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ival health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8초

Lowe syndrome 환아의 전신마취 하 치아우식 치료: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LOWE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A CASE REPORT)

  • 김민진;송지수;신터전;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현홍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39
    • /
    • 2019
  • Lowe Syndrome 환아는 안 질환, 근신경계 질환, 신장기능이상을 특징으로 하나 임상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증례는 이전에 악성 고열증 병력이 있었으며, 치과검진에 비협조적이고 다수의 치아 우식을 보이는 4세 6개월의 Lowe syndrome 환자를 전정맥 전신마취 하에 효과적으로 치료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연하장애로 인한 잦은 유동식섭취와 구토는 치아의 우식 활성과 부식을 가속화시킬 수 있어 보다 적극적인 구강위생교육과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Lowe syndrome 환아의 치과치료를 계획할 때에는 전신상태에 대한 충분한 이해 및 이전 전신마취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 이전에 악성 고열증 병력이 있었던 경우 프로포폴을 이용한 목표농도 조절 주입법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 대상 가상현실 기반 구강 근력 강화 훈련의 구강 기능 개선 효과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based oral muscle strength training on oral function in older adults)

  • Yoon-Young Choi;Eun-Seo Jung;Kyeong-Jin Lee;Hyun-Young Moon;Mi-Sook Yoon;Kyeong-Hee Lee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1-130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상현실(VR) 기반 구강 근력 강화훈련 콘텐츠를 개발하고 노인에게 적용한 후 구강 기능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구강근력 강화훈련은 2023년 8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6주 동안 총 12회를 적용하였다. 수행 장소는 참여 대상자의 소속기관이며, 1회당 소요시간은 약 60분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가상현실 기반 구강근력 강화훈련 실시 후 치면세균막 지수(O'Leary index)는 0.42점 감소하였으며(p<0.01), 치은염 지수(Löe & Silness index)는 1.11점 감소하였다(p<0.01). 설태는 1.24점 감소하였고(p<0.01), 타액분비량은 0.55g 증가하였다(p<0.05). 사후 두 그룹 간의 비교에서도 치면세균막(p<0.001), 치은염(p<0.001), 설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가상현실 기반 구강근력 강화훈련은 노인층의 구강건강을 일부 향상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상현실 기반 구강근력 강화훈련 콘텐츠가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강릉시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대상 치위생 과정 사례보고 (Dental Hygienist-Led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for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in Gangneung)

  • 유상희;곽선희;이수향;송가인;배수명;신선정;신보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27-339
    • /
    • 2018
  • 본 연구는 강릉시에 소재한 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복합적인 위험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치위생 과정을 통해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의 변화 과정 및 결과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 과정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사업에서의 치위생 과정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모집단 80명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44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면허를 소지한 교수 3인이 전신질환 여부(당뇨병, 심혈관계질환 등), 치은 상태 및 치석 여부, 구강위생상태 등의 기준으로 구강 내 사정을 실시하였고, 구강건강위험군으로 선발된 21명 중 개인적인 사정과 치과의사 치료 의뢰 등으로 인해 중도 탈락한 13명을 제외하고 치위생계획에 따라 모든 과정을 종료한 8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자 간 일치도 평가를 거친 치과위생사 4인이 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 8인을 대상으로 치위생 과정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별 전담 치과위생사를 선정하여 대상자 중심의 맞춤형 관리를 제공하였고 모든 치위생 과정 내용은 치위생관리 기록부에 기록하여 치위생 과정 전 후에 따라 회차별로 평가한 임상 지표 및 치위생 중재에 따른 행동 변화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복합적인 건강위험요인을 동반한 취약계층인 자활사업 참여 대상자의 치위생 과정을 분석한 결과, 인간욕구이론에 기반하여 대상자 중심의 목표를 수립하고, 전담 치과위생사와의 지속적인 신뢰관계 형성에 기반하여 행동 변화를 위한 중재를 실시하며, 회차별 대상자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맞춤형 전문가구강위생관리를 실시함에 따라 긍정적인 행동 변화와 함께 유의미한 임상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범이론 모형에 근거한 행동 변화 중재에 따라 칫솔질 방법 및 빈도의 변화가 나타났고, 치간칫솔을 사용한 치간관리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개인별 치위생 과정에 따른 구강상태를 비교한 결과 치위생 과정을 수행한 후 탐침 시 치은출혈 치아 보유율과 4 mm 이상 치주낭 보유율은 감소하였고, 변형 O'Leary index는 향상되었다. 치위생 과정은 치과의료에서 환자/대상자 중심의 가치를 실현하고 질병의 예방과 구강건강증진을 지향함에 따라 임상 현장 및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치위생 과정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구강건강증진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구강건강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행위 기준에 따른 치과위생사 직무 타당도 평가 (Evaluation of Dental Hygienist Job Validity according to Judgment Standard of Medical Practice in Medical Law)

