite 생성을 저해하여 결정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곡물재와 채소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제조와 그 특성 (Pottery Glaze Making and It′s Properties by Using Grain Stem Ash & Vegetables Ash)

  • 한영순;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834-841
    • /
    • 2004
  • 우리 주변(경기도 이천, 양평, 용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곡물대 10가지와 2가지의 곡물껍질(콩깍지, 왕겨), 4가지의 채소(시금치, 무우잎과 줄기, 호박잎과 줄기, 고추대)의 재를 만들어 한국적 천연 재유의 특성을 연구 분석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곡물대재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1그룹인 들깨대재, 참깨대재, 검정콩대재, 팥대재에는 다른재에 비하여 $SiO_2$ 성분이 적고 CaO와 P$_2$ $O_{5}$ 성분이 10%이상 함유되어 비교적 유백현상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약한 녹색기가 도는 밝은 노랑색유로 나타나 유백유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2그룹인 고추대재, 시금치재, 콩깍지재, 무우잎ㆍ줄기재, 콩대재에는 모든 성분이 비교적 고르게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MgO 함량이 평균 8.53%로 가장 많고 Fe$_2$ $O_3$ 성분이 2% 정도 함유하고 있어 채도가 높은 녹색기를 많이 띤 노랑색유로 나타났으며 유흐름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 이라 보 유약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3그룹인 옥수수대재, 흰콩대재, 호박잎ㆍ줄기재는 $SiO_2$, $Al_2$ $O_3$의 함량이 다른 재에 비하여 많았고 Fe$_2$ $O_3$가 3~5%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UV에 대한 4분류 중 색상, 채도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짙은 노랑에서 짙은 고동색을 지닌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천목유 및 흑유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SiO_2$ 성분이 45~82%로 함량이 제일 많아 잘 녹지 않고 다른 재에 비하여 Fe$_2$ $O_3$와 P$_2$ $O_3$ 성분의 함량이 적은 4그룹인 갈대재, 볏짚재, 수수대재, 왕겨재는 푸른색기 또는 녹색기가 도는 흰색에 가까운 미색으로 나타나 백유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Image Cut Raman Microscope을 사용한 계룡산 철화 분청사기 연구 (Image Cut Raman Microscope Study of the Geryong Mountain Chulwha Buncheong Ware)

  • 임성호;김영범;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2-318
    • /
    • 2010
  • Chulwha pieces collected from Hakbong-ri site in Keryong mountain were studied whether there is reactions or not in each layer to investigate firing condition of glaze, body, Chulwha, engobe of Buncheong war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15th~16th Century. As a result of XRD analysis of a Chulwha piece, a main crystal phase was $\alpha$-Quartz and a second was Mullite. It was assumed the firing temperature would be around $1200^{\circ}C$ because a little amount of Mullite was formed in the body and there was no phase transition $\alpha$-Quartz to cristobalite. As a result of ICRM analysis, Chulwha and glaze didn't react and the melted glazes were sunk into the Chunwha particles. The thin layer of glaze was found on the Chulwha layer. As a result, the color of Chulwha layer always came to vivid black. Moreover, Chulwha painting didn't spread over the Buncheong ware, because Chulwha and engobe didn't react. The boundary interface of engobe and body was not clear because they had similar compositions. This shows engobe was composed of more $Al_2O_3$ than body.

한국 전통 도자기의 화학 조성에 대한 연구 (I): 고려청자와 고려백자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 Celadon and Kory$\v{o}$ Whiteware)

  • 고경신;주웅길;안상두;이영은;김규호;이연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3-228
    • /
    • 2010
  • 중국 도자기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화학적 성분분석을 중심으로 18세기부터 구라파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중국내에서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반면에 한국도자기의 경우는 1980년대에 미국과 독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한국내에서 체계적 연구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도자기 연구는 많은 분석 결과들이 축적됨에 따라 여러 도요지들을 서로 비교하고 중국의 분석 결과와도 비교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청자와 고려백자를 생산도요지와 발굴층위 등에 따라 각각 21그룹과 10그룹으로 나누어서, 성분결과들을 비교 관찰하였다. 각 그룹의 태토와 유약의 성분은 일반적으로 3~5편을 분석하고 그들의 분석값을 평균하였다. 비교 결과에서 한국도자기의 태토는 월주요와 경덕진요와 같은 중국 남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운모-석영계의 도석으로 만든 것으로 나타나며, 유약도 중국과 유사하게 점토와 나무재, 그리고 석회석 종류의 용융재를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석회석은 처음에 태워서 사용하다가 고려말기에 이르러 분말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월주요에서 사용한 유약은 몸체를 만든 태토를 섞은 것에 비하여 강진 청자의 유약은 백자를 만들 수 있는 점토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산화 티타늄의 함량이 현저하게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의 방법과 결과들을 토대로 앞으로 이루어질 많은 발굴과 분석 자료들이 계속 축적될 수 있다면 더욱 좋은 비교 연구가 가능 할 것이다.

