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ll lamell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하(Penaeus chinensis) 아가미의 형태 및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n the Gill of the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Decapoda: Penaeidae))

  • 이정식;강주찬;정선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311-319
    • /
    • 2000
  • 대하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대하는 수지형 아가미를 가진 다. 아가미는 출새관과 입새관을 구분하는 세로 격벽을 가진다. 각각의 새판은 전자밀도가 다른 다층구조의 큐터클로 싸여 있다. 새판 기저세포들은 편평형이며,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을 가진다. 상피세포층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편평상피로 구성된다. 새판의 기둥구조는 세로방향의 미세소관들과 측면 membrane interdigitation을 가진다. AB-PAS음성 분비세포들은 다세포선의 형태이다. 활성화된 선에서 각 세포의 경계부는 뚜렷하지 않으며, 세포질에는 활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 전자밀도가 낮으며 막을 가진 분비소포들과 granular rosettes를 가진다. 비 활성화된 선에서는 세포 경계가 뚜렷하며,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작은 과립들이 산재한다. 그리고 alcian blue에 양성인 단세포 분비세포들은 세포질에 발달된 다수의 골지체와 조면소포체들을 함유한다.

  • PDF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급격한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 (Mugil cephalus)와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 치어의 아가미 조직과 체성분 변화 (Changes of Gill Tissue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Grey Mullet (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o the Sharp Salinity Change in a Recirculating Rearing System)

  • 허준욱;장영진;강덕영;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1-56
    • /
    • 2001
  •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와 틸라피아의 아가미 조직과 전어체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육수의 염분조절은 담수로부터 1일만에 $33\%_{\circ}$의 해수가 되도록 사육수를 교환하였고, 이후 15일 후에 다시 담수로 사육수를 교환하여 15일간 담수로 유지하였다. 전 실험기간중 숭어의 아가미 조직상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는 염분상승에 따른 조직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해수 2일째에는 아가미 2차 새변 (gill lamella)의 모세혈관들이 응혈 (bloodclot)되고 새변이 중첩되는 조직상을 보였다. 염분이 상승함에 따라 숭어의 아가미 염류세포는 개구부 (apical pit)가 뚜렷하였으며, 많은 수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틸라피아에서는 실험개시시에는 염류세포 개구부가 거의 닫혀있는 형태를 나타냈으며, 미토콘드리아는 담수 보다 해수에서 증가되었다. 숭어 전어체의 수분 함량은 실험개시시 $74.0\pm0.6\%$, 해수사육 15일째 $73.6\pm0.5\%$, 담수사육 15일째 $74.5\pm0.3\%$로 서로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에서는 실험개시시 $72.2\pm0.1\%$였다가 해수사육 2일째에는 $70.2\pm0.2\%$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숭어의 전어체 단백질 함량은 실험개시시와 15일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틸라피아의 지질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회분 함량은 차이를 나타냈다.

  • PDF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에 노출된 어류의 산소 소모량 및 조직 변화 (Response of Oxygen Consumption and Gill Tissue of Fish Exposed to Red Tide Organism Cochlodinium polykrikoides)

  • 심정민;이주;이용화;김봉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283-1289
    • /
    • 2009
  • Eco-physiological research and the control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d tide organism through culture experiment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photon irradiance. Oxygen consumption of C. polykrikoides was high with a value of 1.12 mg/L/hr in the dark compared with that of 0.13 mg/L/hr at $100{\mu}mEm^{-2}s^{-1}$. DO values in a circular chamber with the lapse of time in seawater containing C. polykrikoides were declined in the dark period. DO values of seawater containing C. polykrikoides in the dark were declined from 7.01 mg/L to 2.65 mg/L in 30 cm depth and from 7.01 mg/L to 6.63 mg/L in 5 cm depth depending on the depth of circular culture vessel.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file fish, Stephanolepis cirrhifer exposed to Cochlodinium showed the separation of the lamella epithelium from gill filament, which disrupted the respiratory process at the gill level.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피부 및 아가미 발달에 미치는 PCBs의 영향 (Effect of PCBs on the Skin and Gill Development in the Larval Stag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재원;강주찬;마경화;이정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7-112
    • /
    • 2003
  • Effect of PCBs on the skin and gill development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methodology and morphometric data. The olive flounder were exposed to limit concentration of effulent of PCBs (3.0 ${\mu}g/L$) for 60 days. Skin developmen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SSEL (simple squamous epithelial layer), MCA (mucous cell appearance) & CCA (club cell appearance) DLA (dermal layer appearance), and SEL (startification of epidermal layer) stages. Gill development had five stages: GFA (gill filament appearance), IGFE (identification of early gill filament epithelial cell) MCA (mucous cell appearance), PCA (pillar cell appearance), and FGL (formation of gill lamella) stages. The periods of structural completion of skin and gill were 22-30 days and 23-30 days after hatching in the exposure group respectively.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skin and gill of the exposure group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PCBs (3 ${\mu}g/L$) have no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kin and gill in the larval stage of olive flounder.

