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ion test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1초

겨울철 냉기를 이용한 벼의 저온저장(I) - 벼 냉각 후 저장특성 - (Low Temperature Storage of Rough Rice Using Cold-Air in Winter(I) - Storage Characteristics after Rough Rice Cooling -)

  • 이재석;한충수;함택모;연광석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0권3호
    • /
    • pp.155-160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stablish a domestically available cooling storage technique by cold-air in winter, using winter cool air ventilation fur determining rough rice cooling method in the storage and dry bin. The rough rice storage characteristics of two test conditions, winter cool-air ventilation storage and ambient temperature storage, were evaluated from January to July 2001, using a storage and dry bin of 300-ton capacity.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Grain temperature was from $-5.1\~-8.5^{\circ}C$ after winter cool-air ventilation, and grain initial temperature for ambient temperature bin storage was $0.3\~1.9^{\circ}C$. Moisture content of rough rice decreased from $0.28\;to\;0.93\%$ and from $1.53\;to\;1.92\%$ to compare with original moisture contents for winter cool-air ventilation, and for ambient temperature bin storage, respectively. Broken ratio of brown rice from winter cool-air ventilation bin increased from $0.16\;to\; 0.92\%$, and brown rice broken ratio was from $2.24\;to\;2.86\%$ for ambient temperature bin storage to compare with initial broken ratio. Hardness of stored rice increased along storage period increase in alt storage methods, and cooling bin storage increased rice hardness of 0.271kgf: this increasing was lower then the other methods from 0.059 to 2.239kgf. Germination rates were decreased approximately 9.03, 3.14 and $3.20\%$ for upper, middle, and bottom of ventilating winter air bin, respectively, and germination rates of 2.70, 3.47 and $4.14\%$ were approximately decreased for upper, middle, and bottom parts of ambient temperature bin storage, respectively.

식물오일과 그 성분들의 살균활성 (Phytopathogenic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and Their Main Compounds)

  • 최원식;김관영;장도연;엄대용;김태준;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01-209
    • /
    • 2006
  • 43종의 식물오일들을 대상으로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 외 9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살균 효과로 이들의 생리활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중 thyme 오일이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잎집무늬 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고추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고추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e), 사과점무늬 낙엽병균(Alternaria mali)과 벼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에서 광범위하게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Thyme 오일의 주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 thymol, carvacrol, borneol, linalool과 p-cymene임을 확인하였다. 이 중 thymol과 carvacrol이 높은 살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식물병원균에 대한 살균활성관련 작용기작을 실험한 결과,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과 사과점무늬낙엽병균(Alternaria mali)의 포자발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ymol과 carvacrol은 in vivo에서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에 대하여 높은 예방효과를 나타내었으며, thymol, carvacrol의 유사구조를 갖는 alkylphenol계 화합물들도 살균활성이 있음을 검정하였다.

라만분광을 이용한 오이 종자의 발아예측 (Germination Prediction of Cucumber (cucumis sativus) Seed using Raman Spectroscopy)

  • 모창연;강석원;이강진;김기영;조병관;임종국;이호선;박종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6호
    • /
    • pp.404-410
    • /
    • 2012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elect high quality cucumber (cucumis sativus) seed by classifying into viable or non-viable one using Raman spectroscopy. Method: Both transmission and back-scattering Raman spectra of viable and non-viable seeds in the range from $150cm^{-1}$ to $1890cm^{-1}$ were collected with a laser illumination. Results: The Raman spectra of cucumber seed showed Raman peaks with feature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e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PLS-DA) to predict viable seeds was developed with measured transmission and backscattering spectra with Raman spectroscopy and germination test results. Various types of spectra pretreatment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the classification models. The results of developed PLS-DA models using the transmission spectra with mean normalization or range normalization, and back-scattering spectra with mean normalization treatment or baseline correction showed 100% discrimination accuracy.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Raman spectroscopy technologies can be used to select the high quality cucumber seeds.

