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

검색결과 1,060건 처리시간 0.03초

바이오 황을 이용한 감귤 더뎅이병 발병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Bio-Sulfur on Citrus Scab)

  • 오명협;현재욱;박원표;현해남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3-2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 황(Bio-S, bio-sulfur)을 이용하여 감귤 더덩이병(Citrus scab)에 대한 발병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바이오 황이 감귤 더뎅이병의 발아관 생장 억제 효과는 감귤 더뎅이병균을 PDB와 Agar 배지에서 배양하여 발아관을 관찰한 결과 접종 40시간과 88시간 모두 바이오 황 500배, 1,000배, 2,000배 처리구에서 발아관 형성이 억제되었으며, 4,000배 이상 희석배수가 높아질수록 발아관은 형성되었으나 무처리구에 비해 생장이 억제되었다. 포장에서 감귤 봄순 잎에 대한 더뎅이병의 발병 억제 효과는 무처리구 이병율은 40.3%였으며, 화학농약인 Imibenconazole 수화제 이병율이 5.3%을 보였으며, 친환경 농업에 사용하는 석회보르도액 2-4식과 6-6식은 모두 10.3%, 바이오 황 500배 12.3%, 석회유황합제 15.3%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반면 바이오 황 1,000배에서는 24.0%로 비교적 높은 이병율을 보였다. 감귤 과실에 대한 시험결과 무처리구 이병율은 79.3%였으며, Imibenconazole 수화제 이병율은 4.0%을 보였으며, 석회보르도액 2-4식 33.8%, 6-6식 42.0%, 바이오 황 500배 43.3%, 석회유황합제 44.8%로 비슷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반면 바이오 황 1,000배에서는 78.0%로 비교적 높은 이병율을 보였다. 따라서 감귤 더뎅이병은 봄순이 전개되는 5월부터 감귤의 잎에 발생하기 때문에 봄순이 전개되기 전인 4월 중하순부터 예방방제를 시작하여 예찰을 통해 방제하면 높은 방제율과 노동력 및 영농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흰쥐 정자형성과정에 미치는 Di-(2-ethylhexyl)phthalate의 영향 (Effect of Di-(2-ethylhexyl)phthalate(DBHP) on Spermatogenesis in Rat Testes)

  • 김완종;길영천;이종화;신길상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285-292
    • /
    • 1999
  •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며, 최근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져 있는 di-(2-ethylhexyl)phthalate(DEHP)를 흰쥐에 15일 동안 구강 투여(1g/kg/day, 2g/kg/day, 3g/kg/day)한 후, 정자형성과정에 연관된 정소의 기능과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EHP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율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소의 무게도 감소하였다. 또한 세정관의 직경이 고농도군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세정관내의 세포층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실험군은 세정관내 세포사이 공간이 증가하였으며 정원세포와 정모세포의 수가 감소하였고, 세포질내 공포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세정관내 Sertoli 세포의 전체 세포질 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정원세포의 경우 핵막 이중층이 분리되는 현상을 보였다. 특히 고농도군의 세정관내에서는 Sertoli 세포 이외의 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세포사이 공간과 공포들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Sertoli 세포의 핵막은 심하게 함입된 형태를 나타냈으며 이질염색질이 증가하여 염색질의 덩어리를 이루고 있었고, Sertoli 세포들을 지지하는 기저판은 심하게 굴곡된 형태를 보였다. Leydig 세포의 미세구조에 있어서도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세포질내의 활면소포체와 핵막 이중층이 심하게 팽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핵내에 이질염색질이 상당히 증가하고 세포질내 리소솜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또한 혈청내 테스토스테론 함량에 있어서도 실험군은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DEHP는 정소의 발달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고, Leydig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합성기능을 저해하며, 이어서 세정관내부의 Sertoli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손상시켜 생식세포들의 괴사를 유도하는 과정을 통해 일련의 정자형성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 정소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Di-(2-ethylhexyl) phthalate (DEHP)의 영향 (Effects of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on Ultrastructure of Rat Testis)