Neoparamoeba sp. Infection on Gill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Korea

  • Kim, Hyoung-Jun;Cho, Jae-Bum;Lee, Mu-Kun;Huh, Min-Do;Kim, Ki-Hong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5-131
    • /
    • 2005
  • Amoebic gill disease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as diagnosed at commerical culture facility in South Korea. The amoeba was identified as a species of the genus Neoparamoeba based on the morpholgical characteristics of trophozoites. Transmisson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e presence of a symbiotic organism, parasome in the cytoplasm and dense glycocalyx on the surface of the trophozoites. They lacked the boat-shaped microscales on the surface and contained numerous vacuoles and channels, mitochondria in the cytoplasm. Colonization of amoebae on gill tissue elicited extensive fusion and hyperplasia of gill lamella.

메틸수은으로 손상된 버들붕어 뇌와 아가미에 대한 홍삼의 보상효능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Study on Compensation Effect of Red Ginseng against Methylmercury Injury to Brain and Gill of Fightingfish)

  • 정희원;이춘구
    • Applied Microscopy
    • /
    • 제23권1호
    • /
    • pp.15-24
    • /
    • 1993
  • 버들붕어 뇌와 아가미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메틸수은의 독성적 영향과 이에 대한 홍삼의 보상효능을 전자현미경적 방법에 의하여 연구하였다. 뇌 신경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는 수상돌기와 축색돌기가 상당히 확장되고 핵질과 세포질이 부분적으로 손실되었으며 ribosome의 수적감소와 mitochondria의 팽대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파괴된 핵과 공포화된 mitochondria를 함유한 괴사세포의 출현은 특이한 관찰이었다. 반면 메틸수은과 홍삼을 병행 투여한 군에서는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수상돌기와 축색돌기의 확장이 감소되고 ribosome의 수가 증가되었으며 mitochondria의 팽대정도가 상당히 감소되었다. 아가미 새판의 미세구조에 있어서는 Pillar cell과 arm의 붕괴, 표피세포의 확장 및 기저막의 비후가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 관찰되었고 메틸수은과 홍삼을 병행 투여한 군에서는 메틸수은만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arm의 붕괴정도와 기저막의 비후정도가 감소되어 정상세포와 거의 같은 정도로 호전되었다.

  • PDF

농어(Lateolabrax japonicus)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f Gill for Lateolabrax japonicus)

  • 강충배;김진구;김재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4호
    • /
    • pp.319-324
    • /
    • 2009
  • 농어 아가미는 새파, 새궁, 새엽 및 새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위쪽 새파수는 7~10개이며, 아래쪽 새파수는 13~18개로 조사되었다. 농어 아가미의 주요부위인 새엽과 새판(이차새엽)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에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어 아가미는 새궁(gill arch) 외연의 앞 뒤 2열로 된 긴 점막성의 빗살과 같은 모양으로 줄지어 있는 많은 수의 새엽(gill filament)을 가지고 있으며, 각 새엽은 전후 두개의 새판(gill lamellae)이 근접하여 두 열로 배열되어 있었다. 농어의 새판은 pavement cell, 기둥세포(pillar cell), 혈구세포, 점액세포(mucose cell) 및 염류세포(chloride cell) 등으로 구분되었다. 새판의 표면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pavement 세포로 구성되며, 상피표면의 glycocalyx로 덮혀진 미세융기를 가진다. 그리고 새판은 기둥세포와 혈구세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분포하고 있었다. 점액세포는 새판에 드문드문 나타났지만 새엽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염류세포는 미토콘드리아와 tubular system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수은중독에 의한 붕어(Carassius carassiusr L.) 장기의 미세구조 변화 (Ultrastructural Studies on Mercury Poisoning in the Liver, Kidney and Gills of Carassius carassius L.)

