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station Body Weigh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5초

임신중인 생쥐에 DEHP 투여가 번식현상에 미치는 영향 Ⅱ. 임신중인 생쥐에 DEHP 투여가 자손의 번식특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HP Administration on Reproduction in Pregnant Mice Ⅱ. Effect of DEHP Administration on Reproductive Characteristic and Blood Components in Pups Born after DEHP Administration in Pregnant Mice)

  • 박동헌;장현용;박춘근;정희태;김정익;양부근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2호
    • /
    • pp.91-97
    • /
    • 2004
  • 본 연구는 임신한 생쥐에 DEHP의 투여가 자손의 번식특성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그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웅성 자손의 체중, 번식기관 무게 및 정액 성상에 미치는 결과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웅성 자손의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WBC, HB, HT, MCH 및 albumin은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RBC MCV, MCHC, PLT 및 total protein은 각 투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자성 자손의 체중, 자궁 및 오른쪽 난소의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지만, 왼쪽 난소의 무게는 10.0mg 투여구가 대조구와 0.5mg 투여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무게를 나타냈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자성 자손의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 HB 및 HT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임신기에 DEHP의 투여가 자손의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정소에서는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난소에서는 10.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많은 황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자궁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DEHP의 투여농도가 증가할수록 자궁내막층이 감소했으며, 1.0mg 투여구와 10.0mg 투여구는 대조구에 비해 뚜렷한 자궁내막층의 감소가 있었다.

  • PDF

제주도 서식 비단털쥐(Tscherskia triton)의 번식과 발달 (Breeding and Development of the Tscherskia triton in Jeju Island)

  • 박준호;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2-165
    • /
    • 2017
  • 중국 북부와 한국, 러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비단털쥐(Tscherskia triton)의 분포를 제외한 생활사, 행동, 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포획된 개체(n=9)를 대상으로 종 단위 연구의 기본이 되는 번식과 성장 및 발달에 대한 생물학적 정보를 밝히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사육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임신률은 31.7%였고 좁은 케이지에서 보다 넓은 케이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56.7 vs. 6.7%). 임신기간은 $22{\pm}1.6$일(범위 21-27일), 한배의 산자수(litter size)는 $4.26{\pm}1.37$마리(범위 2-7 마리)였다. 최소이유시기는 $19.2{\pm}1.4$일(범위 18-21일)이었다. 출생 직후 새끼의 체중과 외부형태의 크기는 성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시기부터 암수의 머리와 몸통길이(HBL)와 꼬리길이(TL)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BL-weaning, $106.50{\pm}6.02$ vs. $113.34{\pm}4.72mm$, p<0.05; HBL-4 months, $163.93{\pm}5.42$ vs. $182.83{\pm}4.32mm$, p<0.05; TL-4 months, $107.23{\pm}3.25$ vs. $93.95{\pm}2.15mm$, p<0.05). Gompertz 모형과 logistic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머리-몸통길이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최대 성숙 길이가 길었고($164.840{\pm}7.453$ vs. $182.830{\pm}4.319mm$, p<0.0001; $163.936{\pm}5.415$ vs. $182.840{\pm}4.333mm$, p<0.0001), 성장률도 빨랐으나($1.351{\pm}0.065$ vs. $1.435{\pm}0.085$, p<0.05; $2.870{\pm}0.253$ vs. $3.211{\pm}0.635$, p<0.05), 성장곡선의 기울기가 최대가 되는 일령은 암컷보다 조금 늦었다($5.121{\pm}0.318$ vs. $5.520{\pm}0.333$, p<0.05; $6.884{\pm}0.336$ vs. $7.503{\pm}0.453$, p<0.05). 한편 꼬리의 최대길이($105.695{\pm}5.938$ vs. $94.150{\pm}2.507mm$, p<0.001; $111.609{\pm}14.881$ vs. $93.960{\pm}2.150mm$, p<0.05)와 변곡점에서의 길이($60.306{\pm}1.992$ vs. $67.859{\pm}1.330mm$, p<0.0001; $55.714{\pm}7.458$ vs. $46.975{\pm}1.074mm$, p<0.05)는 암컷이 수컷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두 성장모형에서 암수의 체중과 외부형태형질에 대한 성장률은 비교 결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단털쥐의 종적 특징을 밝히는데 필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Effect of choline chloride supplementation on milk production and milk composition of Etawah grade goats