  • 배수명;신선정;이효진;신보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57-366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직무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 검토하여 향후 치과 팀 내 치과진료업무를 효율적으로 분담하고 직무에 따른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의료법에서 의료행위를 판단하는 기준에 따라 치과위생사 직무의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1월 10일부터 20일까지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의 12명 교수를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직무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기입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치과위생사 직무가 질병예방과 치료, 환자요양지도, 보건 위생상 위해 발생 여부의 의료행위 판단기준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전문가 일치율을 산출하였고, 각 행위를 의료행위 타당성 평가기준에 따라 점수화하여 level 1~4로 최종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0% 이상이 치위생 관리에 포함하는 치은출혈, 치주낭, 임상적 부착수준 측정 및 기록과 전문가 치면세균막 관리, 스케일링, 칫솔질 및 구강 관리용품 처방, 교육을 포함한 대상자별 구강보건교육과 치료 후 주의사항에 대한 상담이 세 가지의 의료행위 판단기준에 모두 해당된다고 응답하였다. 치과위생사가 치과임상에서 수행하는 행위는 의료행위 판단 기준에 따라 크게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고, 범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수행난이도가 높고, 전문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직무로 판단할 수 있다. 치은출혈, 임상적 부착수준, 치주낭 측정 및 기록과 치면 연마, 전문가 치면세균막 관리, 스케일링, 치근활택술, 국소적 항균제 적용의 항목은 최종 점수 4.3으로 수행난이도와 전문성이 요구되는 Level 4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나라 치과진료현장에서 환자의 안전과 건강권을 보장하면서 효율적으로 진료를 분담하기 위해서는 수행 행위에 따라 필요한 지식의 수준과 적절한 교육, 자격 기준 등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개발되어 활용될 필요가 있다.

Aloe vera peel 추출물에 의한 구강염증 저해 효과의 효소학적 평가 (Enzymological Evaluation of Oral Inflammation inhibitory activity by Aloe vera peel extract)

  • 박정순;류일환;이갑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53-759
    • /
    • 2001
  • Aloe vera 껍질로부터 구내염등 항염증제재를 개발하기 위해 항염증 활성이 있는 분획을 분리, 동정하고, 염증과 관련된 효소활성에 대한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Aloe vera 껍질의 추출물을 용매에 따라 분획하였고, 활성이 우수한 ethylacetate층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통해 두 가지 활성물질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두 가지 물질은 UV spectrum과 FT-IR, $^1H-NMR$, 및 Mass spectrum 분석을 통해 aloe-emodin과 barbaloin으로 동정하였다. Aloe vera 분획물의 hyaluronidase 활성저해를 측정한 결과는 aloe-emodin은 $40\;{\mu}g/mL$, barbaloin은 $70\;{\mu}g/mL$$IC_{50}$값을 나타내었다. Leucko-cyte elastase 활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는 aloe-emodin은 $50\;{\mu}g/mL$, barbaolin은 $60\;{\mu}g/mL$$IC_{50}$값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 활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는 aloe-emodin은 $40\;{\mu}g/mL$, barbaloin은 $60\;{\mu}g/mL$$IC_{50}$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prostaglandin endoperoxide synthase 활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는 aloe-emodin은 $40\;{\mu}g/mL$, barbaloin은 $70\;{\mu}g/mL$$IC_{50}$값을 나타내었다. 쥐를 이용한 carrageenan족 부종 억제효과는 aloe-emodin의 경우 100mg/kg 투여량으로 52.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억제효과는 indomethacin의 약 1/10이었으며, aspirin과는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반면 barbaloin의 경우 100mg/kg의 투여량으로 74.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억제효과는 indomethacin의 약 1/5이었으며, aspirin의 약 1.5배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체치은세포에 대한 독성은 aloe-emodin보다 barbaloin이 적게 나타났으며 이 두 가지 물질은 1 및 $5\;{\mu}g/mL$농도에서는 독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나 10 및 $20\;{\mu}g/mL$에서는 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용되고 있는chlorhexidin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독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aloe-emodin 과 barbaloin은 항우식 및 항염증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치은세포의 독성이 비교적 낮아 구강병 예방제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 PDF