  • 등영건;유관희;최춘근;최임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7-102
    • /
    • 1978
  • 수은이 붕어(Carassius carassius L.)의 간, 신장 아가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붕어를 1 ppm, 2.5 ppm 농도의 $HgCl_2$에 노출시킨 후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그들의 미세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은에 처리된 간세포에서는 lysosome이 증가하였으며 결정상의 구조물들을 포함한 원형의 lysosome과 히ㅛ\ulcorner두과립이나 mitochondria를 탐식한 lysosome의 2가지 형태가 관찰되었고 mitochondria는 팽대되어 내부 기질의 전자밀도가 감소되었으며 핵에서는 인의 분리현상이 관찰되었다. 2. 신장의 변화로서는 신사구체 기저막의 비후와 기부선회소관에서는 공포들의 증가와 cytoplasmic body들이 출현하였으며 공포형성은 mitochondria와 연관되어 일어났다. 또한 2.5 ppm에서는 핵의 위축이 관찰되었다. 3. Gill lamella의 상피세포에서는 대, 소형의 lysosome이 증가했으며 lamella의 막에 fuzzy한 구조가 관찰되었다. 4. 본 실험에서 관찰된 결과로써 수은에 의해 초래된 세포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세포의 해독과정을 활성화시키며 energy대사과정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치료약품이 잉어에 미치는 영향 (THE STRESS OF DRUG TREATMENT TO COMMON CARP, CYPRINUS CARPIO)

  • 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65-271
    • /
    • 1976
  • 1. Formalin $50\~60ppm$, malachite green 0.2ppm, dipterex 0.6ppm 되도록 혼합하여 순환수조내의 어류기생성원충류인 Chilodonella, Costia, Trichodine, Ichthyophthirius등을 근절할 수 있었으며 이때 어체의 아가미 조직에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때에 기생충은 6기간 후부터 구제되었다. $2.130\~140ppm$ formalin에 $24\~48$시간 약욕시킨 잉어의 아가미 상피에 병리학적 변성을 볼 수 있었다. 이 경우 치료약에 장시간 약욕시킴으로서 새엽상피가 변성 괴사되고 새엽지주세포가 떨어졌다.

  • PDF

포르말린 약욕이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아가미 및 간에 미치는 병리조직학적 효과 (Histopathological effects caused by formalin bath on gill and liver of Eel (Anguilla japonica))

  • 정승희;이남실;이주석;지보영;김진우;김응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5-325
    • /
    • 2007
  • 뱀장어, Anguilla japonica (평균체중 96±3.6 g)를 포르말린 0 (대조구), 100, 200, 300, 400 및 500 ppm의 농도로 설정한 사육수조에서 약욕하면서 1시간, 6시간 및 24시간 경과 시 각 농도별 아가미와 간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아가미에서는 포르말린 200 ppm의 6시간째, 300 ppm의 1시간째, 400 ppm의 1시간째, 500 ppm의 1시간째부터 1차 새변 및 2차 새변의 상피세포 괴사와 박리, 융합, 증생, 비대가 관찰되었다. 한편, 100 ppm의 24시간째는 대조구보다 오히려 1차 새변 및 2차 새변의 상피세포층이 얇아지고 규칙적인 배열을 보였다. 간에서는 포르말린 100 ppm의 24시간, 200 ppm의 24시간, 300 ppm의 6시간, 400ppm의 1시간, 500 ppm의 1시간째부터 간세포의 위축, 핵 농축, 울혈, 세포질 변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100 ppm의 1시간 및 6시간, 200 ppm의 1시간 및 6시간, 300 ppm의 1시간째 약욕한 간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특이한 병리학적 조직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