  • Supriyati, Supriyati;Budiarsana, I. Gusti Made;Praharani, Lisa;Krisnan, Rantan;Sutama, I. Ktut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8호
    • /
    • pp.30.1-30.12
    • /
    • 2016
  • Background: The effect of choline chloride supplementation through forced drinking combined with concentrate diets containing Ca-fish oil on milk production and milk composition of Etawah Grade goats was evaluated. Choline chloride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ruminant diets as it is required for fat metabolism.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types of treatments and eight replications. The trial had two successive experimental periods; the first, during the eight weeks of late pregnancy, and the second, during the first 12 weeks of lactation. Twenty-four Etawah Grade does in the second gestation period were divid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Commercial choline chloride 60 % in corncobs-based powder was used as a source of choline chloride. The treatments were no supplementation (control) and supplemented with either 4 g or 8 g/2days of choline chloride. Choline chloride was given to the animals through a forced drinking technique, after dissolving it in 60 ml drinking water. The initial body weight of does was $38.81{\pm}3.66kg$. The does were penned individually, and were given fresh chopped King Grass ad libitum and 700 g/day of concentrate diets containing Ca-fish oil, starting eight weeks prior to expecting kidding and continuing for 12 weeks of parturition. Results: All nutrient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among the treatments during the late pregnancy and the lactation periods.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p > 0.05) the average daily gains and feed conversion ratio during pregnancy but gave effects (p < 0.05) on the average daily gains, feed conversion ratio and income over feed cost during lactation. The highest average daily milk yields and 4 % fat corrected milk yields were found in goats supplemented with 4 g/2days of choline chloride and increased by 17.00 % and 24.67 %,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milk composition percentage and milk constituent yields improved significantly (p < 0.05) in those supplemented with 4 g/2days of choline chloride. Conclusion: The supplementation of 4 g/2days of choline chloride through forced drinking increased milk yields, the 4 % fat corrected milk yields, milk composition, milk constituent yields, and improved feed conversion ratio and income over feed cost of Etawah Grade goats.

염산 DDB-S가 랫드의 생식독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Teratogenicity Study on Dimethyl Dimethoxy Biphenylate Derivative (DDB-S) in Rats)

  • 김현우;박진홍;문서현;유국종;김화;김준성;박종하;조현선;강가미;황성희;김판기;문전옥;이치호;조명행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21-27
    • /
    • 2003
  • A teratogenic study of dimethyl dimethoxy biphenylate derivative (DDB-S) was carried out on Sprague-Dawley rats. DDB-S dissolved in saline was administered to male and female rats by intravenously injection at daily doses of 50 mg/kg, 75 mg/kg, and 100 mg/kg. A half of dams were sacrificed at 20th day of gestation to scrutinize the pregnant performances and fetal development. And the remaining dams were allowed to deliver. The growth, reflex, behaviour and reproductive function of F1 offsprings were examined. There was no treatment-related difference in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and necropsy findings of dams. No gross, skeletal and visceral abnormalities was observed in F1 fetuses from dams treated with DDB-S. F1 offsprings did not show any treatment-related difference in growth, reflex, behaviour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At caesarean section of F1 dams, no growth retardation and gross abnormality was observed in F2 fetuses. In conclusion, DDB-S did not show any potential teratogenic effect in rats.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가 2세대 출산률 회복에 미치는 영향 (Recovery from the Two-generation Reproductive Toxicity in Sprague-Dawley Rats by Treatment with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 김강민;옥선;고윤석;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65-772
    • /
    • 2015
  • 2세대동물에 있어 bisphenol A (BPA)에 대하여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D/DA)의 투여가 출산률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그룹은 대조군, BPA 투여군, BPA와 D/DA 병용투여군으로 이루어졌으며, BPA와 D/DA 병용투여군에서 BPA 투여군과 비교 시 어미개체에서 몸무게, 장기무게에서 차이를 보였다. 정자수는 대조군과 비교 시 BPA군에서는 64.70%로 감소하였고 BPA와 D/DA 병용투여군에서는 7.69% 감소를 확인하였다. 고용량의 BPA (50 mg/kg/day)의 복용개체에서는 1세대에 임신 및 출산을 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BPA와 D/DA 병용투여군에서는 BPA 투여군과 비교 시 임신(98.87%) 및 출산률(55.78%)이 회복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2세대의 임신 및 출산률은 대조군(75.02%)과 비교 시 BPA와 D/DA 병용투여군(78.11%)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D/DA (50 mg/kg/day)의복용은 임신 및 출산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Effects of Palm Kernel Expellers on Productiv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White Blood Cells of Lactating Sows