지모, 일황련 및 황백나무 추출액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Coptis japonica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against Phytophthora Blight)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1-359
    • /
    • 1997
  • 3가지의 식물체 추출액을 공시하여 P. capsici에 대한 항균 활성 검정, 고추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 및 고추에 미치는 약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가지 식물체 물 추출액 중에서 일황련 추출애기 균새장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2배의 희석농도에서 70% 이상의 억제 효과가 있었고, methanol 추출액의 경우 1,000배 이상의 희석농도에서도 74.4%의 억제 효과가 있었다. 지모 및 일황련 추출액의 2개 희석농도와 황백나무의 추출원액 처리에 의해 P.capsici의 유주자낭의 발아는 완전히 억제되었다. 2. Methanol에 의한 추출액이 상온에서 물에 의해 추출하거나, 끓여서 추출한 액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3. 세 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고추 역병균에 대한 항균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세 가지 추출액 모두 고추 역병에 대해서 방제효과가 있었고, 그 중 일황련 추출액이 가자 효과적이며 황백나무 및 지모의 순이었다. 5. 수경 재배형식의 유모검정에서는 고추묘에 약해가 있었으나, pot시험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또한 고추 종자에 추출액을 처리했을 때 발아가 저해되거나 유근의 신장이 억제되는 등 약해가 유발되어쓰나, 고추 잎과 고추 과실에 추출애글 엽면살포 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of Xanthoceras sorbifolia Bunge Seeds Originated from Inner Mongolia and Liaoning, China

  • An, Chan-Hoon;Lee, Hyun-Seok;Yin, Zhi-Yang;Yi, Jae-Se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151-156
    • /
    • 2011
  • Seeds of Xanthoceras sorbifolia Bunge were collected from two plantations and two superior trees in Inner Mongolia: and one plantation and one superior tree in Liaoning, China in late August, 2011. Yellowhorn or goldenhorn is an important tree species, from the aspects of source of edible oil and biodiesel and pioneering capacity of degraded and desert land.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were seed length, width, and weight: weight and volume of 1,000 seeds: and weight and volume of one-liter seeds. The seeds of Qingsonglingxiang No. 1, growing alone in an open space,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seed length (16.08 mm), width (14.48 mm) and weight (1.40 g), while those of Tree No. 160 in Ar Khorqin Banner were the lowest ones: that is, 11.48mm for length, 11.81 mm for width, and 0.73 g for weight, respectively. Traits of seeds varied quite much between trees and among areas; for example, Tree No. 38 and No. 160 produced quite different seeds in several traits, although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farm. Weight of 1,000 seeds varied from 718.0 g to 1,010.1 g and volume from 0.76 L to 1.52 L. Weight of one-liter seeds were 522.3 g to 688.2 g, while the number of seeds were 603 to 935. Seeds which were soaked in the water at $4^{\circ}C$ for 2 days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89%) in a 30-day test, which was about 10% to 40% higher than those of non-treatment and dipping treatment at $36^{\circ}C$ followed by keeping under room temperature for 2 days. 81% of seeds in the wet sand at room temperature germinated, while 23% of seeds deprived of seed coat germinat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eed traits to select superior clones or provenances for the increased, unfluctuating production of seed.

보리의 수발아정도 및 탈곡방법이 종자활력 관련 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outing Degree and Threshing Method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r in Barley)

  • 이은섭;천종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5-69
    • /
    • 1991
  • 과맥에서 종자활력의 저하요인을 구명하고자 과맥 2계통(피, 과 isogenic line포함) 및 피맥 1품종의 종자의 수발아를 유도하여 손과 기계탈곡(700 rpm ) 한 종자를 이용하였다. 1. 수발아된 종자를 손 탈곡하여 배부분의 손상이 없어서 발아세, 발아율, TTC치은 수발아 정도에 따른 차이가 적었으나, 출아력은 수발아가 클수록 감소되었다. 2. 수발아된 종자는 기계탈곡시 배의 부분적인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손 탈곡에 비해서 종자활력에 관계된 형질들이 고도로 유의적인 감소를 가져왔고 효소활력은 크게 증가되었다. 3 손 탈곡구에서 수발아 정도는 효소활력 ( r =0.9 31**, 0.951**) 및 발아력 ( r=0.46*)과 정상관이 있었다.