황산망간을 이용한 분홍색 착색료의 제조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Pink Stain using Manganese Sulfate)

  • 이준선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7-42
    • /
    • 1974
  • Preparation of pink color stains was studied using manganese sulfate and aluminum salts. A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range of the stains showing favorable pink celor was as follows: MnO.0.5-0.8P2O5.1.70-3.00 Al2O3 Furthermore, as the results of applied tests for glazes and the color measured by Color Eye, the usefulness of the stains was approved.

  • PDF

Diopside 금색 결정 유약의 발색 기구 (Optimum Condition and Color Mechanism for Gold Color Glaze in Diopside Crystallization)

  • 김금선;임성호;이병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86-292
    • /
    • 2013
  • Generally, the color gold has had a biased conception due to its traditional use. Thus, this bias has resulted in a lack of usage of golden glaze on ceramics and also a lack of extensive studies of such glazes. In this paper, optimum conditions and mechanism of formation of gold color crystallization glaze containing $Fe_2O_3$(hematite), which is developed for gold colors of ceramic glazes, were studied.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there are pyroxene based on diopside and $TiO_2$ phase in the base of a crystallization glaze with a value of $TiO_2$ of 6 wt% confirmed by XRD and Raman Spectroscopy. When $Fe_2O_3$ was used as a colorant for the gold color, the $TiO_2$ peak became extinct and the intensity of the diopside peak was sharper. Feldspar of 60 wt%, talc of 20 wt% and limestone of 20 wt% were used as the starting materials and these were tested using a three component system. The best result of test was selected and extended to its vicinity as an experiment to determine $TiO_2$ and $Fe_2O_3$ contents. The glaze with $TiO_2$ of 6 wt% and $Fe_2O_3$ of 12 wt% addition showed stable pyroxene based diopside crystals and the development of gold color. This gold color was obtained with CIE-$L^*a^*b^*$ values of 51.27, 4.46, 16.15 (a grayish yellow brown color), which was gained using the following firing conditions: temperature increasing speed $5^{\circ}C$/min, holding for 1 h at $1280^{\circ}C$, annealing speed $3^{\circ}C$/min till $1100{\circ}C$, holding for 2 h at $1100{\circ}C$, and finally natural annealing.

한국 전통 도자기의 화학 조성에 대한 연구 (III): 분청에 대한 고려자기와 조선백자와의 비교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I): Comparison of Punch'$\breve{o}$ng with Kory$\breve{o}$ Ware and Chos$\breve{o}$n Whiteware)

  • 고경신;주웅길;안상두;이영은;김규호;이연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5-90
    • /
    • 2011
  • 분청사기는 조선초기에 고려상감청자의 무늬가 간소화 된 상태로 시작되었다. 그 후 200여 년 동안에 다양하고 활달한 문양의 민속공예로 발달하였고, 점점 백자를 닮아가는 방향으로 변해가다가, 임진왜란이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분청의 태토와 유약에 대한 화학조성을 분석하고, 여러 도요지들의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다른 논문들에서 중국의 경우와 비교 관찰된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들에 대한 결과들과 비교 하였다. 생산도요지와 고고학적인 특성에 의하여 28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각의 그룹에서 셋에서 다섯편의 도편을 분석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비교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청태토는 한국청자와 백자와 같이 중국 남쪽의 월주요, 경덕진요에서 사용된 운모-석영계의 도석으로 만들어졌다. 유약은 점토질의 원료에 나무재, 태운 석회석과 곱게 빻은 석회가루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되었다. 분청유약의 특성은 조선백자보다는 고려청자와 고려백자에 더 가깝다. 다만 티타늄산화물의 함량은 조선백자와 같이 낮은데, 그 이유는 글래이즈 스톤으로 알려진 도석계의 점토가 분청유약을 제조 하는데 혼합 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의 체계적인 비교방법과 물질적 특성에 대한 내용들은 현재 빠른 속도로 발굴되고 있는 도요지들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코발트 청색 채색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balt Blue Spinel Stains)

  • 박순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6-71
    • /
    • 1978
  • The cobalt blue spinel stains (main composition; CoO:$Al_2O_3$=1 : 1) in CoO-NiO-$Al_2O_$3 and $CoO-Al_2O_3-Cr_2O_3$ system were prepared by the calcination of each component oxides to be adequate for the factory. The color development, the change of the lattice constnat of the spinel and its application to colored glazes were studi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oO-Al_2O_3$ spinel, the excess addition of each component hardly made any variation in lattice constantand alumina-rich spinel specimens caused the brilliant blue color fade. 2) An increase of $Ni^{2+}$ in $CoO-NiO-Al_2O_3$ system, made the lattice constnat of the $CoO-Al_2O_3$ spinel smaller, and an increase of $Cr^{3+}$ in $CoO-Al_2O_3-Cr_2O_3$, larger. 3) Glazed stains under lead glaze were colored nearly same dark blue color fa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