  • 김완종;길영천;신길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3호
    • /
    • pp.353-362
    • /
    • 1999
  •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며, 내분비 교란물질로도 알려져 있는 di-(2-ethylhexyl) phthalate (DEHP)를 사춘기 이전 흰쥐에 1주일 동안 구강 투여 (1g/kg, 3g/kg, 5g/kg)한 후 분화중인 정소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EHP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정관 직경이 매우 작았으며, Leydig 세포, Sertoli 세포 및 분화중인 생식세포들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실험군에서 세정관 사이에 존재하여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는 Leydig세포는 이질염색질이 증가하고, 세포질내에서 활면소포체의 발달이 미흡하였으며, 리소솜과 지방적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세정관 내에서 Sertoli 세포는 세포질의 크기가 감소하고, 핵막이 불규칙해지거나, 염색질이 응축되어 있는 모습이 나타나며, 세포질내에서 리소솜과 액포들이 증가하였다. 실험군 흰쥐 정소내에서 분화중인 생식세포들의 핵은 이질염색질이 증가하거나, 응축되어 있고, 인의 분리현상이 관찰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핵내에 공포가 형성되어 있거나, 괴사과정에 있는 생식세포들도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정소 미세 구조의 변화는 DEHP 투여량의 농도에 의존성을 보이며, 이 화합물은 Leydig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합성 기능을 방해하고, 이어서 Sertoli 세포의 구조와 기능이 손상되어 정자형성과정 중인 생식세포들의 증식과 분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ablishment of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Isolating Male Germline Stem Cells (GSCs) from Testicular Cells of Neonatal and Adult Mice

  • Kim Kye-Seong;Lim Jung-Jin;Yang Yun-Hee;Kim Soo-Kyoung;Yoon Tae-Ki;Cha Kwang-Yul;Lee Dong-Ry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9호
    • /
    • pp.1347-1354
    • /
    • 2006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a simple and effective method for isolating male germline stem cells (GSCs), and to t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se cells as a new approach for male infertility treatment. Testes obtained from neonatal and adult mice were manually decapsulated. GSCs were collected from seminiferous tubules by a two-step enzyme digestion method and plated on gelatin-coated dishes. Over 5-7 days of culture, GSCs obtained from neonates and adults gave rise to large multicellular colonies that were subsequently grown for 10 passages. During in vitro proliferation, oct-4 and two immunological markers (Integrin ${\beta}1,\;{\alpha}6$) for GSCs were highly expressed in the cell colonies. During another culture period of 6 weeks to differentiate to later stage germ cells, the expression of oct-4 mRNA decreased in GSCs and Sertoli cells encapsulated with calcium alginate, but the expression of c-kit and testis-specific histone protein 2B(TH2B) mRNA as well as the localization of c-kit protein was increased. Expression of transition protein (TP-l) and localization of peanut agglutinin were not seen until 3 weeks after culturing, and appeared by 6 weeks of culture. The putative spermatids derived from GSCs supported embryonic development up to the blastocyst stage with normal chromosomal ploidy after chemical activation. Thus, GSCs isolated from neonatal and adult mouse testes were able to be maintained and proliferated in our simple culture conditions. These GSCs have the 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haploid germ cells during another long-term culture.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 석호문;서미숙;김흥만;안명수;이영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89-892
    • /
    • 2002
  • 보리 도정부산물은 맥강과 배아 획분으로부터 항상화 효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폴리페놀성 물질(barley polyphenol extract: BPE)을 분리하고 이들 획분을 linoleic acid를 사용한 모델계와 옥배유를 기질로 한 유지의 자동산화를 통하여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TBA가 측정결과 bran III의 BPE는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획분 특히 bran I과 배아 획분의 경우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의 자동산화에 대한 BPE의 항산화효과를 과산화물가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 10일에서 15일 까지는 첨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alpha}-tocopherol$ 및 BHT와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20일 이후부터는 첨가농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40\;meq/kg{\cdot}oil$에 도달하는 기간을 유도기간으로 정하고 유도기간에 따른 상대적 항산화효과(RAE)를 측정한 결과 bran I과 배아 획분의 BPE를 0.02% 첨가시 RAE값은 각각 128 및 126이었고 0.1% 첨가시에는 135 및 133으로서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BHT의 126보다 높게 측정되어 이들 획분은 향후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가금류 정자 세포의 배수성 유기를 위한 세포 유전학적 연구 (A Cytogenetic Study on Induction of Diploid Spermatozoa in Poultry)

  • 김철욱;손시환;전익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1996
  • 본 연구는 일본산 메추리(Japanese quail)에 대해 다배체의 유기를 목적으로 성숙된 수컷에 일정량의 분열 억제제를 투여하여, 정자 형성과정 중 이에 미치는 영향과 배수성 정자 세포들의 유기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시험은 25∼30주령된 메추리 수컷 50수를 공시하고 체중 100 g당 37 g의 colcemid를 3일간 연속복강 주사한 후 5일째, 10일째, I5일째 및 20일째 정소세포들의 감수분열 양상을 살펴보고자 각 정원세포들의 中期像, 제 1정모세포들의 중기상 및 제 2정모세포들의 중기상의 양상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olcemid 처리에 따른 전체 정소 세포 중 9.4%%가 배수성 세포로 유기된 반면, colcemid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2.3%만이 배수성 정소 세포를 나타내어 colcemid 처리에 따른 배수성 정자의 유기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Colcemid 처리 후 10일째 11.7%의 다배수성 정자세포 유기율을 나타내어 처리 중 가장 높은 유기율을 보인 반면, 정원세포로 성숙되기 5일 이전의 대부분 원시 정세포들은 colcemid의 처리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금류에 있어 분열 억제제 투여에 의한 정자 세포의 배수성 유기는 정자 형성과정 개시 최소 10∼15일 이전의 원시 정세포에 주로 이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제1, 2감수 분열 중의 방추사의 억제로 인한 배수성의 유기보다는 정원세포들의 유사분열 중 방추사 형성의 억제에 보다 민감하게 작용하여 배수성 정모세포를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APD분석 기술을 이용한 토종도라지의 기원 분석 (Differentiation of indigenous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DC.) germ lines in South Korea by using RAPD analyses)