  • Kim, J.;Seo, J.;Kim, W.;Yun, H.M.;Kim, S.C.;Jang, Y.;Jang, K.;Kim, K.;Kim, B.;Park, S.;Park, I.;Kim, M.K.;Seo, K.S.;Kim, H.B.;Kim, I.H.;Seo, S.;Song,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8호
    • /
    • pp.1150-1154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lm kernel expellers on productiv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changes in white blood cells (WBC) of lactating sows. A total of 14 sows ($200{\pm}12kg$ of average body weight [BW]; 2.5 of average parity) were used and moved from gestation room to farrowing room on d 109 of gestation. Sows were randomly assigned to 2 dietary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treatments were a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 and CON added with 20% of palm kernel expellers (PKE). Sows were fed the treatments for 28 days (weaning) after farrowing. Blood was collected from each sow and 4 randomly selected piglets from each sow before farrowing or on d 3, 7, or 14 of lactation. Sows were fed respective treatments containing 0.2% chromic oxide from d 15 to 21 of lactation.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daily for the last 3 days after the 4-d adjustment period. Measurements were performances and WBC changes of sows and litter, nutrient digestibility of sows, and daily diarrhea of litter. Sows fed PKE had greater average daily feed intake (7.38 vs 7.10 kg/d; p<0.05) and lost less BW (-6.85 vs -8.54 kg; p<0.05) and backfat depth (-0.42 vs -0.71 mm; p<0.05) than those fed CON.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itrogen, and energy and weaning to estrus interval of sows fed either CON or PKE. Piglets from sows fed PKE gained more BW (203 vs 181 g/d; p = 0.08) and had less frequency of diarrhea (6.80 vs 8.56%; p = 0.07) than those from sows fed CON. On the other hand, no difference was found on preweaning mortality of piglets from sows fed either CON or PKE. Sows fed PKE had lower number of WBC (9.57 vs $11.82{\times}10^3/{\mu}L$; p = 0.09) before farrowing than those fed CON, but no difference on d 3 and 7. Similarly, piglets from sows fed PKE had also lower number of WBC (7.86 vs $9.80{\times}10^3/{\mu}L$; p<0.05) on d 14 of lactation than those from sows fed CON, but no difference on d 3 and 7. In conclusion, addition of 20% palm kernel expellers to lactation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had no negative effects on productiv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WBC changes of lactating sows.

환경보조물이 임신모돈의 생산성 및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enrichments on performanc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ows during gestating period)

  • 정용대;김두완;민예진;정현정;조은석;김영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28-434
    • /
    • 2019
  • 동물복지의 관심고조는 전 세계적인 동향이며 최근 국내 소비자들의 복지는 반려동물에서 경제동물인 가축으로 확산되고 있다. 환경보조물은 동물복지수준 강화에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임신돈에서는 관련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보조물이 임신모돈의 생산성 및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동물은 30두의 임신돈(랜드레이스)를 준비하였고, 완전임의배치법에 의거하여 3개 처리구(대조구; T1, 플라스틱 소재 놀이기구; T2, 볏짚)에 처리구당 10두씩 배치하였다. 사양시험은 임신 28-105일령동안이며 볏짚과 놀이기구는 시험돈방($11.6{\times}6.0m$) 중앙에 배치하였다. 시험 종료일에 체중 및 등지방두께를 측정하였으며 혈중 코티졸 농도를 분석하였다. 행동특성 분석을 위해 임신 91일령에 행동패턴을 24시간 촬영하였고 행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작 및 종료체중은 대조구 및 처리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등지방두께는 대조구보다 T2에서 감소하였다(C, 16.56mm vs. T2, 15.73mm; p>0.05). 총산자수, 실산자수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다. 사산수는 T1 및 T2에서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1.00 and 0.63 vs. 1.50두; p>0.05). 분만폐사율은 사산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C, 8.68%; T1, 6.86%; T2, 3.40%). 혈중 코티졸은 대조구 및 처리구간 차이가 없다. 섭취행동은 T2에서 대조구 및 T1 처리구보다 감소하였다(1.81 vs. 9.68 and 6.99%; p<0.05). 놀이 및 파헤치기 행동은 각각 T1와 T2 처리구에서만 확인되었다(p<0.05). 반면에 사육시설에 문지르기 행동은 대조구에서만 관촬되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환경보조물 제공이 임신돈의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돼지의 행동특성은 복지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착상전기(着床前期)에 있어서 ICR Mouse의 태아(胎兒)에 대한 방사선(放射線) 개체(個體) Level 영향(影響)의 연구(硏究) (The Developmental Effects of Radiation on ICR Mouse Embryos in Preimplantation Stage)

