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g Seed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5초

참옻나무(Rhus verniciflua)배발생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발생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from Embryogenic Callu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era Stokes))

  • 김재훈;이원석;권기원;안준교;최용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275-279
    • /
    • 2003
  • Excised cotyledons and embryo axises of zygotic embryos of Rhus vemicifera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MS) medium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2,4-D. About 3-5% of explants produced callus. Embryogenic callus was preferentially induced from basal parts of embryo axis of zygotic embryos seeds when they were cultured without removal of seed coats. Somatic embryos were developed from embryogenic callus in growth regulator-free medium after 2-3 subcultures on medium with 1.0mg/L 2,4-D and these embryos were matured to cotyledonary stage. Plantlets with well-developed shoots and roots from embryos were obtained on $\frac{1}{4}$MS medium with GA$_{3}$. After acclimatization of plantlets on artificial soil, they were exposed to soil pots.

산양삼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및 현지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andard Diagnostic Table for Mountain Ginseng Management)

  • 전준헌;이성연;이정민;지동현;김연태;강길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22-629
    • /
    • 2014
  • 산양삼 재배자가 스스로 경영 수준을 진단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경영 표준진단표를 개발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산양삼 경영 표준진단표는 임가 일반 현황과 경영 성과 지표, 그리고 경영수준 진단을 위한 3개의 대분류 항목 및 18개의 중분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양삼 경영 표준진단표의 작성을 위해 산양삼 주산단지 15개 시 군 81개 임가의 경영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영수준 진단을 위해서 18개 중분류 항목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81개 임가의 평균 점수는 57.2점으로 나타났으며 조사 임가의 58%가 40점 이상 60점 미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평균점수를 비교해 보면 전북이 52.9점으로 가장 낮고, 경남이 61.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영기반 지표에서는 재배자들이 재배 특성상 인위적으로 상을 만들지 않고 재배하는 경우가 많아 채종포 조성(상높이)에 대한 항목의 평균 점수가 1.5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생산기술 수준 지표에서는 병해충 관리 항목의 평균 점수가 1.28점으로 재배자의 90%이상이 병해충 예찰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종 및 식재방법, 종자에 대한 항목은 경남 함양에서의 평균 점수가 4.00점, 4.47점으로 특히 높게 나타났으며 경영 및 판매능력 지표에서는 경영기록 및 분석 항목의 평균 점수가 2.20점으로 낮게 나타나 여전히 재배 임가에서는 경영기록 등 경영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Phytogenic Feed Additives in Soybean Meal on In vitro Swine Fermentation for Odor Reduction and Bacterial Community Comparison

  • Alam, M.J.;Mamuad, L.L.;Kim, S.H.;Jeong, C.D.;Sung, H.G.;Cho, S.B.;Jeon, C.O.;Lee, K.;Lee, Sang S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66-274
    • /
    • 2013
  • The effect of different phytogenic feed additives on reducing odorous compounds in swine was investigated using in vitro fermentation and analyzed their microbial communities. Soybean meal (1%) added with 0.1% different phytogenic feed additives (FA) were in vitro fermented using swine fecal slurries and anaerobically incubated for 12 and 24 h. The phytogenic FAs used were red ginseng barn powder (Panax ginseng C. A. Meyer, FA1), persimmon leaf powder (Diospyros virginiana L., FA2), ginkgo leaf powder (Ginkgo biloba L., FA3), and oregano lippia seed oil extract (Lippia graveolens Kunth, OL, FA4). Total gas production, pH, ammonianitrogen ($NH_3$-N), hydrogen sulfide ($H_2S$), nitrite-nitrogen ($NO_2{^-}$-N), nitrate-nitrogen ($NO_3{^-}$-N), sulfate (${SO_4}^{--}$), volatile fatty acids (VFA) and other metabolites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Microbial communities were also analyzed using 16S rRNA DGGE. Results showed that the pH values on all treatments increased as incubation time became longer except for FA4 where it decreased. Moreover, FA4 incubated for 12 and 24 h was not detected in $NH_3$-N and $H_2S$. Addition of FAs decreased (p<0.05) propionate production but increased (p<0.05) the total VFA production. Ten 16S rRNA DGGE bands were identified which ranged from 96 to 100% identity which were mostly isolated from the intestine. Similarity index showed three clearly different clusters: I (FA2 and FA3), II (Con and FA1), and III (FA4). Dominant bands which were identified closest to Eubacterium limosum (ATCC 8486T), Uncultured bacterium clone PF6641 and Streptococcus lutetiensis (CIP 106849T) were present only in the FA4 treatment group and were not found in other groups. FA4 had a different bacterial diversity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treatments and thus explains having lowest odorous compounds. Addition of FA4 to an enriched protein feed source for growing swine may effectively reduce odorous compounds which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swine production.