교정치료 4단계 동안의 구강 내 환경의 변화 (Changes in the oral environment during four stages of orthodontic treatment)

  • Edith, Lara-Carrillo;Montiel-Bastida, Norma Margarita;Leonor, Sanchez-Perez;Jorge, Alanis-Tavir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5-105
    • /
    • 2010
  • 교정치료 중 구강 내 환경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정치료 시작 후 24개월까지의 임상적 구강위생지수 및 타액, 구강 내 미생물의 변화양상을 평가하였다.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구강위생지수(DMFS [decayed, missing and filled surfaces], O'Leary's plaque index, plaque pH), 타액의 변화(비자극/자극시의 타액량, 완충능(buffer capacity), pH, 잠혈(occult blood)류량, 구강 내 미생물(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변화를 파악하였다. 추가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구강위생관리 및 식습관을 평가하였다. 분산분석, 회귀분석 및 Spearman의 상관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교정치료 도중 DMFS 값은 유의성있게 증가한 반면, plaque index는 감소하였고, plaque pH는 산성을 나타내었다 (p = 0.23). 비자극 시 타액량은 치료 중 유의성있게 변화하였으며 (p = 0.13), 자극 시의 타액량은 여성에서 장치 부착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Buffer capacity는 남성에서 치료 도중 감소되었으며, 타액의 pH는 유지되었다. 구강 내 미생물 및 잠혈류량은 고위험 수준까지 증가하였으며 성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 > 0.05). 치료 전 plaque와 구강위생용품의 사용 (r = 0.429; p = 0.018), 최종 DMFS와 비자극 시의 타액량 (r = -0.372; p = 0.043) 간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교정장치의 부착으로 인해 구강 내 미생물은 증가하고, plaque pH는 산성화되어 치주조직의 손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또한 Buffer capacity는 변하지만, 치료 기간중의 타액의 pH는 유지되었다.

소아치과에 내원한 영아들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Infants who Visited Pediatric Dentistry)

  • 오예랑;이고은;김미선;남옥형;최성철;김광철;황지영;이효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7-166
    • /
    • 2020
  • 첫 치과 내원 시기는 치아가 처음으로 맹출 하는 시기나 늦어도 12개월 이내가 추천된다. 추천 시기 이전에도 영아들은 여러가지 이유로 치과에 내원할 수 있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에 내원한 영아들의 인구학적특성 및 치과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06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1세 미만의 영아 419명의 의무기록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내원 원인의 빈도는 치아 외상(47.5%), 선천치/신생치(19.8%), 치아 우식(8.1%), 유치 맹출과 관련된 문제들(4.3%), 소대 이상(3.6%), 연조직 부종(3.6%), Bohn's nodule(3.3%), 구순구개열(2.9%), 치은신생물(1.9%), 혀의 궤양(1.7%), 구강 검진(1.4%), 법랑질형성이상(1.2%), 턱관절에서의 비정상적인 소리(0.7%) 순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실제로 영아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는 구강 질환들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구강 증상들은 주로 영아와 접할 기회가 많은 소아청소년과 의사나 산부인과 의사에 의해 발견이 되기 쉬우므로, 구강 질환이 적절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이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의 치주조직상태에 관한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EVALUATION OF PERIODONTAL STATUS IN KOREAN ADULTS)

  • 한경윤;박준봉;정진형;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458-471
    • /
    • 1994
  • To evaluate the periodontal status of Korean adults, 3,988 adults(20-69 years old) who lived in Kwangju, Chonnam, Taegu, and Kyungbuk districts were periodontally examined by plaque index(PI), calculus index(CI), gingival index(GI), periodontal disease index (PDI), and papillary bleeding index(PBI). The periodontal examination charts were grouped according to age and sex. And subsequently 200 periodontal examination charts in each age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according to sex. The differences of the indices among age groups and those between male and female in each age group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Chi-Square test. In PI, CI, GI, PDI, and PBI,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each age group(p>0.05). In male, PI of 60s age group($1.44{\pm}0.6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5), and in female PI of 20s age group($0.86{\pm}0.3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ny other age group(p<0.05). CI of 60s age group in both male($1.67{\pm}0.70$) and female($1.63{\pm}0.9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5). GI of 20s age group in both male($0.85{\pm}0.66$) and female($0.67{\pm}0.60$) was significantly lower and GI of 60s age group in both male($1.37{\pm}0.60$) and female($1.44{\pm}0.84$) was high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5). PDI in male was the lowest in 20s age group($0.70{\pm}0.73$), and was the highest in 60s age group($4.93{\pm}1.96$) (p<0.05). In female PDI of 20s age group($0.71{\pm}0.7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5). In male PBI of 20s age group($0.38{\pm}0.3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ny age group(p<0.001). PBI in female was the lowest in 20s age group($0.35{\pm}0.30$) (p<0.001), and was the highest in 60s age group($1.09{\pm}0.76$) (p<0.05). The data insist that all the young populations of 20s age group should be interested in routine check for early diagnosis and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a special education program of periodontal health care for young generation must be prepared, and the periodic recall check system for periodontal examination of middle age group must be supported by government.