  • PDF

땅콩 종실의 크기와 자엽절단정도가 발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ize and Cotyledon Removal on Germination and Yields in Peanuts)

  • 이정일;박희운;한의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5-251
    • /
    • 1985
  • 땅콩품종에 대한 입중의 변이를 조사하였으며, 동일품종에서의 종자크기에 따른 발아력, 생육 및 수량을 비교하는 한편 자엽을 인위적으로 절단, 조절했을 때의 생육과 수량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였다. 1. 입중의 변이는 소립품종보다 대립종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2. Cold test에 의한 발아시험결과 종자가 작을수록 발아율이 낮았으며 포장출아율도 떨어졌다. 3. 종자크기에 따른 후기생육의 차이는 없었으나 소립품종의 경우는 종자가 큰 것을 파종했을 때 수량이 많았다. 4. 자엽의 일부를 절단하였을 때는 개화성기의 생육이 정상종자보다 저조했으나 협비대기이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소립품종에서는 자엽절단이 수량을 감소시키나대립종에서는 정상립과 차이가 없었다.

  • PDF

대두내냉성계통선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creening for Cold Tolerance in Soybean)

  • 권신한;이영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2-35
    • /
    • 1978
  • 대두의 내냉성계통의 선발을 위한 예비시험으로서 도입종과 재내수집종을 각각 1$0^{\circ}C$, 17$^{\circ}C$, $25^{\circ}C$, 35$^{\circ}C$에서 발아력을 조사하여 품종간차이를 검토하였다. 또 1$0^{\circ}C$의 저온에서 각품종간 출현일수와 10일, 20일 키운 유묘장을 조사하여 발아와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검토하는 한편 발아와 성숙일수 또는 종실의 크기와의 관계를 알아 보았다. 대두의 품종간 발아력의 차리는 1$0^{\circ}C$, 17$^{\circ}C$에서 공히 나타났지만 $25^{\circ}C$,와 35$^{\circ}C$에서는 품종간발아력의 차리가 전혀 인정되지 않았고 특히 1$0^{\circ}C$가 17$^{\circ}C$보다 월등한 차리를 나타내어 내냉성선발은 1$0^{\circ}C$가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온발아력과 출현일수에는 +0.80의 상관관계가 있을 뿐아니라 10일 20일 키운 유묘장과도 각각 -0.61, -0.50의 상육이 있는 것으로 보아 1$0^{\circ}C$의 저온발아에 의한 내냉성검정은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저온발아력과 성숙일수와에 일정한 관계가 없다는 것은 내냉성이 있고 동시에 조숙성인 품종의 선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 PDF

포화가습식 발아장치의 성능평가 (Performance Test of A Saturation Humidification Type Germination System)

  • 장유섭;김동억;김종구;김현환;이동현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0-445
    • /
    • 2003
  • 식물의 공장적 생산에 있어서 재배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환경조절과 양액제어 그리고 종자발아기술, 녹화기술일 것이다. 그 중에서도 종자를 파종한 후의 발아기간이 일정하지 않거나 조절이 어려우면 엽채류의 공장적 생산에서 중요한 매일 정식, 매일 수확이 어렵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추의 발아적온은 18-$25^{\circ}C$이다. 그러나 작물생육에 중점을 두어 환경을 조절하는 현재의 제어온실내에서는 발아적온을 맞추기가 어렵다. 따라서 별도의 발아장치가 필요하다. (중략)

  • PDF

순환식 유채건조기 개량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irculation Dryer for Rapeseed)

  • 김유호;최희석;권진경;조광환;윤홍선;김동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6호
    • /
    • pp.390-395
    • /
    • 2008
  • Current high oil price and the agreement on global climate change prevention have increased worldwide investment and research on renewable energy. In Korea, development of a rapeseed dryer for bio-diesel production has been started in 2007. Usually, rapeseeds are harvested in early summer, because rice cultivation is followed right after rapeseed harvesting. Early harvest and bad summer results in highly moistured rapeseed and development of artificial drying system is required to dry great amount of rapeseed that couldn't be processed by sun drying alone. The rapeseed dryer was modified from an existing circulation type grain dryer. Modification of the dryer was performed with the aid of CFD simulation. Drying test showed that drying rate of rapeseed was 1.51%/h and germination rate reduction was 4.5%p for the drying temperature of $60^{\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