장뇌삼의 부위별 추출조건에 따른 이화학적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ountain Ginseng Different Parts According to Extract Conditions)

  • 김준한;이기동;이인선;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20-725
    • /
    • 2006
  • 추출조건에 따른 장뇌삼부위별 추출액의 당도는 씨앗은 80% 에탄올추출액이 18.49%로, 잎은 80% 에탄올추출액이 22.58%로, 뿌리는 80% 에탄올추출액이 22.53%로, 줄기는 100% 물추출액이 19.65%로 가장 높았고, pH는 $4.43{\sim}7.41$ 수준이었다. 갈색도는 잎의 80% 에탄올추출액이 1.803으로 가장 높은 값을, 씨앗의 80% 메탄올추출액이 0.185로 낮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L값의 경우는 씨앗 80% 메탄을 추출액은 24.3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a값은 잎의 100% 증류수추출액이 0.41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b값은 줄기의 80% 메탄올추출액이 3.69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유리당 중 sucrose는 뿌리의 80% 메탄올추출액에서 3673mg%로, fructose는 80% 메탄올추출액에 1897 mg%로 줄기의 80% 에탄올추출액 4283 mg%로 매우 높음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citric과 malic acid가 주된 유기산으로 총유기산함량은 잎의 80% 메탄올추출액에 5,254 mg%로, 잎의 80% 에탄올추출액이 1,527 mg%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p의 함량은 줄기의 100% 증류수추출액에 15,563ppm 로 가장 높았고, K의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추출액에 4,952 ppm로 매우 높은 함량이었다. Ca의 함량은 잎의100% 물추출액에 3,052 ppm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위의 결과에서 80% 메탄올용매가 장뇌삼 추출물제조에 있어 이화학적 성분의 추출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삼의 종자개갑시와 묘생육초기의 Ginsenosides 및 유리당의 변화 (Change of Ginsenosides and Free Sugars in Seeds During Stratification and Seedling During Early Growth Stage of Panax ginseng)

  • 박귀희;이미경;박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6-292
    • /
    • 1986
  • Saponin생합성의 개체발생학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삼종자의 개갑과정과 묘삼생육초기에 saponin및 유리당의 변화를 HPLC로 조사하있다. 개갑처리 40일 후에 약 80%의 saponin이 없어졌으며 Rc, Rb$_2$, Rb$_1$이 없어지고 PD가 더 많이 없어졌다. 70일 후에는 40일 후보다 증가하였으며 Rg$_2$와 Rg$_3$(추정), 20-gluco Rf(추정)의 증가는 분해용탈 외에 생합성 가능성을 배제하지 아니하였다. F$_3$(추정)는 과육에 없고 미숙배유와 배에 있고 개갑과정에서 적어졌다. Rg$_3$는 과육에 없고 배유와 배에 흔적으로 있으나 개갑에서 증가되었다. 20-gluco Rf는 개갑 중 배유와 배에서만 나타났다. 4월 20일의 묘삼근에서 saponin은 없었으나 줄기에서는 개갑시 보다 많았다. 근의 saponin 생성은 5월 29일에 나타났으나 6월 30일에야 Rc, Rb$_2$, Rb$_1$이 처음 생기며 본 궤도에 이르는 것 같다. 6월 중 단위 생중당 saponin 생합성 속도는 뿌리보다 잎에서 배가 높았다. 잎사포닌 F$_3$와 F$_{6}$가 뿌리에서 발견되고, 근 saponin Rg$_3$와 20-gluco-Rf가 엽에서 나타났으나 점점 감소하였다. Saponin함량의 변화에는 PD가 주역이여서 PT/PD는 saponin 함량과 부상관을 보였다. 재갑처리 70일에도 sucrose의 함량이 높았으나 glucose는 흔적, fructose는 없었다. 묘삼의 잎은 sucrose보다 glucose와 fructose가 초기에는 많았으나 후에는 상당히 적어졌다. 줄기는 glu-cose가 많고 기타는 흔적 정도 였으며 뿌리는 초기에 sucrose가 종자에서 보다 높았으나 그 후 모든 당이 거의 흔적뿐이었다.