  • PDF

THE PATIENTS' SATISFACTION FOLLOWING IMPLANT TREATMENT

  • Heo, Yoon-Young;Heo, Seong-Joo;Chang, Myung-Woo;Park, Ji-Ma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69-576
    • /
    • 2008
  • STATEMENT OF PROBLEM: While patient-centered outcomes are usually not reported, these may represent major aspects of the implant success for the patient. Use of a well-designed patient survey form can be an invaluable asset to the implant practitioners.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tient satisfaction after implant therapy by means of a questionnaire. MATERIAL AND METHODS: South Korean patients (n = 100), who visited the dental examination center of Soon Chun H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asked to fill out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regarding aspects of cost, comfort, esthetics, chewing, gingival health, food impaction, phonetic aspect, screw loosening, and general satisfaction. Responses to statements were given on the Likert response scale. Four experimental groups of patients were distinguished with various location ($A_1,\;A_2,\;A_3$), year ($B_1,\;B_2,\;B_3$), number of implant replacements ($C_1,\;C_2,\;C_3$), and treatment cost ($D_1,\;D_2,\;D_3$). The reliability of the response scales was measured by calculation of its internal consistency, expressed as Cronbach's ${\alpha}$. The scales were distinguished by means of factor analysis method. Possible differences in scale scores among the groups were assessed by One-way ANOVA (${\alpha}$= 0.05). RESULTS: Patients responded to most of the statements with high satisfaction. But the mean scale score of statement about cost was low. After the verification of internal consistency and factor analysis, five components, e.g. general satisfaction, comfort, chewing efficiency, esthetics, and phonetic aspect were grouped together. These components could be explained with common meaning and the first factor was named as 'general satisfaction'. Differences in patient satisfaction on the scale with esthetics were present between patients who have been wearing the implant prosthesis less than three years and those more than seven years ($B_1<B_3$). CONCLUSION: The pati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outcome of implant treatment. But the patients' major complaint was high cost and whil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shown, the satisfaction scale about food impaction and esthetics was low. So the continuing efforts to make improvements about these problems are needed for the implant practitioners.

치아 교환시기중 전치부 각화치은의 폭경변화에 관한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WIDTH CHANGE OF ANTERIOR KERATINIZED GINGIVA DURING TRANSITIONAL PERIOD)

  • 김기홍;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15-25
    • /
    • 1994
  • Keratinized ginigva has clinical singificance in periodontal health because it plays important roles in resistance to mechanical trauma, to penetration of bacteria, and to tensional stress by muscle attach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idth change of anterior keratinized gingvial during transitional period, the width of kerainized gingiva on anterior teeth was measured annuall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eciduous dentition until the successive anterior teeth were completely erupted. The distance from the gingival margin on mid-portion of crown to mucogingival junction was measured by Boley gauge(Hu-Friedy, U.S.A.) and was recorded as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The difference of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according to sex and dentition was analyzed statistically by Student t-test.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deciduous dentition, it was shown that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on maxillary central incisors($3.28{\pm}0.83mm$) was the widest(p<0.01), and that on maxillary lateral incisors, mandibular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2.69{\pm}0.86mm$, $2.51{\pm}0.71mm$, $2.43{\pm}0.68mm$, respectively. 2. In mixed dentition, it was shown that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on maxillary central incisors ($5.10{\pm}0.86$) was the widest(p<0.01), and that on maxillary lateral incisors, mandibular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4.35{\pm}0.83mm$, $3.51{\pm}0.60mm$, $3.57{\pm}0.66mm$, respectively. 3. The width of anterior keratinized gingiv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successive anterior teeth were completely erupted(p<0.001).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on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and mandibular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as increased by $1.82{\pm}0.83mm$, $1.65{\pm}0.69mm$, $0.99{\pm}0.39mm$, and $1.14{\pm}0.98mm$, respectively. 4.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of the width of anterior keratinized gingiva between male and female(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