  • 구연화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273-284
    • /
    • 1996
  • 착상전기(着床前期}의 태아(胎兒)는 방사선(放射線)을 비롯한 많은 환경요인(環境要因)에 대하여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개체(個體)임에도 불구하고 특히 이 시기는 임신부(姙娠婦)가 자각(自覺)적으로 임신을 감지할 수 없는 시기이기에 이러한 여러 환경유해요인으로부터 의도적으로 피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착상전기의 영향을 충분히 검토한 후에 의료행위를 취할 것이며 이에 대한 방어(防禦)대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종래 까지 방사선에 대한 태아영향에 관한 많은 연구결과에 의하면 방사선 및 그 외의 유해요인에 대한 착상전기의 영향은 배사망(胚死亡)(유산(流産))만이 일어나며 기형(奇形)은 유발(誘發)하지 않는다고 하여 발생학(發生學)등 여러 교과서에서 기형은 기관형성기(器官形戚期)만이 국한(局限)해서 일어나는 영향이라고 단정되어 왔었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 착상전기에 있어서도 기형이 유발하여 오히려 기관형성기((器官形成期)보다도 감수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착상전기에서도 기형유발의 시기특이성을 가지며 여러 종류의 기형이 발생한다는 것이 본 연구로부터 밝혀졌다. 실험동물은 ICR Mouse를 사용했다. ICR Mouse는 일반적으로 태아사망 및 기형실험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사육조건은 Conventional 한 조건하에서 사육했으며 Mating 방법(方法)은 Female 마우스의 발정기(Sexual Excitement period)에 있는 mouse 질(膣)을 육안 적으로 관찰하여 $AM 6:00{\sim}AM 9:00$시까지 3시간만 mate시켰다. AM9:00시에 Vaginal Plug를 관찰하여 임신을 확인했다. Plug가 확인 된 마우스는 AM8:00시에 수정(Conception)된 것으로 가정하고 이 시점을 임신 0일 0시로 수정 난의 태아연령을 산정했다. 방사선조사는 $^{135}Cs\;{\gamma}-$선을 사용하였으며 임신 마우스의 전신조사를 실시하고 조사한 시기는 각 2, 48, 72, 96hpc이며 조사한 방사선 선량 군은 $0.1{\sim}2.5Gy$이다. 태아영향 관찰지표는 태아 연령은 mate일 오전 8:00시를 임신 0일 0시로 환산하여 태아연령 18일에 임신마우스를 Cervical vertebral dislocation에 의해 도살했다. 도살 후 해부하여 각 임신 마우스별로 관찰했다. 착상 율을 관찰하기 위하여 황체수를 세었고, 태아사망과 생존태아를 구별했다. 자궁 내 사망의 분류는 태아사망을 1) preimplantation death 2) Embryonic death 3) Fetal death로 분류했다. 착상전사망은 수정후 $0{\sim}4.5$일(1세포기${\sim}$배반포후기 부화까지)까지의 사망으로써 난소의 황체수(배란 수)와 착상태아(생존태아, 착상흔, 태반유잔, 흡수태아, 침연태아의 합계)로부터 구할 수 있다. Embonic death는 수정 후 $4.5{\sim}13$일까지의 사망으로써 Implantation sites, Placental remnants, Resorption of fetus로 관찰된 것이다. Fetal death는 수정후 $14{\sim}18$일까지의 사망으로써 Maceration of fetus로 관찰되는 것이다. 통계학적 분석은 각 Group의 착상 을과 자궁 내 사망 율을 산출할 때에는 각 임신마우스에 따라 발생빈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통계처리에는 Non parametric 검정인 Kluskal Wallis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개체 Level 영향인 착상을, 태아사망, 기형의 threshold dose의 산정에 대해서는 SAS-Logistic 검정에 따라 통계 분석을 하여 $5%(Ld_5,\;ED_5)$$10%{\times}2/3$점을 threshold dose로 판단했다. 태아체 중에 대해서는 parametric검정인 t-test검정에 의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착상전기에서도 기형이 유발하며 특히 시기에 따라 일어나는 때와 일어나지 않는 때가 있음을 본 연구로부터 밝혀졌다. 또한 착상전기의 영향으로써 유발되는 기형은 여러 종류의 기형이 발생함이 밝혀졌다. 특히 이시기는 착상전 사망 및 배(胚)사망은 방사선 선량에 따라 크게 일어나나 태아사망(Fetal death) 및 태아체중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 PDF