  • PDF

농도(濃度)가 다른 여러가지 질소원(窒素源) 양분용액(養分溶液)이 배추와 상치 종자발아(種子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ifferent Nitrogen Solution Varying Concentration on Seed Germination of Vegetable Crops(Brassica rapa L., Lactuca sativa L.))

  • 홍순달;이윤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7-61
    • /
    • 1992
  • 질소염(窒素鹽)들의($(NH_4)_2SO_4$, $NH_4NO_3$, $KNO_3$, $Mg(NO_3)_2$, $Ca(NO_3)_2$, $(NH_2)_2CO$) 농도별(濃度別) 염강도(鹽强度)를 비교하고 영양액연속유출경사사경재배장치(營養液連續流出傾斜砂耕栽培裝置)를 이용하여 배추와 상치에 대한 발아장해정도(發芽障害程度)를 조사하였다. 그람분자량으로 동일농도(同一濃度)의 EC(electrical conductivity, mS/cm)를 측정한 결과 황산암몬은 1가염(價鹽)의 2배수준(倍水準)을 나타냈으나 질산고토, 질산석회는 1.5배정도 이었고 요소(尿素)는 전연 측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동일백분률(同一百分率) 농도(濃度)에서는 황산암몬(1.37)>질산암몬(1.22)>질산칼리(1.0)>질산석회(0.72)>질산고토(0.64)의 순(順)으로 EC치의 비율을 보였다. 배추와 상치의 발아에 가장 심한 장해를 주는 염(鹽)은 질산고토, 황산암몬이었으며 질산암몬도 질산칼리에 비하여 장해정도가 컸고 요소(尿素)는 질산칼리, 질산석회와 같이 가장 낮은 영향을 주었으나 농도가 짙어지면서 질산칼리, 질산석회도 장해를 나타냈다. 그리고 상치가 배추보다 발아장해에 더 예민한 편이었다. 발아장해(發芽障害)는 염농도(鹽濃度)보다 질소염(窒素鹽)의 종류(種類)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세미외의 부위별(部位別) 유효성분(有效成分) 조사(調査) 및 사과락중(絲瓜絡中) 육질제거(肉質除去) 방법(方法) 개발(開發) 연구(硏究) : (I) -수세미외의 부위별 화학성분 분석-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 (L.) Roemer and development to remove the flesh from its fruit : (I)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L.) Roemer by GC and GC/MS-)

  • 장기운;문창식;이희덕;이창준;이운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4호
    • /
    • pp.366-372
    • /
    • 1991
  • 관행법에 의해 재배된 수세미외의 잎, 줄기, 미숙과즙, 종실, 수액 등 각 부위에 함유된 휘발성 정유성분, 탄화수소, 유기산 및 비휘발성 지방산을 추출, 분리하였다. 150여개의 분리성분중 37개 정유 성분을 확인한 후 각 부위별로 정량하였다. 또한, 26종의 탄화수소, 5종의 유기산 및 6종의 지방산도 분리정량하여 부위별 분포와 함량을 비교하였다.