  • 김태원;이수진;김만배;박춘근;신용욱;조영손;이신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19-25
    • /
    • 2014
  • 도라지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채소용 또는 약용으로 그 생산량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국내의 경남지역에서는 토종도라지의 보존과 육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도라지의 단가도 급등함에 따라 그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종 도라지의 순계를 보존하기 위한 조직배양 기술의 확립과 함께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한 토종 도라지의 판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경남지역과 충남아산시 등의 야산에서 채종하여 수 십년간 자가 채종하여 재배하여온 농가에서 수집한 종자를 중심으로 5종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48개의 밴드를 생산하였으며, 이중 21개 밴드는 다형성을 보이는 밴드로 40.3%의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primer HD3는 총 13개의 밴드 중 10개가 계통간 다형성을 보여서 76.9%의 높은 다형성빈도를 보였다. 향후 핵 DNA 보다는 핵외 DNA를 이용한 SNP 마커의 확보 등 보다 진보된 기술을 이용한 보완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단삼에 의한 Candida albicans 바이오필름 발달의 억제 (Growth of Candida albicans Biofilm is Inhibited by Salvia miltiorrhiza)

  • 이흥식;김연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65-472
    • /
    • 2019
  • Candida albicans는 기회감염을 유발하는 주요한 병원성 진균 중의 하나이다. 캔디다증 치료과정에서 항진균제에 대한 내성이 흔히 발견되는데, 그 이유는 Candida가 바이오필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우리는 단삼(Salvia miltiorriza)의 에탄올추출물이 세포막의 투과성을 변화시키고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여 항캔디다 활성을 나타냄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10개 C. albicans 임상균주가 형성한 초기단계의 바이오필름을 대상으로 XTT 환원분석법으로 대사활성을 측정하니, $78{\mu}g/ml$ 단삼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바이오필름의 대사활성이 평균 51.3% 감소되었다. C. albicans 세포들이 폴리스티렌 표면에 부착하거나 germ tube를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단삼 에탄올추출물의 영향을 현미경으로 분석하니, $39{\mu}g/ml$ 단삼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부착된 세포의 밀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germ tube 형성은 거의 억제하지 못했다. 단삼 에탄올추출물이 C. albicans SC5314 세포의 균사에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qPCR로 분석한 결과, EAP1은 34.7% (p < 0.001), ALS1은 45.0% (p < 0.001), ALS3는 48.1% (p < 0.001), ECE1은 21.3% (p = 0.006)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단삼의 에탄올추출물은 초기단계의 C. albicans 바이오필름 발달을 효율적으로 저해하며, 이는 EAP1, ALS1, ALS3 유전자의 발현억제에 따른 세포부착 억제와 관련이 있다. 더불어 단삼 에탄올추출물의 C. albicans 세포막 기능저해와 세포벽 합성억제에 의한 구조변화 또한 세포부착단계에서의 바이오필름 발달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밀배아 추출물을 이용한 여드름성 피부개선 화장품 원료의 효능평가 (Efficacy evaluation of cosmetic ingredients for acne-prone skin improvement using wheat germ extract)

  • 서정;강유리;김운중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1호
    • /
    • pp.1-10
    • /
    • 2023
  • 본 연구는 밀배아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원료를 개발하고자 포뮬라 (EJ-F101)를 제작하여 이를 이용하여 임상시험용 크림을 제조하였으며 임상실험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제품 사용 전·후 비교 시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안면 부위의 병변 개방면포, 폐쇄면포 구진 피지 및 유분량 항목에 대해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고,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좀 더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제품의 효능에 대한 설문 결과, 대부분 항목에서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대조 제품에 비해 시험제품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높게 나타났으며, '개방 면포' 항목을 제외하고 시험제품은 약 43~81%의 연구대상자가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또한, 제품의 사용성에 관한 모든 항목에 대해 제품 사용 4주 후 시점에서 시험군은 약 14~86%, 대조군은 약 38~90%의 연구 대상자가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피부 안전성 평가 결과, 본 모든 연구대상자에게서 피부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밀배아 추출물을 이용한 크림은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하기 적합(non comedogenicity) 한 것으로 사료된다.