포유중인 Rat 의 Progesterone 분비에 대한 포유 효과 (Effect of Suckling on Progesterone Secretion during Lactation in the Rat)

  • 오석두;성환후;민관식;윤창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5-103
    • /
    • 1999
  • 본 연구는 초산의 Wistar 계 rat를 이용하여 포유기간 중 제한포유시기와 이유시기를 조절하여 혈중 progesterone 수준을 검토하였다. 정상포유군 (NL)은 포유자의 수를 8 마리로 조절하였으며, 제한포유군 (RL)과 완전이유군 (W)은 RL0, RL5, RL10, RL15 및 RL20, 그리고 W0, W5, W10, W15 및 W20으로 각각 5 개 군으로 구분하여, 제한포유군은 각 개시일에 포유자의 수를 8마리에서 4마리로 조절하였으며, 완전이유군은 각 개시일에 포유자의 수를 완전히 이유시켰다. 1. 포유자의 발육상태는 제한포유군에서 정상포유군보다 성장이 유의적 (P<0.05)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분만직후 (RL0) 와 포유 5(RL5), 10(RL10), 15(RLl5) 일에 제한포유를 실시한 군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상포유군에 비해 유의적 (P<0.05) 으로 증가하였으나, 포유 20 일(RL20) 에 제한포유군에서는 정상포유군과 차이가 없었다 . 초산 rat 의 임신기간은 21.53$\pm$0.04일이었고 산자수는 13.75$\pm$0.07 마리였다. 2. 포유기간 중 모체의 성주기 변화는 정상포유군은 발정징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분만직후 제한포유군은 20 일을 전후하여 불규칙적인 성주기가 관찰되었고, 분만직후 완전이유군은 10일을 전후하여 정상적인 성주기가 관찰되었다. 3. 정상포유군의 progesterone 농도는 포유 0 일에 33.16$\pm$2.64ng/$m\ell$에서 포유 10 일에 122.55$\pm$3.68ng/$m\ell$ 까지 증가하여 포유 20 일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후 25 일에 97.30$\pm$3.21ng/$m\ell$ 까지 급속히 감소 (P<0.05) 하였다. 포유초기 (RL0, RL5)와 포유중기 (RL10)의 제한포유군은 제한포유실시 이후 5일 까지는 정상포유군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그 후 급격히 (P<0.05)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흰쥐에 있어서 분만 후 포유자의 포유자극이 모체 난소의 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액와 소개흉술에 의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Closure of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in Premature Infants by Axillary Minithoracotomy)

  • 조정수;윤용환;김정택;김광호;홍영진;전영훈;신혜란;백완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37-842
    • /
    • 2007
  • 배경: 미숙아는 흔히 동맥관의 폐쇄가 지연되어 혈역학적으로 의미 있는 좌우단락을 초래함으로 환아의 성장 및 정상 발육에 악영향을 미친다. 저자들은 액와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폐쇄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4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동맥관 개존증을 동반한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 중 인도메타신 부적응증 또는 치료 실패 등으로 수술적 교정을 받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 당시 재태기간은 25+3에서 34+6주 사이로 평균 28.8+3.4주이었고, 출생 후 평균 $15.6{\pm}6.3$일째에 수술하였다. 수술 당시의 체중은 680에서 2,100 g 사이로 평균 $1,174{\pm}416\;g$이었는데 이 중 1,500 g 미만은 16명이었고 1,000 g 미만은 9명이었다. 수술은 모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졌는데 측와위에서 왼팔을 현수시킨 자세로 길이 $2{\sim}3\;cm$의 액와 소개흉술을 통하여 접근하였다. 동맥관 크기는 평균 $3.8{\pm}0.3\;mm$로 동맥관의 폐쇄는 주로 클립을 사용하였는데, 2예에서 박리 중 동맥관 파열로 동맥관 분리술(divis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술 전부터 인공호흡기에 의존해 온 환아 12명 중 10명이 술 후 호흡기 증상의 호전과 함께 평균 9.7일 사이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다. 수술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망이나 합병증은 없었으나 병원 내 만기 사망이 2예에서 있었는데 1예는 술 후 41일째 폐렴으로, 나머지 1예는 술 후 131일째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액와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폐쇄는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미숙아의 성공적인 성장 및 정상 발달에 도움이 되었다. 수술의 침습도 및 이에 따른 위험성은 매우 적어 조기에 적극적인 외과적 요법이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