  • PDF

상수리 나무중 Polyphenol 성분들의 분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Polyphenols in the Parts of Quercus acutissima)

  • 문자영;조성희
    • 분석과학
    • /
    • 제11권6호
    • /
    • pp.478-484
    • /
    • 1998
  •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3년생)의 잎, 줄기, 뿌리, 껍질, 및 열매에 각각 존재하고 있는 polyphenol 성분의 분포를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총 25종류의 polyphenol 성분을 분리하였는데, 이들 중 잎에서 15개, 줄기에서 11개, 뿌리와 껍질에서 각각 7개를 분리하였으며, 열매에서는 4개의 성분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polyphenol 성분들 중에는 catechin 성분이 모든 부위에서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일부 flavonoid 성분들도 확인되었다. 잎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3종류의 polyphenol isomer의 존재를 확인했으며, 잎에서는 monomer와 oligomer성 polyphenol의 존재를 확인했으나 polymeric polyphenol이 확인되지 않았다. Quercus acutissima에서 polyphenol의 총함량은 껍질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뿌리, 잎, 열매의 순으로 많이 분포하였으며, 줄기에서 가장 적은 양이 확인되었다.

  • PDF

Developing a mass propagation technique for Aralia elata via somatic embryogenesis

  • Moon, H.K.;Lee, J.S.;Kim, T.S.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년도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14-115
    • /
    • 2000
  • Aralia elata is found in mountain areas all over Korean peninsula. Aralia elata is the scientific name for Japanese angelica tree. The tree belongs to the family Araliaceae, commonly known as ginseng family. Bud sprouts from apical shoot tip of the plants are rich in flavor and thus mainly used for both folk medicine and vegetable. The stalks with apical buds are gathered in the early spring and planted in sandy soil or water in the greenhouse. The sprouting buds are then collected and sold as fresh vegetable. Although the plants have been used for food, they have been cultivated in a very small scale. In spring, local farmers just go around mountain areas to search the trees and gather the stalks as much as they get and sell them to the market. No conserva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stop the exploitation or to save the dwindling population. We tried to provide local farmers with the plants that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stalks from wild populations. This will bel! p conserve the wild populations. However, it is hard to propagate them either by conventional cuttings or by seed germin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Mass propagation using tissue culture systems have shown a great promise with several woody plants. Recently we developed a mass propagation technique via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using mature and/or juvenile explants for Aralia elata. Several factors affecting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including SE(somatic embryo) induction, embryogenic callus proliferation, SE germination, plant regeneration and transplanting to field frill be presented. And some problems arising for the somatic embryogenesis system will be also discussed.

  • PDF

P.E. 필름 피복(被覆)이 숫검은밤나방(Agrotis tokionis B.) 유충(幼蟲)에 의한 담배 피해(被害)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 .E. film-mulching on the Damage to Tobacco Seedlings by the 'Dark Grey Cutworm', Agrotis tokionis Butler)

  • 김상석;부경생;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3-177
    • /
    • 1986
  • P.E. film으로 피복한 포장에서 숫검은밤나방 유충에 의한 담배 피해주율이 낮은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해주율은 무피복구(n)에 비해 P.E. film 피복구(m)에서 63% 감소하였다. 2. 피복한 휴(畦) 내의 일종 최고 토양온도(5cm 깊이)는 무피복구에 비해 조사기간중 평균 $5{\sim}7^{\circ}C$ 높았으며 6월 중순에는 $50^{\circ}C$까지 이르렀다. 3. 유충의 회수율, 토양내 잠복깊이 및 발육 정도 등에서 P.E. film 피복구와 무피복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4. m/n치와 5가지 변형된 피복방법의 결과에 비추어 P. E. film 자체에 의해 숫검은 밤나방유충의 이동 흑은 먹이탐색활동이 방해를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5. 숫검은밤나방유충의 사망율은 7월 하순과 8월하순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